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기용매와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바이오 부탄올 추출발효 용매 선정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221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선 바이오부탄올 생산을 위한 추출발효에 적용하고자 부탄올 추출에 효율적이고 미생물에 독성을 주지 않는 적합한 추출용매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추출 용매를 선정하기 위하여 ...

      본 연구에선 바이오부탄올 생산을 위한 추출발효에 적용하고자 부탄올 추출에 효율적이고 미생물에 독성을 주지 않는 적합한 추출용매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추출 용매를 선정하기 위하여 부틸 부틸레이트, oleyl alcohol, 친환경 용매인 소수성 이온성 액체 2 종류를 이용하여 분배계수를 구한 결과, 부틸 부틸레이트와 oleyl alcohol이 높은 부탄올 분배계수를 나타내었고 부탄올 농도 1-20 g/L와 pH 4-5.5 범위에서 80% 이상의 우수하고 안정적인 추출효율을 나타내었다. 미생물에 독성이 없는 oleyl alcohol를 사용한 회분식 추출발효에서는 추출을 하지 않은 회분식 배양보다 11% 향상된 부탄올 생산을 보였다 (11.2 g/L vs.12.4 g/L). 이는 배양액 내의 부탄올이 추출되어 배양액 내의 부탄올 농도가 낮게 유지됨으로써 부탄올 독성 영향이 감소되었고, 이로 인해 향상된 부탄올 생산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Oleyl alcohol:부틸부티레이트 부피비를 9:1로 혼합한 용매를 사용했을 경우는 미생물 생장에는 저해 영향이 미미했으나 부탄올 생산은 추출발효를 하지 않은 회분식 배양에 비해 60%에 그쳤다. 부틸부티레이트를 20% 이상 미생물 생장에 심각한 저해를 주는 것으로 관찰되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실험에 사용된 4가지 추출 용매 중에서 oleyl alcohol이 미생물에게 독성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부탄올 추출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oleyl alcohol을 바이오 부탄올 연속 추출발효에 적용한다면 향상된 부탄올 생산성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leyl alcohol, butyl butyrate, and two different ionic liquids were evaluated for the extraction of butanol from culture broth without toxic effect to cells. The tested solvents showed more than 50% extraction efficiency, and oleyl alcohol was chosen ...

      Oleyl alcohol, butyl butyrate, and two different ionic liquids were evaluated for the extraction of butanol from culture broth without toxic effect to cells. The tested solvents showed more than 50% extraction efficiency, and oleyl alcohol was chosen as the best extractant for butanol among the used extractants with a partition coefficient of 2.89. When oleyl alcohol was used as an extractant, more than 80% of butanol was extracted in the wide range of butanol concentrations (1-20 g/L) and pH values (pH 4-5.5). In extractive fermentation using oleyl alcohol only, there was 11% more butanol production and glucose consumption when compared to that without extractive fermentation, implicating a reduced inhibitory effect of butanol due to butanol removal to the oleyl alcohol phase. In addition, oleyl alcohol did not inhibit cell growth, while a mixture of oleyl alcohol and butyl butyrate with the volume ratio of 9:1~7:3 inhibited either butanol production or cell growth significantly due to the toxicity of butyl butyrate to cells. In conclusion, oleyl alcohol can be used as an efficient and non-toxic solvent for extractive fermentation for butanol produ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윤모, "생물공학에서 이온성 액체의 응용" 한국생물공학회 20 (20): 183-191, 2005

      2 Ragauskas, A. J., "The path forward for biofuels and biomaterials" 311 : 484-489, 2006

      3 Ounine, K., "Regulation and butanol inhibition of D-xylose and D-glucose uptake in Clostridium acetobutylicum" 49 : 874-878, 1985

      4 Ezeji, T. C., "Production of acetone, butanol and ethanol by Clostridiumbeijerinckii BA101 and in-situ recovery by gas stripping" 19 : 595-603, 2003

      5 Sang, B.-I, "Next generation biofuel" 26 : 704-709, 2008

      6 Bocquet, S., "Membrane-based solvent extraction of aroma compounds: Choice of configurations of hollow fiber modules based on experiments and simulation" 281 : 358-368, 2006

      7 Roffler, S. R., "In-situ recovery of butanol during fermentation Part 1: Batch extactive fermentation" 2 : 1-12, 1987

      8 Nielsen, D. R, "In-situ product recovery of n-butanol using polymeric resins" 102 : 811-821, 2009

      9 Dűrre, P, "Fermentative butanol production" 1125 : 353-362, 2008

      10 Qureshi, N, "Continuous production of acetone-butanol-ethanol using immobilized cells of Clostridium acetobutylicum and integration with product removal by liquid-liquid extraction" 80 : 185-189, 1995

      1 구윤모, "생물공학에서 이온성 액체의 응용" 한국생물공학회 20 (20): 183-191, 2005

      2 Ragauskas, A. J., "The path forward for biofuels and biomaterials" 311 : 484-489, 2006

      3 Ounine, K., "Regulation and butanol inhibition of D-xylose and D-glucose uptake in Clostridium acetobutylicum" 49 : 874-878, 1985

      4 Ezeji, T. C., "Production of acetone, butanol and ethanol by Clostridiumbeijerinckii BA101 and in-situ recovery by gas stripping" 19 : 595-603, 2003

      5 Sang, B.-I, "Next generation biofuel" 26 : 704-709, 2008

      6 Bocquet, S., "Membrane-based solvent extraction of aroma compounds: Choice of configurations of hollow fiber modules based on experiments and simulation" 281 : 358-368, 2006

      7 Roffler, S. R., "In-situ recovery of butanol during fermentation Part 1: Batch extactive fermentation" 2 : 1-12, 1987

      8 Nielsen, D. R, "In-situ product recovery of n-butanol using polymeric resins" 102 : 811-821, 2009

      9 Dűrre, P, "Fermentative butanol production" 1125 : 353-362, 2008

      10 Qureshi, N, "Continuous production of acetone-butanol-ethanol using immobilized cells of Clostridium acetobutylicum and integration with product removal by liquid-liquid extraction" 80 : 185-189, 1995

      11 Lee, S.-Mi., "Continuous butanol production using suspended and immobilized clostridium beijerinckii NCIMB 8052 with supplementary butyrate" 22 : 3459-3464, 2008

      12 Schubert, C, "Can biofuels finally take center stage?" 24 : 777-784, 2006

      13 Schwarz, W. H, "Butanolrediscovering a renewable fuel" 16-19, 2006

      14 Ezeji, T. C., "Butanol fermentation research: upstream and downstream manipulations" 4 : 305-314, 2004

      15 Dűrre, P, "Biobutanol: an attractive biofuel" : : 1525-1534, 2007

      16 Kim, B.-C., "Bio-alcohol production from organic waste" 30 : 878-890, 2008

      17 Qureshi, N., "Application of continuous substrate feeding to the ABE fermentation: relief of production inhibition using extraction, perstraction, stripping, and pervaporation" 382-390,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8-2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생물공학회지 -> KSBB Journal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662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