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백제 제철로 및 제철기술의 복원을 위한실험 고고학적 연구 = An experimental archaeological study on the Baekjae iron smelting furnace and its production proc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698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Jincheon Seokjangri B23 furnace was reconstructed and iron smelting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 ancient Baekjae iron production process. The work mainly described in this paper is the 1st and 2nd experiments among the several experiments carried out at Ju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ron ore(magnetite) and oak charcoal were used as a source and a foot bellow was used for air supply. Common results of the experiments are masses of iron, slag and charcoal formed in the furnace. Most iron lumps were formed nearby the tuyere rather than the area of tapping hole. Metallographic and chemical analysis shows that the iron lumps can be used for either forge or cast depending on their carbon content. Low Fe content and glassy texture of the inner slags suggest that the operation environment was quite reduc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ron smelting experiments, measurements and analysis, various information was obtained regarding physical-chemical and metallurgical processes of the ancient iron smelting process. It is firmly believed that its undisclosed contents can be revealed more in depth with continual reconstitution experiments.
      번역하기

      A Jincheon Seokjangri B23 furnace was reconstructed and iron smelting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 ancient Baekjae iron production process. The work mainly described in this paper is the 1st and 2nd experiments among the several experime...

      A Jincheon Seokjangri B23 furnace was reconstructed and iron smelting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 ancient Baekjae iron production process. The work mainly described in this paper is the 1st and 2nd experiments among the several experiments carried out at Ju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ron ore(magnetite) and oak charcoal were used as a source and a foot bellow was used for air supply. Common results of the experiments are masses of iron, slag and charcoal formed in the furnace. Most iron lumps were formed nearby the tuyere rather than the area of tapping hole. Metallographic and chemical analysis shows that the iron lumps can be used for either forge or cast depending on their carbon content. Low Fe content and glassy texture of the inner slags suggest that the operation environment was quite reduc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ron smelting experiments, measurements and analysis, various information was obtained regarding physical-chemical and metallurgical processes of the ancient iron smelting process. It is firmly believed that its undisclosed contents can be revealed more in depth with continual reconstitution experim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고대 제철기술의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백제 4세기대 유적인 진천 석장리 B-23호 원형 제철로를 모델로 제철로를복원하고 전통 방법에 의한 고대 철생산 실험을 실시하였다. 2014년도부터 예비실험을 포함하여 수차례의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본고에서는 1차 및 2차 실험 결과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원료와 연료는 각각 철광석(자철석)과 목탄(참나무숯)을 사용하였으며 송풍은 4인용 발풀무를 사용하였다. 제련 생성물은 대부분 노하부에 철괴, 슬래그, 목탄이 뒤섞인 상태로 되어 있었는데 배재부와 송풍관을 기준으로 절단하여 위치별 철괴의 양을 측정한 결과 주로 송풍관측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철이 형성되었다. 철괴는 생성 위치에따라 다른 형태의 미세조직과 함탄량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체적으로는 바닥부에 형성된 철의 함탄량이 상부에 형성된 철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조업에서도 직접 단야 조업에 활용할 수 있는 철소재와 함탄량이 높아 탈탄 처리하거나 주조에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의 다양한 철이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2차 실험 유출 슬래그를 제외하면 대부분 철함량이 낮은 유리질 슬래그가 형성된 것으로 보아 철과의 분리가 잘 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고학적 자료를 기본으로 하여 고대 제철로를 복원하고 전통 방법에 의한 조업을 실시함으로써 고대의 철생산 공정에 대한 연구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지속적인 실험을 실시하여 백제제철기술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번역하기

      한국 고대 제철기술의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백제 4세기대 유적인 진천 석장리 B-23호 원형 제철로를 모델로 제철로를복원하고 전통 방법에 의한 고대 철생산 실험을 실시하였다. 2014...

      한국 고대 제철기술의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백제 4세기대 유적인 진천 석장리 B-23호 원형 제철로를 모델로 제철로를복원하고 전통 방법에 의한 고대 철생산 실험을 실시하였다. 2014년도부터 예비실험을 포함하여 수차례의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본고에서는 1차 및 2차 실험 결과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원료와 연료는 각각 철광석(자철석)과 목탄(참나무숯)을 사용하였으며 송풍은 4인용 발풀무를 사용하였다. 제련 생성물은 대부분 노하부에 철괴, 슬래그, 목탄이 뒤섞인 상태로 되어 있었는데 배재부와 송풍관을 기준으로 절단하여 위치별 철괴의 양을 측정한 결과 주로 송풍관측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철이 형성되었다. 철괴는 생성 위치에따라 다른 형태의 미세조직과 함탄량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체적으로는 바닥부에 형성된 철의 함탄량이 상부에 형성된 철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조업에서도 직접 단야 조업에 활용할 수 있는 철소재와 함탄량이 높아 탈탄 처리하거나 주조에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의 다양한 철이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2차 실험 유출 슬래그를 제외하면 대부분 철함량이 낮은 유리질 슬래그가 형성된 것으로 보아 철과의 분리가 잘 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고학적 자료를 기본으로 하여 고대 제철로를 복원하고 전통 방법에 의한 조업을 실시함으로써 고대의 철생산 공정에 대한 연구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지속적인 실험을 실시하여 백제제철기술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권일, "한반도의 제철유적" 2012

      2 이남규, "한반도의 제철유적"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2

      3 신경환, "한반도의 제철유적"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2

      4 문희수, "한국의 광상" 아카넷 2007

      5 국립청주박물관, "한국 고대 철생산 유적 발굴조사-진천 석장리 유적-" 2004

      6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중원의 제철유적" 2012

      7 양훈영, "제철제강공학" 문운당 1980

      8 김권일, "제철유적 조사연구법 시론" 국립문화재연구소 43 (43): 144-179, 2010

      9 과학기술부, "전통 제철로 복원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999

      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통 제철로 복원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부 1999

      1 김권일, "한반도의 제철유적" 2012

      2 이남규, "한반도의 제철유적"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2

      3 신경환, "한반도의 제철유적"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2

      4 문희수, "한국의 광상" 아카넷 2007

      5 국립청주박물관, "한국 고대 철생산 유적 발굴조사-진천 석장리 유적-" 2004

      6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중원의 제철유적" 2012

      7 양훈영, "제철제강공학" 문운당 1980

      8 김권일, "제철유적 조사연구법 시론" 국립문화재연구소 43 (43): 144-179, 2010

      9 과학기술부, "전통 제철로 복원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999

      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통 제철로 복원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부 1999

      11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전통 제철 복원 실험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0

      12 박장식, "백제 단조철부의 제작기법 연구" 3 : 2000

      13 정광용, "동아시아 고대 철 문화의 비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08

      14 윤동석, "고대제철시 생긴 철재에 대하여" 25 : 1986

      15 세연철박물관, "고대제철 복원 실험 보고서" 2003

      16 어창선, "忠州 製鐵遺蹟의 現況과 性格" 한국고대학회 (35) : 279-308, 2011

      17 Friede, H. M., "Thermal aspects of the smelting of iron ore in reconstructed South African Iron Age furnaces" 84 : 9-, 1984

      18 Leon, Kapp., "The Art of the Japanese Sword" Tuttle Publishing 2012

      19 Thiele, A., "Smelting experiments in the early medieval fajszi-type bloomery and the metallurgy of iron bloom" 54 : 2-, 2010

      20 Tylecote, R. F., "Metallurgy in Archaeology" Edward Arnold LTD 1962

      21 Sauder, L., "A practical treastise on the smelting and smithing of bloomerty iron" 36 : 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