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김열규의 『한국문학사』(탐구당, 1983)가 가지는 한국문학 연구서로서의 특징과 성과를 살펴본다. 『한국문학사』는 시대와 장르를 넘나들면서 하나의 텍스트와 다른 텍스트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736765
류정월 (홍익대학교)
2023
Korean
Kim Yeol-gyu ;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 Samgukyusa ; deterritorialization ; reterritorialization ; rhizome ; escape ; nomadic subject. ; 김열규 ; 한국문학사 ; 삼국유사 ; 탈영토화 ; 재영토화 ; 리좀 ; 탈주 ; 유목적 주체.
KCI등재
학술저널
73-97(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김열규의 『한국문학사』(탐구당, 1983)가 가지는 한국문학 연구서로서의 특징과 성과를 살펴본다. 『한국문학사』는 시대와 장르를 넘나들면서 하나의 텍스트와 다른 텍스트의 ...
이 논문은 김열규의 『한국문학사』(탐구당, 1983)가 가지는 한국문학 연구서로서의 특징과 성과를 살펴본다. 『한국문학사』는 시대와 장르를 넘나들면서 하나의 텍스트와 다른 텍스트의 연결고리를 추적하는, 일종의 상호텍스트성의 궤적을 만든다. 이 논문에서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후기구조주의적 관점에 따라 ‘김열규’를 욕망하고 행동하는 주체이자, 기호체계에 귀속될 수밖에 없는 주체로 전제하며, 그러한 관점에서 새롭게 열리는 길이 어떤 것인지 살펴봄으로써 『한국문학사』의 특수성을 논하고자 한다.
이는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지는데, 하나는 『한국문학사』에서 이루어지는 시학적이며 구조적인 측면을, 다른 하나는 각 텍스트가 연계되는 다소 무질서해 보이는 리좀적 측면을 살피는 것이다. 『한국문학사』를 이루는 세 장은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연계되는데, 그 개별 텍스트(가령 <단군신화>) 분석에서 특히 시학적이며 구조적 시각은 두드러진다. 텍스트 세부를 다양한 이론들을 통해 읽어냄으로써 참신하고도 풍부한 논의를 생산한다. 또한 『삼국유사』가 현대 텍스트에까지 잇달아 있는 맥락을 밝히고자 한다는 점에서 통합의 의지를 드러내기도 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한국문학사』는 『삼국유사』뿐 아니라 현대문학 및 문화 콘텐츠들로 대상을 확대하면서 주 텍스트와 부 텍스트의 경계를 흐리게 한다. 이 텍스트에서 저 텍스트로, ‘그리고-그리고-그리고’로 무수히 확장되는 수평적 연결망은 마치 리좀과 유사하다.
마지막으로 본 논의는 이러한 두 측면의 관계를 밝히면서 결국 문학 작품의 유기성을 전제하는 통합과 종합의 의지가 리좀적 방향으로 견인된다고 본다. 『한국문학사』는 단순히 강의실 밖으로의 공간적 탈주 혹은 고전에서 현대로의 시간적 탈주뿐 아니라, 한국문학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요청하는 인식적 탈주를 감행하면서 결국 『한국문학사』는 한국문학을 봉쇄가 불가능한 대상으로 재영토화한다. 『한국문학사』는 ‘문학사 아닌’-‘새로운 문학사’의 사이에 있는 텍스트이며, 그 담론적 저자로서 김열규는 탈주선을 그리는, 당대로서는 유표화된 유목적 주체라 하겠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열규, "한국문학사의 현실과 이상" 새문사 1996
2 김열규, "한국문학사" 탐구당 1983
3 황패강, "한국고대서사문학의 Archetype" 4 : 1966
4 질 들뢰즈,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5 질 들뢰즈, "소수 집단의 문학을 위하여-카프카론" 문학과지성사 1992
6 송효섭, "석정이승욱선생회갑기념논총" 원일사 1991
7 츠베탕 토도로프, "바흐찐 : 문학사회학과 대화이론" 까치글방 1987
8 로널드 보고, "들뢰즈와 가타리" 중원문화 1995
9 박성수, "들뢰즈(Deleuze)" 이룸 2004
10 김기호, "단군신화에 관한 문학적 연구 현황과 전망" 민족문화연구소 (52) : 31-75, 2012
1 김열규, "한국문학사의 현실과 이상" 새문사 1996
2 김열규, "한국문학사" 탐구당 1983
3 황패강, "한국고대서사문학의 Archetype" 4 : 1966
4 질 들뢰즈,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5 질 들뢰즈, "소수 집단의 문학을 위하여-카프카론" 문학과지성사 1992
6 송효섭, "석정이승욱선생회갑기념논총" 원일사 1991
7 츠베탕 토도로프, "바흐찐 : 문학사회학과 대화이론" 까치글방 1987
8 로널드 보고, "들뢰즈와 가타리" 중원문화 1995
9 박성수, "들뢰즈(Deleuze)" 이룸 2004
10 김기호, "단군신화에 관한 문학적 연구 현황과 전망" 민족문화연구소 (52) : 31-75, 2012
11 김명인, "김구용의 탈영토화 양상 연구" 한국시학회 (72) : 37-76, 2022
12 노엘 맥아피, "경계에 선 줄리아 크리스테바" 앨피 2010
13 김열규, "韓國文學史" 1981
14 황패강, "<단군신화>의 한 연구" 백산학회 1967
15 이재원, "<단군신화>의 문학적 고찰(2)-구조와 모티프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16 : 1995
오규원의 ‘날이미지’ 시론 연구-구축의 맥락과 잠재력을 중심으로-
『삼국유사』에 나타난 아이의 서사적 기능과 의의 -兒와 童을 중심으로-
한국 『三國遺事』와 베트남 『嶺南摭怪列傳』의 여성 부처되기 서사 구조에 나타난 양성성 연구 -‘욱면’과 ‘만랑’을 비교해서-
195-60년대 여성 장편소설 속 남매 근친상간의 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