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HPC는 초고층 건물 및 초장대교의 경우 필연적으로 사용되어진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압축강도보다 낮은 휨강도 및 인장강도를 가지므로 취성균열이 발생하여 에너지 흡수능력이 저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054381
2017
Korean
53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4-20(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UHPC는 초고층 건물 및 초장대교의 경우 필연적으로 사용되어진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압축강도보다 낮은 휨강도 및 인장강도를 가지므로 취성균열이 발생하여 에너지 흡수능력이 저하...
UHPC는 초고층 건물 및 초장대교의 경우 필연적으로 사용되어진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압축강도보다 낮은 휨강도 및 인장강도를 가지므로 취성균열이 발생하여 에너지 흡수능력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강섬유의 혼입율과 형상비가 UHPC의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한다. 시리즈 I에서, 20㎜ 직선형 강섬유가 0, 1.0, 1.3, 1.5 및 2.0%의 혼입율로 첨가되었다. 시리즈 II에서는 16㎜ 강섬유를 0, 1, 1.5%로 혼입한 후 형상비에 따라 역학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압축강도의 차이는 미비했다. 하지만 휨강도 및 인장강도와 관련하여 혼입율 및 형상비가 증가함에 따라 휨성능 및 인장성능이 개선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is inevitably used in case of skyscraper and super long span bridge. In general, the flexural and the tensile strengths of concrete are lower than the compressive strength, so brittle cracks occur and energy absorption ...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is inevitably used in case of skyscraper and super long span bridge. In general, the flexural and the tensile strengths of concrete are lower than the compressive strength, so brittle cracks occur and energy absorption ability is lower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teel fiber volume fraction and aspect ratio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In series I, 20-mm straight steel fiber was added with a volume fraction of 0, 1.0, 1.3, 1.5 and 2.0%. In series II, 16-mm steel fiber was added with a volume fraction of 0, 1, and 1.5%, and then mechanical properties were examined according to aspect ratio. In the results of experiment, a difference in compressive strength was insignificant. However, regarding the flexural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as the volume fraction and aspect ratio increased, flexural performance and tensile performance improv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용,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2 윤의식, "고강도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및 장기변형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토목학회 26 (26): 401-409, 2006
3 Kim, Y. J, "System integration for hybrid cable stayed bridge : super bridge 200"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Trend 2009
4 Chun, H. M,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Toughness of Steel Fiber-Reinforced High-Strength Concerte" 24 (24): 455-458, 2004
5 Zhang, J, "Compressive strength and splitting tensile strength of steel fiber reinforced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SFRC)" 34 (34): 1441-1444, 2010
1 김성용,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2 윤의식, "고강도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및 장기변형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토목학회 26 (26): 401-409, 2006
3 Kim, Y. J, "System integration for hybrid cable stayed bridge : super bridge 200"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Trend 2009
4 Chun, H. M,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Toughness of Steel Fiber-Reinforced High-Strength Concerte" 24 (24): 455-458, 2004
5 Zhang, J, "Compressive strength and splitting tensile strength of steel fiber reinforced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SFRC)" 34 (34): 1441-1444, 2010
재령 및 배합특성을 고려한 보통 콘크리트의 강도, 염화물 확산계수, 통과전하량 변화 분석
고로슬래그 및 전기분해한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한 하이볼륨 시멘트 경화체의 수화특성
프리플레이스트 경량골재 콘크리트를 사용한 합성형 구조모듈 제작 및 성능 평가
나트륨계 알칼리 활성화제 조합에 따른 섬유보강 무시멘트 복합재료의 압축 및 인장특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1 | 0.31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559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