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E7, PPAR-γ, PTEN 및 신규 염증성 싸이토카인 등의 다중 표적 조절인자를 이용한 자궁경부암 억제 기전 분석 = Analysis of inhibiting cervical cancer by using modulating agents multiple target-oriented to E7, PPAR-γ, PTEN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63870

      • 저자
      • 발행기관
      • 발행연도

        2015년

      • 작성언어

        Korean

      • KDC

        510

      • 자료형태

        국립의과학지식센터(NCMIK)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Ⅰ. Background and purpose : More than 90% human cancer are induced in epithelial cells. HPV infection results in cancer development. HPV E7 oncogene enhances COX-2 expression, proinflammatory cytokine IL-32 expression, followed by activation of PTEN, PI3K/Akt, reading to the oncogenesis of cervical cancer. This study was focused on identification of the optimized modulators and establishment of inhibiting methods against cervical cancer mediated via regulating signaling pathways.
      Ⅱ. Contents and Scope :
      1) Investigation of expression patterns of E7, PPARγ , PTEN, PI3K/Akt, and IL-32 in epithelial cells and cervical cancer tissues and cells. Analyses of expression profiling during tumorigenesis and corelation between expression patterns and oncogenesis.
      2) Modulating mechanisms targetting to HPV oncogene E7, PPAR-γ , PTEN, PI3K/Akt, IL-32
      - analysis of E7 induced COX-2, IL-32 expression
      - Analysis of controling cervical cancer using E7 siRNA, PPAR-γ agonist, IL-32 aptamer, IL-32 siRNA.
      - Analyses of feedback mechanism between E7 induced IL-32 isoform and COX-2 expression, and expression of PPAR-γ, PTEN, PI3K/Akt, IL-32 using multiple targeting modulators (E7 siRNA, PPAR-γ agonist, COX-2 inhibitor, IL-32 siRNA or aptamer, etc).
      Ⅲ. Results : Identification of optimized multiple targeting modulators and analysis of controliing methods against cervical cancer using multiple targeting modulators
      Ⅳ. Application : Bioresourses (PPAR-γ agonist, IL-32 aptamer, IL-32 siRNA, E7 siRNA, etc)
      번역하기

      Ⅰ. Background and purpose : More than 90% human cancer are induced in epithelial cells. HPV infection results in cancer development. HPV E7 oncogene enhances COX-2 expression, proinflammatory cytokine IL-32 expression, followed by activation of PTEN...

