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기업 현장에서 팀장의 리더십 역할의 중요성과 기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실제적 문제인식과, 이에 비해 관련된 분야의 연구들이 한국적 상황과 맥락을 충분히 반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93952
-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기업 현장에서 팀장의 리더십 역할의 중요성과 기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실제적 문제인식과, 이에 비해 관련된 분야의 연구들이 한국적 상황과 맥락을 충분히 반영...
본 연구는 공기업 현장에서 팀장의 리더십 역할의 중요성과 기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실제적 문제인식과, 이에 비해 관련된 분야의 연구들이 한국적 상황과 맥락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학술적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한국 공기업 팀장의 리더십 구성요소 및 팀 효과성과의 관계를 질적․양적 방법을 사용하여 발견하고 검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먼저 공기업 내부평가에서 최고등급을 받은 팀장을 심층면접하여 분석한 연구자의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실증연구를 설계하여 양적 방법으로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연구 결과, 위계선형모형 분석을 통해서 공감대와 근무동기를 설명하는 데에는 위계선형모형의 여러 분석모형 중에서 개인차원의 변수만 설정한 무선모형이 최적모형임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공감대에는 개인차원변수 중에서는 변혁적 리더십과 수평적 리더십이 최적모형에서 유의미하며, 팀 차원에서는 최적모형은 아니지만 부분적으로 ‘팀장의 감성지능과 긍정심리자본’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근무동기에는 개인차원의 ‘변혁적 리더십, 수평적 리더십, 성별, 나이, 현재 팀에 근무한 기간’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factors of the team leaders in Korean public enterprises and the team effectiveness is discovered by the in-depth interviews and evaluated with survey results.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practi...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factors of the team leaders in Korean public enterprises and the team effectiveness is discovered by the in-depth interviews and evaluated with survey results.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practical problem recognition that the importance of the team leader’s leadership has been increased in Korean public enterprises, whereas previous studies do not sufficiently reflect Korean circumstances.
Specifically, the grounded theory method is utilized to analyze in-depth interview data with high-performing team leaders in Korean public enterprises. It is found that the leadership factors and variables of high-performing leaders are different from those which are used in previous leadership studies.
The result from the empirical study of the survey is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s.Results from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show that the random coefficient regression model, which uses individual level l (level 1) variables, is the optimal model for explanation of the consensus building and the work motivation. When the consensus building i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horizontal leadership are significant in level 1 variables. In team level (level 2), it is shown that the emotional intel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