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분 탐사를 통해 본 한·일 물리탐사의 성과와 과제 = Achievements and Tasks of Korea-Japan Geophysical Exploration through Burial mounds Explo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698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eophysical survey of Korea was introduced in Nar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n 1995. At that time, it has been activated geophysical survey of architecture and civil engineering in Korea. But there was no exploration experts to be combined the archaeology. For this reas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has introduced the physical exploration. Through the expert exchanges South Korea and Japan carried out joint exploration. And it has increased the reliability of the exploration method and exploration results. It is GPR the most method commonly in geophysical exploration. There are many usability before excavation because of good resolution. However, the shallow GPR penetration depth has limitations in large mounds. We were able to take advantage of the resistivity analysis program to study the underground structure to deep through the experts exchange. We was able to get a good result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GPR exploration in a number of burial mounds including Naju bokamri by the resistivity analysis program. In particular, we confirmed the location of the burial main body by compares the results of exploration and excavation results. In the future we will perform a convergence research of exploration and archaeology through a variety of joint research. In addition we will have to build a new network of archaeological science.
      번역하기

      Geophysical survey of Korea was introduced in Nar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n 1995. At that time, it has been activated geophysical survey of architecture and civil engineering in Korea. But there was no exploration experts to...

      Geophysical survey of Korea was introduced in Nar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n 1995. At that time, it has been activated geophysical survey of architecture and civil engineering in Korea. But there was no exploration experts to be combined the archaeology. For this reas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has introduced the physical exploration. Through the expert exchanges South Korea and Japan carried out joint exploration. And it has increased the reliability of the exploration method and exploration results. It is GPR the most method commonly in geophysical exploration. There are many usability before excavation because of good resolution. However, the shallow GPR penetration depth has limitations in large mounds. We were able to take advantage of the resistivity analysis program to study the underground structure to deep through the experts exchange. We was able to get a good result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GPR exploration in a number of burial mounds including Naju bokamri by the resistivity analysis program. In particular, we confirmed the location of the burial main body by compares the results of exploration and excavation results. In the future we will perform a convergence research of exploration and archaeology through a variety of joint research. In addition we will have to build a new network of archaeological sci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고고학적 물리탐사는 1995년 일본 나라문화재연구소에서 활용 중인 물리탐사를 참고로 국내에 도입되었다. 도입 당시 한국에서는 건축, 토목분야에서 물리탐사가 활성화되어 있었지만 고고학에 접목시켜 탐사를 하는 전문가는 없었다. 이에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고고 물리탐사를 도입하기 시작하여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고, 그간 한국과 일본은 탐사 전문가 교류를 통해 공동 탐사 등을 진행하고 탐사방법의 개선과 탐사 결과의 신뢰성을 높여 왔다. 고고학적 물리탐사 방법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방법은 GPR 탐사법이다. 이는 투과 깊이는 낮지만 해상도가 뛰어나 발굴 착수 전에 활용성이 좋다. 하지만 GPR 탐사의 레이더 투과 깊이가 얕아 대형 고분 등에서 한계성이 있다. 한국과 일본의 물리탐사 전문가 교류 등을 통해 보다 깊은 곳까지 지하구조를 연구할 수 있도록 전기비저항 분석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고분탐사에 적용할 수 있었다. 이에 나주 복암리 고분을 비롯한 다수의 고분에서 GPR 탐사의 한계를 극복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특히, 탐사 결과와 발굴조사결과를 비교하여 고분 내의 매장 주체부 등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향후 한국과 일본은 다양한 공동연구 등을 통하여 탐사와 고고학과의 융복합 연구를 수행하고 고고 과학 분야의 새로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한국의 고고학적 물리탐사는 1995년 일본 나라문화재연구소에서 활용 중인 물리탐사를 참고로 국내에 도입되었다. 도입 당시 한국에서는 건축, 토목분야에서 물리탐사가 활성화되어 있었지...

      한국의 고고학적 물리탐사는 1995년 일본 나라문화재연구소에서 활용 중인 물리탐사를 참고로 국내에 도입되었다. 도입 당시 한국에서는 건축, 토목분야에서 물리탐사가 활성화되어 있었지만 고고학에 접목시켜 탐사를 하는 전문가는 없었다. 이에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고고 물리탐사를 도입하기 시작하여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고, 그간 한국과 일본은 탐사 전문가 교류를 통해 공동 탐사 등을 진행하고 탐사방법의 개선과 탐사 결과의 신뢰성을 높여 왔다. 고고학적 물리탐사 방법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방법은 GPR 탐사법이다. 이는 투과 깊이는 낮지만 해상도가 뛰어나 발굴 착수 전에 활용성이 좋다. 하지만 GPR 탐사의 레이더 투과 깊이가 얕아 대형 고분 등에서 한계성이 있다. 한국과 일본의 물리탐사 전문가 교류 등을 통해 보다 깊은 곳까지 지하구조를 연구할 수 있도록 전기비저항 분석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고분탐사에 적용할 수 있었다. 이에 나주 복암리 고분을 비롯한 다수의 고분에서 GPR 탐사의 한계를 극복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특히, 탐사 결과와 발굴조사결과를 비교하여 고분 내의 매장 주체부 등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향후 한국과 일본은 다양한 공동연구 등을 통하여 탐사와 고고학과의 융복합 연구를 수행하고 고고 과학 분야의 새로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종우, "토모그래피에 의한 북한지역의 지각구조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3

      2 오현덕, "유적발굴에 있어 지구물리 방법의 응용에 관한 연구 : 원주 법천리, 고성 송학동, 경주, 소연평도, 일본 요시노가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2

      3 국립문화재연구소, "유적발굴과 물리탐사" 2006

      4 이명종, "고총고분 조사를 위한 3차원 전기비저항 영상화"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5 국립문화재연구소, "고분과 물리탐사" 2011

      6 오현덕, "경주 월성 지하유구에 대한 GPR 탐사자료의 고고학적 해석" 한국물리탐사학회 7 (7): 256-261, 2004

      7 東憲章, "特別史跡西都原古墳群地中探査・地下マップ制作事業報告書(1)" 宮崎県教育委員会 2012

      8 東憲章, "ベールを脱いだ男狭穂塚女狭穂塚~地中レーダー探査による墳形復元~" (4) : 2008

      9 Goodman, D., "GPR Survey Methods and Visualization on Mounded Tombs" 2011

      10 신종우, "Crustal Structure of the Northern Korean Peninsula using Local Tomography" 한국도시방재학회 2003

      1 신종우, "토모그래피에 의한 북한지역의 지각구조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3

      2 오현덕, "유적발굴에 있어 지구물리 방법의 응용에 관한 연구 : 원주 법천리, 고성 송학동, 경주, 소연평도, 일본 요시노가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2

      3 국립문화재연구소, "유적발굴과 물리탐사" 2006

      4 이명종, "고총고분 조사를 위한 3차원 전기비저항 영상화"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5 국립문화재연구소, "고분과 물리탐사" 2011

      6 오현덕, "경주 월성 지하유구에 대한 GPR 탐사자료의 고고학적 해석" 한국물리탐사학회 7 (7): 256-261, 2004

      7 東憲章, "特別史跡西都原古墳群地中探査・地下マップ制作事業報告書(1)" 宮崎県教育委員会 2012

      8 東憲章, "ベールを脱いだ男狭穂塚女狭穂塚~地中レーダー探査による墳形復元~" (4) : 2008

      9 Goodman, D., "GPR Survey Methods and Visualization on Mounded Tombs" 2011

      10 신종우, "Crustal Structure of the Northern Korean Peninsula using Local Tomography" 한국도시방재학회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