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가야 시기 고령 고아리 벽화 고분의보존 상태 연구 = The Research of Condition for Mural Tomb in Goa-ri, Goryeong in Gaya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698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ural tomb in Goa-ri(Goryeong) built in the 6th Century Gaya period investigated precisely by the scientific method. They were used to optical equipments for investigation and made a damage map according to the damaging types. The mortar layer was mostly exfoliated from the rest of the wall except for the burial chamber ceiling and corridor ceiling. Also painting layers rarely not observed. Most of the paintings were damaged except lotus painting in burial chamber ceiling. Various damage types that exfoliation, earthen dirt, film coating were found in murals. Damage factors of mural were the porous characteristics of mortar layer and the movement of moisture in the murals. They were caused physical damage such as crack, exfoliation. It was getting worse and causing to secondary damage like earthen dirt, film coating
      번역하기

      Mural tomb in Goa-ri(Goryeong) built in the 6th Century Gaya period investigated precisely by the scientific method. They were used to optical equipments for investigation and made a damage map according to the damaging types. The mortar layer was mos...

      Mural tomb in Goa-ri(Goryeong) built in the 6th Century Gaya period investigated precisely by the scientific method. They were used to optical equipments for investigation and made a damage map according to the damaging types. The mortar layer was mostly exfoliated from the rest of the wall except for the burial chamber ceiling and corridor ceiling. Also painting layers rarely not observed. Most of the paintings were damaged except lotus painting in burial chamber ceiling. Various damage types that exfoliation, earthen dirt, film coating were found in murals. Damage factors of mural were the porous characteristics of mortar layer and the movement of moisture in the murals. They were caused physical damage such as crack, exfoliation. It was getting worse and causing to secondary damage like earthen dirt, film coat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6C 대가야시기에 축조된 고령 고아리 벽화 고분의 보존 상태를 과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정밀하게 조사하였다. 광학적 장비를 활용하여 보존 상태를 조사하고 손상 유형에 따라 손상 지도를 작성하였다. 현실 및 연도 천장을 제외한 나머지 벽면은 백색 모르타르층이 대부분 박락되어 유실된 상태이며, 채색층의 흔적도 거의 관찰할 수 없다. 현실과 연도 천장에 남아있는 벽화의 경우는 연화문만 일부 확인되며 대부분은 도상의 형태가 파악이 불가능 할 정도로 손상되었다. 벽화에서 관찰되는 손상 유형 중 박락, 갈색 오염물, 피막의 손상 정도가 높게 관찰되었다. 연구 결과, 벽화의 손상요인은 벽화의 구성 물질인 모르타르의 다공질 특성과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인한 고분 내부의 수분 이동이 결부되면서 박리, 균열 등의 물리적 손상이 발생되며, 박락, 유실 등의 손상으로 심화되면서 토양 및 수분 유입에 의한 피막, 갈색 오염과 같은 2차 손상을 야기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6C 대가야시기에 축조된 고령 고아리 벽화 고분의 보존 상태를 과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정밀하게 조사하였다. 광학적 장비를 활용하여 보존 상태를 조사하고 손상 유형에 따라 손상 지도를 ...

      6C 대가야시기에 축조된 고령 고아리 벽화 고분의 보존 상태를 과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정밀하게 조사하였다. 광학적 장비를 활용하여 보존 상태를 조사하고 손상 유형에 따라 손상 지도를 작성하였다. 현실 및 연도 천장을 제외한 나머지 벽면은 백색 모르타르층이 대부분 박락되어 유실된 상태이며, 채색층의 흔적도 거의 관찰할 수 없다. 현실과 연도 천장에 남아있는 벽화의 경우는 연화문만 일부 확인되며 대부분은 도상의 형태가 파악이 불가능 할 정도로 손상되었다. 벽화에서 관찰되는 손상 유형 중 박락, 갈색 오염물, 피막의 손상 정도가 높게 관찰되었다. 연구 결과, 벽화의 손상요인은 벽화의 구성 물질인 모르타르의 다공질 특성과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인한 고분 내부의 수분 이동이 결부되면서 박리, 균열 등의 물리적 손상이 발생되며, 박락, 유실 등의 손상으로 심화되면서 토양 및 수분 유입에 의한 피막, 갈색 오염과 같은 2차 손상을 야기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파주 서곡리 고려벽화묘 발굴조사 보고서"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93

      2 한경순 외, "진파리 1, 4호 벽화고분 손상상태 조사 및 응급보존처리 방안 연구 남북공동 고구려 벽화고분 보존연구 보고서" 남북역사학자협의회·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3 이화수, "대가야 고아동 고분벽화 제작기술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0 (30): 457-466, 2014

      4 정용재, "고령 고아리 벽화고분 장기보존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5 한경순, "고령 고아리 벽화고분 장기보존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2013

      6 한경순, "고구려 고분벽화 오염물질 제거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2 : 99-108, 2008

      7 Han, K. S., "Study on the Painting Methods of Mural Paintings in Ancient Tombs of Goguryeo Using SEM" Microscopy Society of America 19 : 2013

      8 Han, K. S.,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of the Buddhist Mural Paintings of Korea" University of Herzen State Pedagogical 2003

      9 Mora, "Conservation of Wall Paintings" Butterwoth 1984

      1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파주 서곡리 고려벽화묘 발굴조사 보고서"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93

      2 한경순 외, "진파리 1, 4호 벽화고분 손상상태 조사 및 응급보존처리 방안 연구 남북공동 고구려 벽화고분 보존연구 보고서" 남북역사학자협의회·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3 이화수, "대가야 고아동 고분벽화 제작기술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0 (30): 457-466, 2014

      4 정용재, "고령 고아리 벽화고분 장기보존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5 한경순, "고령 고아리 벽화고분 장기보존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2013

      6 한경순, "고구려 고분벽화 오염물질 제거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2 : 99-108, 2008

      7 Han, K. S., "Study on the Painting Methods of Mural Paintings in Ancient Tombs of Goguryeo Using SEM" Microscopy Society of America 19 : 2013

      8 Han, K. S.,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of the Buddhist Mural Paintings of Korea" University of Herzen State Pedagogical 2003

      9 Mora, "Conservation of Wall Paintings" Butterwoth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