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CO₂를 다량 발생시키는 시멘트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서,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다량치환하고 기존 알칼리 자극제를 대체하여 전기분해한 알칼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054380
2017
Korean
53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8-13(6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CO₂를 다량 발생시키는 시멘트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서,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다량치환하고 기존 알칼리 자극제를 대체하여 전기분해한 알칼리 ...
본 연구는 CO₂를 다량 발생시키는 시멘트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서,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다량치환하고 기존 알칼리 자극제를 대체하여 전기분해한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한 하이볼륨 시멘트 경화체의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일반적인 시멘트를 사용한 시험체와 고로슬래그 미분말 40%, 60%에 일반적인 물과 전기분해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한 시험체에 대하여 압축강도, XRD 및 SEM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하는 경화체에 있어서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할 시 강도가 증가하고 입자 표면에 수화물이 다량 생성되는 결과를 얻었다. 특히,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40% 치환하고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한 경우, 일반적인 시멘트 경화체 보다 높은 압축강도를 발현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재령 10일에 한정하여 실시한 연구로서, 고로슬래그 및 전기분해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한 시험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xperimental study is purposed to analyze the effect of alkaline aqueous solution by electrolysis on strength development in order to develop high volume cement matrix using industrial by-products. Blast furnace slag was used a binder, and an alk...
This experimental study is purposed to analyze the effect of alkaline aqueous solution by electrolysis on strength development in order to develop high volume cement matrix using industrial by-products. Blast furnace slag was used a binder, and an alkaline aqueous solution obtained by electrolyzing pure water was used as an alkali activator. The hydration properties of these specimens were then investigated by compressive strength test, XRD and observation of micro-structures using SEM. As a result, we found that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alkaline aqueous solution which cement matrix incorporating blast furnace slag. But those strength decreased reversely when replacing ratio of blast furnace slag was increased. It is judged that results of engineering properties evaluation on the binder and alkaline aqueous solution are useful as a basic data for mixtures design and evaluation properties of high volume cement matrix using by-produc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찬우, "전해수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염색가공학회 18 (18): 43-48, 2006
2 이승헌, "알칼리 刺戟劑에 의해 高爐 水碎 슬래그의 周圍에 形成된 Reaction Rim의 特性"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18 (18): 42-48, 2009
3 박선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무시멘트 경화체의 반응 특성" 한국콘텐츠학회 13 (13): 392-399, 2013
4 Grotheer, M, "Industrial electrolysis and electrochemical engineering" spr 06 : 52-54, 2006
5 Kim, S. E., "Greenhouse gas regulation and response efforts and future direction of cement industry" 179 : 18-24, 2008
6 Chang, W. C, "A study on domestic &international status and countermeasures for global warming issues" 18 (18): 21-31, 1998
7 Jang, S.W, "A Study on the Latent Hydraulic Activity and Pozzolanic Properties of Concrete Admixtures" 2003
1 이찬우, "전해수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염색가공학회 18 (18): 43-48, 2006
2 이승헌, "알칼리 刺戟劑에 의해 高爐 水碎 슬래그의 周圍에 形成된 Reaction Rim의 特性"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18 (18): 42-48, 2009
3 박선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무시멘트 경화체의 반응 특성" 한국콘텐츠학회 13 (13): 392-399, 2013
4 Grotheer, M, "Industrial electrolysis and electrochemical engineering" spr 06 : 52-54, 2006
5 Kim, S. E., "Greenhouse gas regulation and response efforts and future direction of cement industry" 179 : 18-24, 2008
6 Chang, W. C, "A study on domestic &international status and countermeasures for global warming issues" 18 (18): 21-31, 1998
7 Jang, S.W, "A Study on the Latent Hydraulic Activity and Pozzolanic Properties of Concrete Admixtures" 2003
재령 및 배합특성을 고려한 보통 콘크리트의 강도, 염화물 확산계수, 통과전하량 변화 분석
강섬유 혼입율 및 형상비가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프리플레이스트 경량골재 콘크리트를 사용한 합성형 구조모듈 제작 및 성능 평가
나트륨계 알칼리 활성화제 조합에 따른 섬유보강 무시멘트 복합재료의 압축 및 인장특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1 | 0.31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559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