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동중심 아동지표 연구 = An Evaluation of the Outcomes since Korea‘s Ratification of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463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유엔아동권리협약 비준 이후 아동권리협약이 담고 있는 이념과 가치들을 정책적으로 얼마나 구현하고, 국제적으로 약속한 아동권리 보장을 위한 조치들을 한국 정부가 어...

      본 연구는 한국의 유엔아동권리협약 비준 이후 아동권리협약이 담고 있는 이념과 가치들을 정책적으로 얼마나 구현하고, 국제적으로 약속한 아동권리 보장을 위한 조치들을 한국 정부가 어느 정도 이행해 오고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아동권리 개선을 위한 전문 학계의 연구 노력을 탐색함으로써 아동권리협약 비준 이후의 성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권리협약 비준 이후 20여년의 관련 법령 개정 내용과 아동 관련 의미 있었던 용역사업들을 정리하여 검토하고, 정부의 아동정책 수행의 결과로서의 한국 아동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 지표를 통해 아동의 생존과 보호, 발달권의 진전 및 유보적 상황을 드러내었으며, 관련 전문학회의 학술적 노력의 성과를 평가하면서 이를 토대로 향후 한국의 아동권리 보장을 위한 정책적, 학술적 과제들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valuate some outcomes since Korea joined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CRC) and searches for future tasks to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of Korean children.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child related laws, some i...

      This study aims to evaluate some outcomes since Korea joined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CRC) and searches for future tasks to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of Korean children.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child related laws, some institutional changes and national reports to the UN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Child by the Korean government are reviewed based on existing data and previous studies. The study evaluated the state of Korean children with respect to the rights to life, protection, and development. Some progress and limitations on the rights of Korean children were discussed and some suggestions are included in the study in order to realize the ideals of CRC and to improve the state of children are includ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옥경, "영유아기 권리에 대한 유엔의 권고 분석 - 유엔아동권리위원회의 일반논평을 중심으로-" 한국아동권리학회 16 (16): 27-49, 2012

      2 이옥, "아동중심의 아동지표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6 (16): 1-25, 2012

      3 Fattore, T., "When Children are Asked about their Well-being:Towards a Framework for Guiding Policy" 2 : 57-77, 2009

      4 d'Addio, A., "Trend and Determinants of Fertility Rate:The Role of Policy" KIHASA 2005

      5 Ben-Arieh, A., "The Child Indicators Movement:Past, Present and Future" 2007

      6 OECD, "Taxing Wages" Paris 2006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of Health and Welfare" 2011

      8 Office of the Minister for Children, "State of the Nation's Children. The Stationary Office" The Stationary Office 2007

      9 OECD, "Start Strong II. Early Education and Care" OECD 2006

      10 OECD, "Social Expenditure 1980-2005 OECD. Education database" 2011

      1 황옥경, "영유아기 권리에 대한 유엔의 권고 분석 - 유엔아동권리위원회의 일반논평을 중심으로-" 한국아동권리학회 16 (16): 27-49, 2012

      2 이옥, "아동중심의 아동지표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6 (16): 1-25, 2012

      3 Fattore, T., "When Children are Asked about their Well-being:Towards a Framework for Guiding Policy" 2 : 57-77, 2009

      4 d'Addio, A., "Trend and Determinants of Fertility Rate:The Role of Policy" KIHASA 2005

      5 Ben-Arieh, A., "The Child Indicators Movement:Past, Present and Future" 2007

      6 OECD, "Taxing Wages" Paris 2006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of Health and Welfare" 2011

      8 Office of the Minister for Children, "State of the Nation's Children. The Stationary Office" The Stationary Office 2007

      9 OECD, "Start Strong II. Early Education and Care" OECD 2006

      10 OECD, "Social Expenditure 1980-2005 OECD. Education database" 2011

      11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overty Statistics Yearly Report" 2011

      12 Bureau of Statistics, "Population Statistics in Korea"

      13 Korean Government, "National Report" Korean Government 2008

      14 Korean Government, "National Report" Korean Government 1999

      15 Korean Government, "National Report" Korean Government 1994

      16 Government Information Agency, "National Policy White Paper 4 under Participation Government" GIA 2008

      17 Vandivere, S., "Methods for creating indices of child well-being:Examples from the National Survey of America's Families" 2007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n Societal Indicators" 2011

      19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 "Korean Indicators on Children" Hagjeesa 2001

      20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dicators of Korean Society 2011" 2010

      21 Government Information Agency, "Five Years' Policy Resources under People's Government" GIA 2003

      22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 "Ethics of Child studies" Hagjeesa 2005

      23 Participation Solidarity Committee of Social welfare, "Children have Rights too" 1997

      24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2011b). Child Abuse Statistics, "Child Abuse Statistics 2011" KIHASA 2011

      25 Seoul Shinmoon, "Abortion, One Million per Year. 2004. 11. 10"

      26 Rhee, O., "A study on self care children in Korea, In Research on Day Care" Yangseowon 1992

      27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 comparison of welfare levels of OECD" Health and Welfare 2011

      28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 National Survey on the State of Self Care Children"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J Children's Rights -> 아동과 권리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1.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6 1.5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