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추재배에서 토성별 토양수분, 토양온도, 무기태질소 변화에 따른 CO<sub>2</sub> 배출량 평가 = Evaluation of CO<sub>2</sub> Emission to Changes of Soil Water Content, Soil Temperature and Mineral N with Different Soil Texture in Pepper Cultiv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009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veral researchers have proposed models or equations to predict soil $CO_2$ flux from more readily available biotic and abiotic measurement. Tree commonly used abiotic variables were N mineral and soil temperature and soil water content. This study w...

      Several researchers have proposed models or equations to predict soil $CO_2$ flux from more readily available biotic and abiotic measurement. Tree commonly used abiotic variables were N mineral and soil temperature and soil water cont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CO_2$ emission to mineral N, soil water content and soil temperature with clay loam and sandy loam in pepper cultivation in 2004~2005. $CO_2$ flux in the upland with different levels of soil water potential was measured at least once in two weeks during the cropping period in the pepper cultivation plots. Soil water potential in the clay loam and sandy loam soils was established at -30kPa and -50kPa by measuring the soil gravimetric water content with two replications. $CO_2$ emission rate from the differently managed plots was highly correlation coefficient to between the mineral N ($R=0.830^{**}$, $0.876^{**}$) and soil temperature ($r^2=0.793^{**}$, $0.804^{**}$) in the clay loam and sandy loam, respectively. Howe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CO_2$ emission and soil water content were non-significant. $CO_2$ emissions at sandy loam soils was lower to 21~37% than at clay loam soils for both soil water conditions without differences in yield. At difference levels of soil water conditions, $CO_2$ emission at -50kPa decreased to 37.5% in comparison with that at -30kPa. From the path analysis as to contribution factors of GHGs, it appeared that contribution rate was in the order of soil temperature (54.9%), mineral N (32.7%), and soil moisture content (12.4%).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시험포장은 수원시에 위치한 국립농업과학원의 기후변화생태과 시험포장에서 고추를 재배하여 식양토와 사양토의 2개 토성을 대상으로 각 관수시점을 -30kPa와 -50kPa에서 온실가스배출에 관...

      시험포장은 수원시에 위치한 국립농업과학원의 기후변화생태과 시험포장에서 고추를 재배하여 식양토와 사양토의 2개 토성을 대상으로 각 관수시점을 -30kPa와 -50kPa에서 온실가스배출에 관여하는 요인인 토양수분, 토양온도, 토양 중 무기태질소를 측정하여, $CO_2$배출 간의 관계와 배출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 시험의 연구 결과, 토양의 $CO_2$배출량과 무기태질소 그리고 토양온도에서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토양수분과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CO_2$ 배출량과 토양수분함량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CO_2$ 배출량과 토양온도 및 무기태질소의 상관계수는 식양토에서 $0.830^{**}$, $0.876^{**}$, 사양토에서 $0.793^{**}$, $0.804^{**}$로 상관은 고도로 유의하였다. 고추 재배기간 143일간 $CO_2$의 작기종합 배출량을 토양 토성에 따라 수분장력별로 처리하여 비교한 결과, 수분장력이 식양토에서 -30kPa에 비해 -50kPa에서 37.5%, 사양토는 50.0% 저감되었으며, 식양토에 비해 사양토에서 21.2~36.9% (-30kPa~-50kPa) 저감되었다. 고추밭에서 온실가스배출에 관여하는 무기태질소, 토양수분함량, 토양온도 등의 요인들 중 온실가스배출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위하여, $CO_2$배출에 대한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CO_2$배출에 대한 각 요인들 간의 기여도는 토양온도 (식양토; 46.6, 사양토; 69.7%), 무기태질소 (39.3, 26.2%), 토양수분함량 (14.1, 4.1%) 순으로 나타나, $CO_2$배출에 관여하는 요인 중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토양온도로 나타났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