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생쥐에 있어서 單一害球가 分離된 受精卵의 移植에 의한 새끼生産에 관한 硏究 = Studies on Offspring Production by Transfer of Biopsied Embryo in M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166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本 연구는 생쥐의 4細胞期胚에서 하나의 割球를 뽑아내는 새로운 割球分離技術인 biopsy에 대한 효율성과 分離된 受精卵과 分離한 割球의 생존성 및 새끼생산율을 검토한 結果이다.
      그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4細胞期胚에서 分離한 單一割球와 4細胞期胚를 M2 배양액에 배양한 結果, 單一割球는 82.6%가 영양배엽을 형성한 割球로 發生하였고 4細胞期胚로 89.5%가 胚盤胞期胚로 發生하였다.
      2. 4細胞期胚를 biopsy하여 하나의 割球가 分離된 受精卵과 대조구인 4細胞期胚를 M2배양액에서 배양한 결과 각각 83.3%와 90.4%가 胚盤細胞胚로 發生하였다.
      3. Biopsy하여 4細胞期胚에서 分離한 單一割球와 대조구인 4細胞期胚에서 4개의 割球로 분리한 單一割球를 M2 배양액에서 배양한 결과 각각 80.8%와 83.3%가 영양배엽을 형성한 割球로 發生하였다.
      4. 4細胞期胚에서 하나의 割球를 뽑아낸 受精卵과 대조구인 4細胞期胚를 수란생쥐에 이식한 결과 각각 36.0%와 48.6%의 새끼쥐 생산率을 얻었다.

      번역하기

      本 연구는 생쥐의 4細胞期胚에서 하나의 割球를 뽑아내는 새로운 割球分離技術인 biopsy에 대한 효율성과 分離된 受精卵과 分離한 割球의 생존성 및 새끼생산율을 검토한 結果이다. 그 結果...

      本 연구는 생쥐의 4細胞期胚에서 하나의 割球를 뽑아내는 새로운 割球分離技術인 biopsy에 대한 효율성과 分離된 受精卵과 分離한 割球의 생존성 및 새끼생산율을 검토한 結果이다.
      그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4細胞期胚에서 分離한 單一割球와 4細胞期胚를 M2 배양액에 배양한 結果, 單一割球는 82.6%가 영양배엽을 형성한 割球로 發生하였고 4細胞期胚로 89.5%가 胚盤胞期胚로 發生하였다.
      2. 4細胞期胚를 biopsy하여 하나의 割球가 分離된 受精卵과 대조구인 4細胞期胚를 M2배양액에서 배양한 결과 각각 83.3%와 90.4%가 胚盤細胞胚로 發生하였다.
      3. Biopsy하여 4細胞期胚에서 分離한 單一割球와 대조구인 4細胞期胚에서 4개의 割球로 분리한 單一割球를 M2 배양액에서 배양한 결과 각각 80.8%와 83.3%가 영양배엽을 형성한 割球로 發生하였다.
      4. 4細胞期胚에서 하나의 割球를 뽑아낸 受精卵과 대조구인 4細胞期胚를 수란생쥐에 이식한 결과 각각 36.0%와 48.6%의 새끼쥐 생산率을 얻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iability and the offspring production rate of single blastomeres and biopsied 4-cell mouse embryos and, also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biopsy.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erised as follows :
      1. The separated blastomeres from 4-cell embryos and intact 4-cell embryos which were cultured in Medium 2 were developed to trophoblastic vesicle and blastocyst embryo by 82.6% and 89.5%, respectively.
      2. The biopsied embryos from 4-cell embryos and intact 4-cell embryos which cultured in Medium 2 were developed to blastocyst embryo by 83.3% and 90.4%, respectively.
      3. The biospied blastomeres and the separated blastomeres from 4-cell embryos which were cultured in Medium 2 were developed to trophoblastic vesicle by 80.8% and 83.3%, respectively.
      4. The biopsied embryos from 4-cell embryos and intact 4-cell embryos were
      transferred to recipients, and the offspring rate was 36% and 48.6%, respectively.


      번역하기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iability and the offspring production rate of single blastomeres and biopsied 4-cell mouse embryos and, also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biopsy.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erised as follows : 1. The...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iability and the offspring production rate of single blastomeres and biopsied 4-cell mouse embryos and, also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biopsy.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erised as follows :
      1. The separated blastomeres from 4-cell embryos and intact 4-cell embryos which were cultured in Medium 2 were developed to trophoblastic vesicle and blastocyst embryo by 82.6% and 89.5%, respectively.
      2. The biopsied embryos from 4-cell embryos and intact 4-cell embryos which cultured in Medium 2 were developed to blastocyst embryo by 83.3% and 90.4%, respectively.
      3. The biospied blastomeres and the separated blastomeres from 4-cell embryos which were cultured in Medium 2 were developed to trophoblastic vesicle by 80.8% and 83.3%, respectively.
      4. The biopsied embryos from 4-cell embryos and intact 4-cell embryos were
      transferred to recipients, and the offspring rate was 36% and 48.6%, respectivel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