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무지개 청소년센터 개소식 2006년 4월 24일 문을 연 무지개 청소년 센터의 개소식 현장. 다문화 사회로 나아갈 수 밖에 없는 한국 사회에서 새터민, 재외 동포 자녀, 외국인 노동자 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12699
200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무지개 청소년센터 개소식 2006년 4월 24일 문을 연 무지개 청소년 센터의 개소식 현장. 다문화 사회로 나아갈 수 밖에 없는 한국 사회에서 새터민, 재외 동포 자녀, 외국인 노동자 자...
1. 무지개 청소년센터 개소식
2006년 4월 24일 문을 연 무지개 청소년 센터의 개소식 현장. 다문화 사회로 나아갈 수 밖에 없는 한국 사회에서 새터민, 재외 동포 자녀, 외국인 노동자 자녀들에게 쉼터를 제공하고 이들을 교육한 교사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필요성 대두. 참석자들 새터민 청소년들의 한국사회 적응기를 듣고, 무지개 청소년 센터를 견학.
2. 하나원 개원 2주년 기념공연 (7월 14일)
하나원 개원 2주년 기념공연. 탈북자들의 독창과 단체 합창 등이 나오며, 발언과 노래 가사 등을 통해 자신들의 심정을 보여주고 있음.
3. 여의도 조선족 집회 동영상
중국 조선족 동포의 자유왕래 보장과 한국 사회 내 차별을 반대하는 재한 조선족의 집회. 친척 초대로 한국에 왔으나 한국 정부의 일관성 없는 취업관리 정책으로 불법 취업-체류자가 된 조선족 집회. 단순한 시위가 아니라 재한 조선족들이 함께 모여 음식을 나눠먹고, 노래하고, 상담한 커다란 축제로 모임 성격 변화.
4. 재일 조선 학생 예술단 리셉션
2002년 9월 2일 ~ 9일 사이에 서울과 전주에서 열렸던 재일 조선 학생 예술단의 공식 리셉션 현장. 총련계 청소년들이 남한 무대에 서는 떨림에 대해 이야기.
5. 전국 대학 연합 금강산 관광 (2005.11.)
전국 대학 연합으로 금강산을 찾은 대학생들과 교수들의 금강산 관광 스케치. 남한의 음악패 공연과 학생들의 금강산 관광 모습. 각 대학 총학생회가 준비한 행사와 일반 학생들의 단절, 상업화, 자본주의화 된 금강산 관광의 변화에 대해 살핌.
6. 하자센터 학교 설립 회의
대안 청소년 교육 시설인 하자센터를 설립하기 위한 모임. 하자센터의 의미와 대안적이면서도 실질적인 교육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공간 구성데 대해 토의. 직업 교육과 문화 훈련 기회를 갖는 것 사이의 문제에 대해 토론. 시골의 폐교 인수와 시내, 학교 위치에 대한 의견이 대립.
7. 늘푸른학교 교사모임 (늘푸른학교 개교 1주념 기념)
2003년 늘푸른학교 개교 1주년을 기념하여 늘푸른학교 교사들이 모임.
늘푸른학교 탈북 청소년의 보호와 남한 사회에 정착하기 위한 정책의 최선화 방안에 대한 토의.
8. 한누리 학교 수업 기록
새터민 학생들의 지도교사, 학생들의 수학능력에 대한 평가 설문 작성 토의. 지도교사들의 공통적인 어려움은 학생들이 의욕이 없다는 것. 선배 교사 윤상석이 아이들에게 흥미를 유발할 칭찬 기술과 그들을 이해하기 위해 학생들과의 상담을 녹음하는 등의 방법 소개.
1년간 수업의 마무리로 남한 학생들을 초대하여 남북 학생들이 함께 서로를 이해하는 수업. 자기 소개 시간을 갖고, 함께 공동작업으로 미술 활동. 활동이 끝난 후 자원봉사 교사들이 아이들에게 보내는 메시지 녹음. 학생들은 모과차와 떡을 만드는 실습 후 나눠 먹고 축구. (다른 날) 새터민 학생들은 지도교사와 함께 지하철 표를 끊고 지하철로 이동, “동북아 어린이 평화 그림전”을 관람.
새터민 아이들이 한누리 교사들과 함께 학교 밖의 놀이터에서 어울리며 오후를 보냄. 아이들은 놀이기구에서 놀기도 하고 다투기도 함. 학교로 돌아온 아이들은 바느질 수업. 붕어빵과 어묵을 먹으며 돈 계산을 실습. 가면 만들기 수업이 끝난 뒤, 아이들은 저금통에 모인 돈을 센다. 부엌에서 함께 간식을 만들자고 이야기(간식 만드는 장면은 촬영되지 않음). 종이 공작 수업에서 접은 종이로 ‘한누리 학교’ 종이 간판을 장식.
미술 수업 주제- “행복하고 평화로운 얼굴”. 교사들은 언제 평화롭다고 느끼는지 질문, 아이들은 대답을 하지 않거나 웃을 때라고 간단히 답. 쉬는 시간에 교실에서 놀던 아이들은 카메라를 보자 카메라로 달려들어 입김을 불기도 하고 여러 가지 표정을 지어보임. 지도교사가 아이들을 데리고 함께 림보 게임을 함. 고인돌이 있는 야외 공원으로 나온 아이들은 돌탑 쌓기를 하며 균형을 잡기 위해 여러 가지 시도. 각자의 돌탑이 완성되고 교사들은 각자의 톨탑 앞에서 사진을 찍어줌. 저녁이 되자 아이들은 ‘네모’를 이용해서 맘대로 상상해서 그림을 그려보라고 함. 집, 나무, 로봇 등 다양한 그림이 그려지고 교사는 학생들에게 네모 한 가지를 가지고도 사람마다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는 다양성 설명. 미술 수업후 과일과 우유 간식. 아이들이 칼을 휘두르자 위험하다고 경고. 아이들과 교사들이 함께 도둑 잡기 놀이.
국문 초록 (Abstract)
1. 무지개 청소년센터 개소식 2. 하나원 개원 2주년 기념공연 (7월 14일) 3. 여의도 조선족 집회 동영상 4. 재일 조선 학생 예술단 리셉션 5. 전국 대학 ...
1. 무지개 청소년센터 개소식
2. 하나원 개원 2주년 기념공연 (7월 14일)
3. 여의도 조선족 집회 동영상
4. 재일 조선 학생 예술단 리셉션
5. 전국 대학 연합 금강산 관광 (2005.11.)
2005.11.금강산
6. 하자센터 학교 설립 회의
7. 늘푸른학교 교사모임 (늘푸른학교 개교 1주념 기념)
남북한_늘푸른0001
남북한_늘푸른0002
남북한_늘푸른0003
남북한_늘푸른0004
남북한_늘푸른0005
남북한_늘푸른0006
남북한_늘푸른0007
8. 한누리 학교 수업 기록
남북한_한누리0001
남북한_한누리0002
남북한_한누리0003
남북한_한누리0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