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새로 발굴된 - 추사 김정희의 암행보고서 = On the newly-discovered ChuSa, Kim JeongHee` Report of traveling in secr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023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추사 김정희(1786~1856)는 조선후기 경학과 금석학, 고증학, 예술분야 등에서 당대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19세기 대표적 지성이다. 따라서 그와 관련된 자료는 언제나 주목의 대상이다. 여기 소...

      추사 김정희(1786~1856)는 조선후기 경학과 금석학, 고증학, 예술분야 등에서 당대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19세기 대표적 지성이다. 따라서 그와 관련된 자료는 언제나 주목의 대상이다. 여기 소개하는 김정희의 암행보고서는 1826년(순조26) 충청우도암행어사에 임명된 김정희(당시 나이 41세)가 충청우도와 경기도 일부를 암행하며 해당 고을의 공과를 적어 조정에 올린 친필 보고서이다. 본 자료는 왕실기록자료인 『일성록』에 내용의 전반이 수록돼 있으나 일부표현에 차이가 보이고 기술의 순서도 일부 다르며, 특히 보고서 중 「서계(書啓)」 첫 면의 내용은 본 자료에만 들어있다. 본 자료는 두 가지 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하나는 그동안 잘못 알고 있던 암행어사 임명시점이 새로 정정된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에 올리는 공식보고서에 나타난 추사체의 새로운 면모를 엿볼 수 있다는 점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 Chong-hui(1786-1856), whose pen name was Chusa, was a representative scholar who exerted great influence on confucianism, epigraphy, kojunghak(고증학) (a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and arts in the 19th century who lived during t...

      Kim Chong-hui(1786-1856), whose pen name was Chusa, was a representative scholar who exerted great influence on confucianism, epigraphy, kojunghak(고증학) (a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and arts in the 19th century who lived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the materials related to Kim`s works are always the center of attention. This material that I`d like to introduce is the report on the specific province`s lives to the King written by Kim while travelling incognito as Amhaeng-Eosa(Secret Royal Inspector) at Choongchungwoo-do and some area in Gyeonggi-do in twenty sixth year of King Sunjo(1826). This material is also included in Ilseongnok(Daily records of the royal court and important officials in Joseon Dynasty), however, different in some expressions and the order of descriptions. Especially, the content of the first page in Seogye is only found out in this Report. This report have a great significance in two aspects. One is to correct the appointed year as the Amhaeng-Eosa that has been misunderstood, and the other is that we can see Kim`s new calligraphic style called "Chusache" in his report to the K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국, "추사체의 형성과정과 성격" 추사연구회 118-154, 2004

      2 김세호숙, "추사예술의 형성과정,In 추사전학술대회논문집" 예술의 전당 28-33, 1992

      3 정병삼, "추사연보,In 한국의 미17 추사 김정희" 중앙일보사 215-218, 1988

      4 김응현, "추사서체의 형성과 발전,In 書如其人" 민족문화문고 간행회 367-375, 1987

      5 藤塚鄰, "추사 김정희 연구" 과천문화원 2009

      6 유홍준, "완당평전" 학고재 2002

      7 金明淑, "암행어사 김정희가 본 19세기 전반기 충청우도의 사회상" 한국사상문화학회 (37) : 155-184, 2007

      8 최완수, "김추사연구초" 지식산업사 1976

      9 "秋史 金正喜 暗行報告書"

      10 "朝鮮王朝實錄 純祖實錄"

      1 이동국, "추사체의 형성과정과 성격" 추사연구회 118-154, 2004

      2 김세호숙, "추사예술의 형성과정,In 추사전학술대회논문집" 예술의 전당 28-33, 1992

      3 정병삼, "추사연보,In 한국의 미17 추사 김정희" 중앙일보사 215-218, 1988

      4 김응현, "추사서체의 형성과 발전,In 書如其人" 민족문화문고 간행회 367-375, 1987

      5 藤塚鄰, "추사 김정희 연구" 과천문화원 2009

      6 유홍준, "완당평전" 학고재 2002

      7 金明淑, "암행어사 김정희가 본 19세기 전반기 충청우도의 사회상" 한국사상문화학회 (37) : 155-184, 2007

      8 최완수, "김추사연구초" 지식산업사 1976

      9 "秋史 金正喜 暗行報告書"

      10 "朝鮮王朝實錄 純祖實錄"

      11 "日省錄"

      12 "承政院日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2-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Learned Society of the Korean Culture -> The Association for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0-02-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Culture Journal -> The Review of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 study of Han Min Jok's culture -> THE Korean Culture Journal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Learned Society Of Han-Min-Jok'S Culture -> The Learned Society of the Korean Culture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9 1.04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