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실의 기간난방부하 산정을 위한 난방적산온도 비교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Accumulated Temperature for Seasonal Heating Load Calculation in Greenhou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539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establish the design criteria for seasonal heating load calculation in greenhouses, standard weather dataare required. However, they are being provided only at seven regions in Korea. So, instead of using standard weatherdata, in order to find the method to build design weather data for seasonal heating load calculation, heating degreehourand heating degree-day were analyzed and compared by methods of fundamental equation, Mihara’s equationand modified Mihara’s equation using normal and thirty years from 1981 to 2010 hourly weather data provided byKMA and standard weather data provided by KSES. Average heating degree-hours calculated by fundamental equationusing thirty years hourly weather data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m using standard weather data. The 24times of heating degree-day showed relatively big differences with heating degree-hour at the low setting temperature.
      Therefore, the heating degree-hour was considered more appropriate method to estimate the seasonal heatingload. And to conclude, in regions which are not available standard weather data, we suggest that design weather datashould be analyzed using thirty years hourly weather data. Average of heating degree-hours derived from every yearhourly weather data during the whole period can be established as environmental design standards, and also minimumand maximum of them can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energy estimation.
      번역하기

      To establish the design criteria for seasonal heating load calculation in greenhouses, standard weather dataare required. However, they are being provided only at seven regions in Korea. So, instead of using standard weatherdata, in order to find the ...

      To establish the design criteria for seasonal heating load calculation in greenhouses, standard weather dataare required. However, they are being provided only at seven regions in Korea. So, instead of using standard weatherdata, in order to find the method to build design weather data for seasonal heating load calculation, heating degreehourand heating degree-day were analyzed and compared by methods of fundamental equation, Mihara’s equationand modified Mihara’s equation using normal and thirty years from 1981 to 2010 hourly weather data provided byKMA and standard weather data provided by KSES. Average heating degree-hours calculated by fundamental equationusing thirty years hourly weather data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m using standard weather data. The 24times of heating degree-day showed relatively big differences with heating degree-hour at the low setting temperature.
      Therefore, the heating degree-hour was considered more appropriate method to estimate the seasonal heatingload. And to conclude, in regions which are not available standard weather data, we suggest that design weather datashould be analyzed using thirty years hourly weather data. Average of heating degree-hours derived from every yearhourly weather data during the whole period can be established as environmental design standards, and also minimumand maximum of them can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energy estim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각 지역별 온실의 기간난방부하 산정용 난방적산온도 자료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표준기상데이터가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에는 서울과 6대 광역시 등 7개지역만 표준기상데이터가 제공되고 있어서 이를 대체할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전국적으로 이용이 가능한기상자료는 기상청의 일별 평년값 자료 및 30년(1981~2010)간 매 시각 전체 기상자료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난방디그리아워와 난방디그리데이를 구하였다. 표준기상데이터가 있는 7개 지역을 대상으로 평년값 자료및 전체 기상자료를 사용하여 구한 난방디그리데이와 난방디그리아워를 표준기상데이터를 사용하여 구한 결과와비교하였다. 전체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기본식으로 구한난방디그리아워의 평균값이 표준기상데이터로 구한 것과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년값을 이용하여수정 Mihara식으로 구한 난방디그리아워도 표준기상데이터로 구한 것과 거의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에 비하여 평년값을 이용하여 Mihara식으로 구한 난방디그리아워는 표준기상데이터로 구한 것 보다 훨씬 작았고 전체 기상자료의 최소값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난방디그리아워와 동일한 단위로 환산했을 때, 난방 설정온도가 높을 경우에는 난방디그리데이와 난방디그리아워의차이가 별로 없었으나, 설정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난방디그리데이 방식이 난방디그리아워 방식보다 지역에 따라3~26%나 작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난방디그리데이는 평년값을 이용하여 기본식으로 구할 수 있기 때문에간편한 방법이지만 설정온도가 낮을 경우 오차가 크게 발생되므로 난방디그리아워 방식이 더 합리적인 방법으로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온실의 환경설계용 기상자료 구축에서 난방적산온도는 평년값과 동일한 30년간의 시간별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매년 난방디그리아워를 구하고 전체자료기간의 평균값을 설계 자료로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최대 및 최소 난방디그리아워 자료를 제공함으로써기상상황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예측 및 경제성 평가에활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우리나라 각 지역별 온실의 기간난방부하 산정용 난방적산온도 자료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표준기상데이터가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에는 서울과 6대 광역시 등 7개지역만 표준기상데이터가 ...

