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만성적이고 재발성이 강한 양극성 장애의 자가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스마트폰 베이스 어플리케이션과 접합하여 효용성이 높은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양극...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8414
-
2016년
Korean
양극성장애 ; Bipolar disorder ; Self-help therapy ; Smartphone-based treatment ; 스마트폰 ; 어플리케이션 ; 기분기록지 ; 기분 불안정성 ; 기분 감찰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만성적이고 재발성이 강한 양극성 장애의 자가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스마트폰 베이스 어플리케이션과 접합하여 효용성이 높은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양극...
본 연구에서는 만성적이고 재발성이 강한 양극성 장애의 자가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스마트폰 베이스 어플리케이션과 접합하여 효용성이 높은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양극성 장애 환자는 거의 모든 영역에서 기능 수준 저하를 나타내기 때문에, 지속적이고 정상적인 경제 활동에 어려움을 가질 수 있다(박재우, 2013). 양극성 장애 환자 중 50% 이상이 자살을 시도하고 그 중 6~20%는 실제 자살을 성공하는 것으로 보고된다(Novick, 2010). 양극성 장애의 치료법에서 가장 우선시되고 중요하게 표명되는 것은 약물 치료법이 대표적이나(Ozerdem, Oguz, Miklowitz, Cimilli, 2009), 약물치료법만으로 반복적인 조증과 우울 삽화를 예방하고 치료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Bouwkamp, et al., 2013). 약물치료법이 제대로 활용이 되려면, 약물 치료지속성(medication adherence)이 핵심적 요소가 될 수 있는데(Ozerdem, Oguz, Miklowitz, Cimilli, 2009), 환자의 약물 복용 여부를 관리하는 복지 체계가 구축된 바 없을 뿐 아니라, 설령 사설로 있다고 하더라도 그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양극성 장애환자는 많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환자 스스로 본인의 구조화된 삶을 구축하여 양극성 장애 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 자가치료 프로그램를 개발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1년차와 2년차로 구분하여, 각각 개발한 프로그램 치료 효과를 검증한다. 1년차에는 자가치료 프로그램을 중점적으로, 지필 방식의 자가치료를 시행하는 A집단과 평소와 같은 치료를 받는 B집단을 무선할당으로 선별하여 실험을 진행하고자 한다. 6개월 동안 치료가 시행될 예정이고, 그 뒤 A, B집단의 치료 효과 결과의 양적 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결과를 가진 집단을 파악하고, 특히 A짐단에서 치료 효과가 드러나지 않은 조건을 보유한 피험자를 선별하여 임상 전문가와의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질적 평가를 시행한다. 2년차에서는 1년차의 질적 평가를 통해 치료 효과 향상 방안을 모색하여, 치료 관련 스마트폰 베이스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한다. 무선할당을 통해 모집된 양극성 장애 환자를 A, B집단으로 분리하여, A집단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가치료를 시행하고 B집단은 지필 방식을 이용한 자가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실제 치료 매개체의 역할의 효용성에 대해 파악한다. 더 나아가 추적 연구를 실시하여 환자들의 재발율을 검토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기반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여 사회 발전에 기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chronic and recurrent and the development of a strong bipolar disorder self-treatment programs, and joining a smartphone-based applications and to present a high-efficiency new treatments. Because bipolar disorder is to represent the sk...
In this study, chronic and recurrent and the development of a strong bipolar disorder self-treatment programs, and joining a smartphone-based applications and to present a high-efficiency new treatments. Because bipolar disorder is to represent the skill levels decreased in almost all regions, persistent and may have difficulty in normal economic activity (Park, Jae – Woo, 2013). More than 50% of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attempt suicide, and the 6-20% of them are reported to be a real success suicide (Novick, 2010). The most priority is important to express in the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medication is typically or (Ozerdem, Oguz, Miklowitz, Cimilli, 2009), prevention of recurring mania and depressive episodes only medication and is not sufficient to treat many (Bouwkamp, et al., 2013). To become a drug treatments are utilized properly, medication persistence (medication adherence) This can be a key element (Ozerdem, Oguz, Miklowitz, Cimilli, 2009), as the welfare system to manage whether drugs the patient not been built rather, the private even if that bipolar patients who can afford the cost is not mu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grams, to develop self-healing that can be implemented with bipolar disorder patients by establishing a structured your life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