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이 삼림식생의 구조와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여천공업단지 및 그 주변지역의 삼림에서 1992년 5월부터 1993년 8월까지 식물상, 삼림식생구조, 토양환경, 토양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0070768
1995
Korean
472.5
학술저널
57-77(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대기오염이 삼림식생의 구조와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여천공업단지 및 그 주변지역의 삼림에서 1992년 5월부터 1993년 8월까지 식물상, 삼림식생구조, 토양환경, 토양환...
대기오염이 삼림식생의 구조와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여천공업단지 및 그 주변지역의 삼림에서 1992년 5월부터 1993년 8월까지 식물상, 삼림식생구조, 토양환경, 토양환경과 삼림식생 구조와의 관계 등을 조사하였다.
1. 조사지역에서 출현하는 관속식물은 55과 107속 125 종 16 변종 2 품종으로 총 143 종류가 출현하였으며, 우점종은 곰솔 (Pinus thunbergii)이었다.
2. 삼림 군집구조는 오염원에 가까울수록 교목층이 빈약하고 하층식생이 단순하였으며, 오염원에서 멀리 떨어진 대조구에서는 층위구조가 뚜렷하고 하층식생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
3. 종다양성지수는 1.266~1.796으로서 오염원에 가까운 지역일수록 낮았고, 오염원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출현종수는 종다양성지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중요치는 곰솔이 12.2로 가장 높았고 졸참나무 (Quercus serata) 11.2, 때죽나무 (Styrax japonica) 10.4, 사스레피나무 (Eurya japonica) 9.3, 청미래덩굴 (Smilax china) 9.1등의 순이었다.
5. 층별 주요종의 중요치 변화를 보면, 교목층에서는 종다양성지수가 낮으 s지역으로 갈수록 소나무 (Pinus densifora)가 출현하지 않았고 참나무류 (Quercus spp.)는 전체 조사지소에서 다소 높은 중요치를 나타내었다.
관목층에서는 떠ㅐ죽나무가 종다양성지수가 가장 낮은 지역에서 현저하게 높은 중요치를 나타내었으며, 사스레피나무와 청미래덩굴은 대부분의 조사지소에서 중요치가 고르게 나타났다. 초본층에서는 미국자리공 (Phytolacca americana)과 댕댕이덩굴(Cocculus tribulus)이 종다양성지수가 낮은 지역에서 중요치가 증가하였다.
6. 조사지소별 중요치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소나무는 대기오염에 민감하고, 참나무류와 사스레피나무는 중간 정도이며, 때죽나무, 미국자리공, 댕댕이덩굴 등은 내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7. 조사지역의 토양환경은 pH 4.15~5.08, 전기전도도 52.0~138.0 ㎛ho·cm^-1, 유기물량 3.8~14.6%, 총질소량 0.05~0.28%, 유효인량 0.05~0.29mg·100g^-1, 유효황량 88~335ppm 등으로 각각 나타났다. 오염원에 인접한 조사지소 1에서는 pH 4.15, 전기전도도 138.㎛ho·cm^-1, 유효황량 294ppm 등이었고, 대조구로 선정된 조사지소 9에서는 pH 5.08, 전기전도도 52.7㎛ho·cm^-1, 유효황량 88ppm 등으로 나타나 많은 차이가 있었다.
9. 토양 환경요인과 삼림식생 구조와의 관계에서, 대기 중의 아황산가스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토양의 유효황량이 증가하였고, 토양의 유효황량은 출현종수 및 종다양성지수와 각각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lora, vegetation structure of forest, soil environme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oil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were investigated in the vicinity of Yeocheon Industrial Complex, Yeocheon-city, Choˇllanam-do in Korea from May 1992 to Au...
Flora, vegetation structure of forest, soil environme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oil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were investigated in the vicinity of Yeocheon Industrial Complex, Yeocheon-city, Choˇllanam-do in Korea from May 1992 to August 1993 with a view to reveal the influences of air pollution to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The flora of the study area was composed of 55 families, 107 genera, 125 species, 16 varieties and 2 forma or total 143 taxa of tracheophytes and dominant species was Pinus thunbergii. The species diversity indices (H') were lower near the pollution sources, and highest in the control site. The number of speci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pecies diversity indices. The importance value (I.V.) of Pinus thunbergii was highest as 12.3, and those of Quercus serrata, Styrax japonica, Eurya japonica and Smilax china were 11.0, 10.4, 9.3 and 9.1, respectively. In tree layer, Pinus densiflora was not distributed in the area which has lower species diversity indices, and Quercus spp. has rather high I.V. in all sites. In shrub layer, Styrax japonica showed remarkably high I.V. in area which has the lowest species diversity indices and Eurya japonica, Smilax china hold even I.V. in most of the sites. In herb layer, Phytolacca americana and Cocculus trilobus was increased in area which had low species diversity indice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with the importance values in each site, Pinus densifora was considered as sensitive to the air pollution, but Quercus spp. and Eurya japonica as intermediate, and Styrax japonica, Phytolacca americana and Cocculus trilobus as tolerant.
A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soil environmental factors, pH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the soil factors. The available sulfur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total nitrogen and available phosphorus. A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soil environmental factors and vegetation structure of forest, the available sulfur of soil incresed as concentration of SO₂ in the atmosphere was higher, and the available sulfur of soil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species and the species diversity indices.
Nitric Oxide Decomposition over Copper Ion-exchanged ZSM-5 Zeolites
工業團地 隣近의 月別 大氣 亞黃酸 濃度와 콩의 葉黃含量 및 收量構成要素와 이들의 關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