      우리나라 각 지역별 온실의 기간난방부하 산정용 난방적산온도 자료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표준기상데이터가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에는 서울과 6대 광역시 등 7개지역만 표준기상데이터가 제공되고 있어서 이를 대체할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전국적으로 이용이 가능한기상자료는 기상청의 일별 평년값 자료 및 30년(1981~2010)간 매 시각 전체 기상자료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난방디그리아워와 난방디그리데이를 구하였다. 표준기상데이터가 있는 7개 지역을 대상으로 평년값 자료및 전체 기상자료를 사용하여 구한 난방디그리데이와 난방디그리아워를 표준기상데이터를 사용하여 구한 결과와비교하였다. 전체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기본식으로 구한난방디그리아워의 평균값이 표준기상데이터로 구한 것과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년값을 이용하여수정 Mihara식으로 구한 난방디그리아워도 표준기상데이터로 구한 것과 거의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에 비하여 평년값을 이용하여 Mihara식으로 구한 난방디그리아워는 표준기상데이터로 구한 것 보다 훨씬 작았고 전체 기상자료의 최소값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난방디그리아워와 동일한 단위로 환산했을 때, 난방 설정온도가 높을 경우에는 난방디그리데이와 난방디그리아워의차이가 별로 없었으나, 설정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난방디그리데이 방식이 난방디그리아워 방식보다 지역에 따라3~26%나 작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난방디그리데이는 평년값을 이용하여 기본식으로 구할 수 있기 때문에간편한 방법이지만 설정온도가 낮을 경우 오차가 크게 발생되므로 난방디그리아워 방식이 더 합리적인 방법으로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온실의 환경설계용 기상자료 구축에서 난방적산온도는 평년값과 동일한 30년간의 시간별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매년 난방디그리아워를 구하고 전체자료기간의 평균값을 설계 자료로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최대 및 최소 난방디그리아워 자료를 제공함으로써기상상황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예측 및 경제성 평가에활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성환, "국내 15개 주요지역의 난방도일 재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설비공학회 22 (22): 436-441, 2010

      2 KMA, "Weather data(1981-2010)"

      3 Pedersen, L., "Use of different methodologies for thermal load and energy estimations in buildings including meteorological and sociological input parameters" 11 : 998-1007, 2007

      4 ASABE, "Standard: Heating, ventilating and cooling greenhouses, ANSI/ASAE EP406.4"

      5 Nam, S.W., "Present status of design technology for greenhouse environment and comparison of design weather data" 55 (55): 28-36, 2013

      6 KSES., "Korean Standard Weather Data"

      7 JGHA, "Handbook of protected horticulture" Japan Greenhouse Horticulture Association 127-152, 2007

      8 Yoon, J.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tus of standard weather data for evaluation of building energy performance" 32 (32): 7-14, 2003

      9 Kim, D.C., "Development of the standard computer software and weather data for cooling and heating load calculation" 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y 115-142, 1996

      10 Kim, M.K., "Design standards for greenhouse environment" Rural Development Corporation 130-137, 1997

      1 조성환, "국내 15개 주요지역의 난방도일 재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설비공학회 22 (22): 436-441, 2010

      2 KMA, "Weather data(1981-2010)"

      3 Pedersen, L., "Use of different methodologies for thermal load and energy estimations in buildings including meteorological and sociological input parameters" 11 : 998-1007, 2007

      4 ASABE, "Standard: Heating, ventilating and cooling greenhouses, ANSI/ASAE EP406.4"

      5 Nam, S.W., "Present status of design technology for greenhouse environment and comparison of design weather data" 55 (55): 28-36, 2013

      6 KSES., "Korean Standard Weather Data"

      7 JGHA, "Handbook of protected horticulture" Japan Greenhouse Horticulture Association 127-152, 2007

      8 Yoon, J.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tus of standard weather data for evaluation of building energy performance" 32 (32): 7-14, 2003

      9 Kim, D.C., "Development of the standard computer software and weather data for cooling and heating load calculation" 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y 115-142, 1996

      10 Kim, M.K., "Design standards for greenhouse environment" Rural Development Corporation 130-137, 1997

      11 Woo, Y.H., "Decision of period heating load with consideration for soil heat flux of greenhouse" 42 (42): 523-526, 2001

      12 Mihara, Y., "Computation formula for greenhouse heating degree hour with consideration for sunshine" 34 (34): 83-85, 1978

      13 Hayashi, M., "Comparison of actual and calculated heating degree hour and a proposition of heating degree hour diagram" 38 (38): 29-36, 1982

      14 이성복, "BES 프로그램을 이용한 국내 대표적 대형온실의 에너지 부하 예측" 한국농공학회 54 (54): 113-124, 2012

      15 Lee, S.G., "Analysis of the heating degree hour for greenhouses" 27 (27): 85-96, 1985

      16 Ko, J.K., "Agricultural structure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373-379, 1990

      17 Lindley, J.A., "Agricultural buildings and structures"

      18 Yoo, H.C., "A Study on the weather data with climate change scenarios in relation to building energy performanc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7-16, 2011

      19 SAREC., ". Handbook of facilities engineering. Vol. 2 Airconditioni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