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실은 태반을 매장하는 행위인 안태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이에 따라, 조선 왕실은 풍수를 바탕으로 태반을 매장하는 독자적인 의식 문화를 발전시켰다. 공주에 있는 숙종대왕 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255378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7-70(1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왕실은 태반을 매장하는 행위인 안태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이에 따라, 조선 왕실은 풍수를 바탕으로 태반을 매장하는 독자적인 의식 문화를 발전시켰다. 공주에 있는 숙종대왕 태...
조선 왕실은 태반을 매장하는 행위인 안태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이에 따라, 조선 왕실은 풍수를 바탕으로 태반을 매장하는 독자적인 의식 문화를 발전시켰다. 공주에 있는 숙종대왕 태실은 1661년에 최초로 조성되었으며, 1683년에 석물을 더해 봉하였다. 그러나 숙종대왕 태실은 일제강점기 때 원형이 훼손돼 현재까지 비석 등 일부 석물만 남아 있는 상황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장조사를 통해 새롭게 발견된 동자주석 등의 석물을 토대로 숙종대왕 태실의 원형과 구조를 검토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국왕 가봉태실에 대한 양식적 검토를 정리하고 문헌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숙종대왕 태실의 원형 고증에 반영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숙종 태실의 원형이 일부 밝혀졌으나 향후 현장조사를 통해 석물이 추가로 발견되어 연구가 보완될 것을 기대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회정, "태실의 문화재지정 현황과 가치보존에 관한일고찰" 20 : 2015
2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충청남도 태실문화재 실태연구" 충청남도 2021
3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조선의 태실 Ⅰ" 1999
4 심현용, "조선시대 태실에 관한 고고학적 연구" 강원대학교 2015
5 유기원 ; 김기주, "조선 태조대왕 태실(胎室)의 형식과 특성" 한국건축역사학회 26 (26): 77-88, 2017
6 심현용, "조선 단종의 가봉태실에 대한 문헌·고고학적 검토" 국립문화재연구원 45 (45): 82-101, 2012
7 심현용, "예천의 태실과 조선시대 태실문화" 민속원 2021
8 심현용, "성주 세종대왕자태실 연구"
9 동원건축사사무소, "명봉리 조선왕실 태실유적 복원기본설계 및 종합정비 계획" 예천군 2015
10 심현용 ; 강재현 ; 김주영 ; 최한태, "대구 광해군 태실의 조성과 구조 복원" 국립고궁박물관 (14) : 7-31, 2021
1 김회정, "태실의 문화재지정 현황과 가치보존에 관한일고찰" 20 : 2015
2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충청남도 태실문화재 실태연구" 충청남도 2021
3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조선의 태실 Ⅰ" 1999
4 심현용, "조선시대 태실에 관한 고고학적 연구" 강원대학교 2015
5 유기원 ; 김기주, "조선 태조대왕 태실(胎室)의 형식과 특성" 한국건축역사학회 26 (26): 77-88, 2017
6 심현용, "조선 단종의 가봉태실에 대한 문헌·고고학적 검토" 국립문화재연구원 45 (45): 82-101, 2012
7 심현용, "예천의 태실과 조선시대 태실문화" 민속원 2021
8 심현용, "성주 세종대왕자태실 연구"
9 동원건축사사무소, "명봉리 조선왕실 태실유적 복원기본설계 및 종합정비 계획" 예천군 2015
10 심현용 ; 강재현 ; 김주영 ; 최한태, "대구 광해군 태실의 조성과 구조 복원" 국립고궁박물관 (14) : 7-31, 2021
11 낭성면지편찬위원회, "낭성면지" 청원군 2014
12 국립문화재연구소, "국역 태봉등록" 문화재청 2019
13 청원군, "82문화재 보수공사 설계승인신청(1982.3.9.)"
중일전쟁 이후 일제의 금속자원 통제와 건축자재 대용품 개발
한성부 시전의 형성과 조선 후기∼대한제국기 시전 공간의 특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 | 0.2 | 0.2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28 | 0.744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