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기 놀이와 교육, 현시와 해체 = Play and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Presentation and Deconstru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5263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그동안 교육학적 틀에서 하나로 중심화되었던 놀이와 교육을, 중심으로부터 빼냄(감산)으로 그 자체로 다수성을 가진 존재로 현시되고 있는 놀이와 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5월부터 10월까지 6개월 간 연구현장인 H대안학교에서 11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현장관찰, 면담, 문서화 된 기록들을 수집하였으며, 현상학적 해석학을 연구방법으로 의미화하였다. 유아들의 삶으로 해체된 놀이와 교육은 그동안 교육과정 상에서 이해되었던 교육적 관념으로부터 벗어나 탈주하고 있었다. 이때 놀이는 의미화로부터, 그리고 교육은 구조화로부터 벗어나 있었다. 먼저 놀이의 탈의미화를 살펴보면, 놀이는 교육적 시선으로부터 벗어나 개별적 존재들의 존재론적 차이를 그 자체로 받아드리고 있었고, 그러한 과정에서 의미 없는 실천이 발생되고 있었다. 다음으로 교육의 탈구조화를 살펴보면 교육은 유아들의 삶이 먼저 현시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배우고자 하는 과정에서 가르침을 소환하고 있었다. 교육의 구조가 탈구조화 된 상황에서 교사는 그 자체로 난제를 안고 사는 존재였다. 해체된 놀이와 교육은 유아들의 삶으로부터 복잡하게 얽혀 연결됨을 통해 현시되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그동안 교육학적 틀에서 하나로 중심화되었던 놀이와 교육을, 중심으로부터 빼냄(감산)으로 그 자체로 다수성을 가진 존재로 현시되고 있는 놀이와 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

      이 연구는 그동안 교육학적 틀에서 하나로 중심화되었던 놀이와 교육을, 중심으로부터 빼냄(감산)으로 그 자체로 다수성을 가진 존재로 현시되고 있는 놀이와 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5월부터 10월까지 6개월 간 연구현장인 H대안학교에서 11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현장관찰, 면담, 문서화 된 기록들을 수집하였으며, 현상학적 해석학을 연구방법으로 의미화하였다. 유아들의 삶으로 해체된 놀이와 교육은 그동안 교육과정 상에서 이해되었던 교육적 관념으로부터 벗어나 탈주하고 있었다. 이때 놀이는 의미화로부터, 그리고 교육은 구조화로부터 벗어나 있었다. 먼저 놀이의 탈의미화를 살펴보면, 놀이는 교육적 시선으로부터 벗어나 개별적 존재들의 존재론적 차이를 그 자체로 받아드리고 있었고, 그러한 과정에서 의미 없는 실천이 발생되고 있었다. 다음으로 교육의 탈구조화를 살펴보면 교육은 유아들의 삶이 먼저 현시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배우고자 하는 과정에서 가르침을 소환하고 있었다. 교육의 구조가 탈구조화 된 상황에서 교사는 그 자체로 난제를 안고 사는 존재였다. 해체된 놀이와 교육은 유아들의 삶으로부터 복잡하게 얽혀 연결됨을 통해 현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expanding the horizon for understanding play &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y examining the meaning of play & education that present itself through the lives of young children, as a being with plurality in itself, through substracting from the center rather than a centralized understanding under the educational framework so far. To this end, I conducted field observations, interviews, and collected documented records on 11 young children at H, an alternative school, for 6 months from May to October 2019, and signified them in a phenomenological analytical method. Looking at the meaning of play & education that present dismantled from the lives of young children, play & education dismantled from the presented lives were breaking away from the educational concept. In the case of young children‘s play, they were accepting the existential differences of individual beings as they were, away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doing meaningless practices. In the case of young children‘s education, young children‘s lives came first in education with teaching being summoned in the process of learning. In a situation where the structure of education was deconstructed, teachers were faced with challenges. Dismantled play and education have appeared through connections to the lives of young children, and young children have achieved learning through complicated connections, sometimes through play and other times through edu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at expanding the horizon for understanding play &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y examining the meaning of play & education that present itself through the lives of young children, as a being with plurality in itself, through substrac...

