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개방형 문제 활용이 수학적 창의력과 뇌기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Open-ended Problems on Mathematical Creativity and Brain Fun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504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사회에서는 다양하고, 유연한 사고능력을 가진 창의적인 인재 육성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개방형 문제는 다양한 답을 찾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창의력 계발에 효과적인 학습방법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개방형 문제는 두뇌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최근 두뇌 기능 상태를 고려한 교수-학습 활동 개발의 필요성이 제안되면서 이를 위한 기초 연구로 학습자의 뇌파 측정 및 뇌파를 통한 교육 효과 검증 등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문제가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뇌파 측정을 통해 뇌기능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개방형 문제는 학습자의 수학적 창의력과 두뇌 각성, 긍정적인 학습 성향, 두뇌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문제 유형이었다. 따라서 개방형 문제가 꾸준히 개발되어 학생들에게 다양한 답을 찾는 문제 해결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업에도 적극 활용될 필요가 있다. 특히 개방형 문제 해결이 뇌기능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고려해 볼 때, 주의가 낮고, 수학 학습에 소극적인 학습자에게 개방형 문제를 제시하고, 꾸준한 학습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오늘날 사회에서는 다양하고, 유연한 사고능력을 가진 창의적인 인재 육성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개방형 문제는 다양한 답을 찾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창의력 계발에 효과적인 학습방법...

      오늘날 사회에서는 다양하고, 유연한 사고능력을 가진 창의적인 인재 육성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개방형 문제는 다양한 답을 찾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창의력 계발에 효과적인 학습방법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개방형 문제는 두뇌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최근 두뇌 기능 상태를 고려한 교수-학습 활동 개발의 필요성이 제안되면서 이를 위한 기초 연구로 학습자의 뇌파 측정 및 뇌파를 통한 교육 효과 검증 등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문제가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뇌파 측정을 통해 뇌기능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개방형 문제는 학습자의 수학적 창의력과 두뇌 각성, 긍정적인 학습 성향, 두뇌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문제 유형이었다. 따라서 개방형 문제가 꾸준히 개발되어 학생들에게 다양한 답을 찾는 문제 해결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업에도 적극 활용될 필요가 있다. 특히 개방형 문제 해결이 뇌기능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고려해 볼 때, 주의가 낮고, 수학 학습에 소극적인 학습자에게 개방형 문제를 제시하고, 꾸준한 학습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1. 개방형 문제
      • 2. 수학적 창의력
      • 요약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1. 개방형 문제
      • 2. 수학적 창의력
      • 3. 뇌파검사 및 뇌기능
      • 4. 선행연구의 고찰
      • III. 연구 방법
      • 1. 연구대상
      • 2. 검사도구
      • 3. 연구설계 및 절차
      • 4. 개방형 문제 개발
      • IV. 결과 및 논의
      • 1. 결과 분석
      • 2. 논의
      • V. 결론 및 제언
      • 1. 결론
      • 2.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인혜, "정신생리학" 학지사 1997

      2 정동권, "아동의 발전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한 open-ended problem의 활용" 29 (29): 1996

      3 이강섭, "수학과 창의력 평가에서 개방형 문항의 특성과 중학교 학생들의 반응유형에 관한 연구" 16 : 201-215, 2003

      4 남승인, "수학 창의성 신장을 위한 평가 문항 개발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 21 (21): 271-282, 2007

      5 한국교육개발원,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 2" 한국교육개발원 1997

      6 김용진, "문제풀이 활동에 뇌파 측정에 의한 두뇌 기능 상태의 평가" 28 (28): 291-301, 2000

      7 박병운, "뉴로피드백 입문" 한국정신과학연구소 2005

      8 김대식, "뇌파 검사학" 고려의학 2001

      9 백종숙, "개방형 학습활동이 수학적 창의력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 47 (47): 135-154, 2008

      10 배종수, "개방형 문제를 이용한 학습에 대한 아동의 태도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9 (9): 39-64, 2005

      1 이인혜, "정신생리학" 학지사 1997

      2 정동권, "아동의 발전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한 open-ended problem의 활용" 29 (29): 1996

      3 이강섭, "수학과 창의력 평가에서 개방형 문항의 특성과 중학교 학생들의 반응유형에 관한 연구" 16 : 201-215, 2003

      4 남승인, "수학 창의성 신장을 위한 평가 문항 개발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 21 (21): 271-282, 2007

      5 한국교육개발원,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 2" 한국교육개발원 1997

      6 김용진, "문제풀이 활동에 뇌파 측정에 의한 두뇌 기능 상태의 평가" 28 (28): 291-301, 2000

      7 박병운, "뉴로피드백 입문" 한국정신과학연구소 2005

      8 김대식, "뇌파 검사학" 고려의학 2001

      9 백종숙, "개방형 학습활동이 수학적 창의력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 47 (47): 135-154, 2008

      10 배종수, "개방형 문제를 이용한 학습에 대한 아동의 태도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9 (9): 39-64, 2005

      11 권오남, "개방형 문제 중심의 프로그램이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 44 (44): 307-323, 2005

      12 문성길, "개방형 교수법에 의한 수학지도가 문제해결력과 신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11 : 159-170, 2001

      13 Becker, J. P., "개방형 교수법" 경문사 1995

      14 박지영, "가설생성학습 후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뇌파 변화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2006

      15 Bruce, J. F., "Fisch and sphelmann's EEG primer(3rd Ed)" Elsevier 1999

      16 Jausověc, N., "Differences in cognitive processes between giftes intelligent, creative, and average individuals while solving complex problems: An EEG study" 28 : 213-237,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9 1.328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