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 연구는 생쥐의 4細胞期胚에서 하나의 割球를 뽑아내는 새로운 割球分離技術인 biopsy에 대한 효율성과 分離된 受精卵과 分離한 割球의 생존성 및 새끼생산율을 검토한 結果이다. 그 結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2016645
1991
Korean
520.4
학술저널
29-36(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本 연구는 생쥐의 4細胞期胚에서 하나의 割球를 뽑아내는 새로운 割球分離技術인 biopsy에 대한 효율성과 分離된 受精卵과 分離한 割球의 생존성 및 새끼생산율을 검토한 結果이다. 그 結果...
本 연구는 생쥐의 4細胞期胚에서 하나의 割球를 뽑아내는 새로운 割球分離技術인 biopsy에 대한 효율성과 分離된 受精卵과 分離한 割球의 생존성 및 새끼생산율을 검토한 結果이다.
그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4細胞期胚에서 分離한 單一割球와 4細胞期胚를 M2 배양액에 배양한 結果, 單一割球는 82.6%가 영양배엽을 형성한 割球로 發生하였고 4細胞期胚로 89.5%가 胚盤胞期胚로 發生하였다.
2. 4細胞期胚를 biopsy하여 하나의 割球가 分離된 受精卵과 대조구인 4細胞期胚를 M2배양액에서 배양한 결과 각각 83.3%와 90.4%가 胚盤細胞胚로 發生하였다.
3. Biopsy하여 4細胞期胚에서 分離한 單一割球와 대조구인 4細胞期胚에서 4개의 割球로 분리한 單一割球를 M2 배양액에서 배양한 결과 각각 80.8%와 83.3%가 영양배엽을 형성한 割球로 發生하였다.
4. 4細胞期胚에서 하나의 割球를 뽑아낸 受精卵과 대조구인 4細胞期胚를 수란생쥐에 이식한 결과 각각 36.0%와 48.6%의 새끼쥐 생산率을 얻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iability and the offspring production rate of single blastomeres and biopsied 4-cell mouse embryos and, also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biopsy.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erised as follows : 1. The...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iability and the offspring production rate of single blastomeres and biopsied 4-cell mouse embryos and, also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biopsy.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erised as follows :
1. The separated blastomeres from 4-cell embryos and intact 4-cell embryos which were cultured in Medium 2 were developed to trophoblastic vesicle and blastocyst embryo by 82.6% and 89.5%, respectively.
2. The biopsied embryos from 4-cell embryos and intact 4-cell embryos which cultured in Medium 2 were developed to blastocyst embryo by 83.3% and 90.4%, respectively.
3. The biospied blastomeres and the separated blastomeres from 4-cell embryos which were cultured in Medium 2 were developed to trophoblastic vesicle by 80.8% and 83.3%, respectively.
4. The biopsied embryos from 4-cell embryos and intact 4-cell embryos were
transferred to recipients, and the offspring rate was 36% and 48.6%, respectively.
Cucumovirus에 의한 藥用植物 바이러스病의 發生에 대하여(Ⅰ)
파의 粗抽出物質이 菊花科 植物의 種子發芽 및 幼苗生育에 미치는 影響
Lilium elegans 'Connecticut King'의 促成栽培에 있어서 球根의 熟度 및 低溫處理期間이 生育 및 開花에 미치는 影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