      This study aimed at expanding the horizon for understanding play &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y examining the meaning of play & education that present itself through the lives of young children, as a being with plurality in itself, through substracting from the center rather than a centralized understanding under the educational framework so far. To this end, I conducted field observations, interviews, and collected documented records on 11 young children at H, an alternative school, for 6 months from May to October 2019, and signified them in a phenomenological analytical method. Looking at the meaning of play & education that present dismantled from the lives of young children, play & education dismantled from the presented lives were breaking away from the educational concept. In the case of young children‘s play, they were accepting the existential differences of individual beings as they were, away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doing meaningless practices. In the case of young children‘s education, young children‘s lives came first in education with teaching being summoned in the process of learning. In a situation where the structure of education was deconstructed, teachers were faced with challenges. Dismantled play and education have appeared through connections to the lives of young children, and young children have achieved learning through complicated connections, sometimes through play and other times through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기 Ⅱ. 연구방법 Ⅲ. 유아기 놀이와 교육의 현시와 해체 Ⅳ. 나오며 참고문헌
      • Ⅰ. 들어가기 Ⅱ. 연구방법 Ⅲ. 유아기 놀이와 교육의 현시와 해체 Ⅳ. 나오며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이문, "현상학과 분석철학" 지와사랑 2014

      2 Merleau-Ponty, M., "행동의 구조" 동문선 2008

      3 김영한, "해체주의와 해석학-데리다와 가다머" 10 : 272-400, 1998

      4 정대현, "학습본능 숲에서 놀다" 이책사 2017

      5 Van Manen, M., "체험연구-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 동녘 1994

      6 Gadamer. H. G., "진리와 방법1" 문학동네 2000

      7 Heidegger, M., "존재와 시간" 동서문화원 2016

      8 전가일, "자유놀이에서 유아의 관계맺기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9 Froebel, F., "인간 교육" S.F.M.연구소 출판부 2005

      10 Agamben, G., "유아기와 역사 : 경험의 파괴와 역사의 근원" 새물결 2010

      1 박이문, "현상학과 분석철학" 지와사랑 2014

      2 Merleau-Ponty, M., "행동의 구조" 동문선 2008

      3 김영한, "해체주의와 해석학-데리다와 가다머" 10 : 272-400, 1998

      4 정대현, "학습본능 숲에서 놀다" 이책사 2017

      5 Van Manen, M., "체험연구-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 동녘 1994

      6 Gadamer. H. G., "진리와 방법1" 문학동네 2000

      7 Heidegger, M., "존재와 시간" 동서문화원 2016

      8 전가일, "자유놀이에서 유아의 관계맺기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9 Froebel, F., "인간 교육" S.F.M.연구소 출판부 2005

      10 Agamben, G., "유아기와 역사 : 경험의 파괴와 역사의 근원" 새물결 2010

      11 이현정, "유아기 놀이와 교육의 이데올로기와 현대적 과제"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10 (10): 59-88, 2020

      12 Shevin, M. S., "유아교육과정의 재개념화" 창지사 2012

      13 박은혜, "유아교사 교육의 최근 연구 동향"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02

      14 Husserl, E., "유럽학문의 위기와 선험적 현상학" 한길사 2014

      15 Kay, J., "우회전략의 힘" 21세기북스 2010

      16 Hallward, P., "알랭바디우" 도서출판 길 2017

      17 김은영, "누리과정개정 정책연구" 교육부·충청남도교육청·육아정책연구소 2019

      18 Oh Chae Sun, "누리과정, 놀이와 교육의 변증법적 이해"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39 (39): 279-305, 2019

      19 정선아, "누리과정 개정 방향 및 특성 이해하기 -2019년 개정 누리과정 후속지원사업: 강사요원연수-"

      20 김심환, "개정 누리과정 적용에 따른 보육교직원의 안전관련 인식 및 현장사례" 2020

      21 King, N., "Reconceptualizing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Beginning the dialogue" Teachers College Press 43-61, 1992

      22 Oakeshott, M., "Rationalism in politics" Methuen 1962

      23 Dea Hyun Jung, "Autoethnography on identity of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Korean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5 (25): 247-266, 2020

      24 Hyun Jung Lee, "A Phenomenological Analytics Study on the Presented Play and Education in Children's Lives" The Anam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26 (26): 187-210, 2020

      25 교육부, "2019년 개정 누리과정 후속 지원사업"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5-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Critical Inquiry of Childhood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Young Children Becoming Curriculum
      KCI등재
      2022-05-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어린이교육비평 -> 영유아교육과정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Young Children Becoming Curriculum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레지오교육학회 ->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the Reggio Emilia Approach -> Korean Society for Critical Inquiry of Childhood Educ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