      Ⅰ. Background and purpose : More than 90% human cancer are induced in epithelial cells. HPV infection results in cancer development. HPV E7 oncogene enhances COX-2 expression, proinflammatory cytokine IL-32 expression, followed by activation of PTEN, PI3K/Akt, reading to the oncogenesis of cervical cancer. This study was focused on identification of the optimized modulators and establishment of inhibiting methods against cervical cancer mediated via regulating signaling pathways.
      Ⅱ. Contents and Scope :
      1) Investigation of expression patterns of E7, PPARγ , PTEN, PI3K/Akt, and IL-32 in epithelial cells and cervical cancer tissues and cells. Analyses of expression profiling during tumorigenesis and corelation between expression patterns and oncogenesis.
      2) Modulating mechanisms targetting to HPV oncogene E7, PPAR-γ , PTEN, PI3K/Akt, IL-32
      - analysis of E7 induced COX-2, IL-32 expression
      - Analysis of controling cervical cancer using E7 siRNA, PPAR-γ agonist, IL-32 aptamer, IL-32 siRNA.
      - Analyses of feedback mechanism between E7 induced IL-32 isoform and COX-2 expression, and expression of PPAR-γ, PTEN, PI3K/Akt, IL-32 using multiple targeting modulators (E7 siRNA, PPAR-γ agonist, COX-2 inhibitor, IL-32 siRNA or aptamer, etc).
      Ⅲ. Results : Identification of optimized multiple targeting modulators and analysis of controliing methods against cervical cancer using multiple targeting modulators
      Ⅳ. Application : Bioresourses (PPAR-γ agonist, IL-32 aptamer, IL-32 siRNA, E7 siRNA, et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Ⅰ. 연구개발의 필요성 및 목적 : 인체 암의 90%이상이 상피세포에서 유래함. 파필로마바이러스(HPV)는 상피세포 특이적 감염을 하여 생식기암, 자궁암 등을 유발함으로 상피세포의 암화기작 연구에 중요한 도구임. 자궁경부암세포에서 E7 oncogene에 의한 COX-2 발현증가 및 이에 따른 염증성 싸이토카인 IL-32의 발현유도 증가 및 PTEN, PI3K/Akt 등의 신호전달계 활성화에 의한 자궁경부암세포의 암화과정이 발달하는 것으로 알려짐.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자궁경부암세포의 암화과정 관련 신호전달계를 총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최적의 조절인자 확보 및 자궁경부암 억제기전 확립으로 자궁경부암 억제방안 제공.
      Ⅱ.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1) 상피세포 및 여러 자궁경부암 세포 및 조직에서의 E7, PPARγ , PTEN, PI3K/Akt, IL-32 들의 발현양상 조사, 암화과정에서 그 수식 양상과 발현양 변화 및 암화과정의 상관관계 여부조사.
      2) 인간 파필로마바이러스의 발암인자 E7, PPAR-γ, PTEN, PI3K/Akt, IL-32를 표적으로 하는 암화 및 면역반응조절기전 확인.
      - E7에 의한 COX-2, IL-32의 발현조절 여부확인.
      - E7 siRNA, amentoflavone 등의 PPAR-γ agonist, IL-32 aptamer, IL-32 siRNA 등을 이용한 자궁경부암 억제현상 확인.
      - 자궁경부암세포의 암화과정에 관여하는 다중 표적 조절인자(E7 siRNA, PPAR-γ agonist, COX-2 inhibitor, IL-32 siRNA or aptamer 등)를 처리함으로써, E7에 의한 특정 IL-32 isoform과 COX-2 사이의 feedback 기전확인, PPAR-γ, PTEN, PI3K/Akt, IL-32의 발현 조절여부 등 조사
      Ⅲ. 연구개발결과 :
      다중 표적 조절인자들의 최적의 조합 선정 및 이들 조합에 의한 자궁경부암억제 기전 분석
      Ⅳ.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PPAR-γ agonist, IL-32 aptamer, IL-32 siRNA, E7 siRNA 등의 바이오 소재 확보 및 자궁경부암 예방 및 치료용 조절제
      번역하기

      Ⅰ. 연구개발의 필요성 및 목적 : 인체 암의 90%이상이 상피세포에서 유래함. 파필로마바이러스(HPV)는 상피세포 특이적 감염을 하여 생식기암, 자궁암 등을 유발함으로 상피세포의 암화기작 ...

      Ⅰ. 연구개발의 필요성 및 목적 : 인체 암의 90%이상이 상피세포에서 유래함. 파필로마바이러스(HPV)는 상피세포 특이적 감염을 하여 생식기암, 자궁암 등을 유발함으로 상피세포의 암화기작 연구에 중요한 도구임. 자궁경부암세포에서 E7 oncogene에 의한 COX-2 발현증가 및 이에 따른 염증성 싸이토카인 IL-32의 발현유도 증가 및 PTEN, PI3K/Akt 등의 신호전달계 활성화에 의한 자궁경부암세포의 암화과정이 발달하는 것으로 알려짐.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자궁경부암세포의 암화과정 관련 신호전달계를 총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최적의 조절인자 확보 및 자궁경부암 억제기전 확립으로 자궁경부암 억제방안 제공.
      Ⅱ.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1) 상피세포 및 여러 자궁경부암 세포 및 조직에서의 E7, PPARγ , PTEN, PI3K/Akt, IL-32 들의 발현양상 조사, 암화과정에서 그 수식 양상과 발현양 변화 및 암화과정의 상관관계 여부조사.
      2) 인간 파필로마바이러스의 발암인자 E7, PPAR-γ, PTEN, PI3K/Akt, IL-32를 표적으로 하는 암화 및 면역반응조절기전 확인.
      - E7에 의한 COX-2, IL-32의 발현조절 여부확인.
      - E7 siRNA, amentoflavone 등의 PPAR-γ agonist, IL-32 aptamer, IL-32 siRNA 등을 이용한 자궁경부암 억제현상 확인.
      - 자궁경부암세포의 암화과정에 관여하는 다중 표적 조절인자(E7 siRNA, PPAR-γ agonist, COX-2 inhibitor, IL-32 siRNA or aptamer 등)를 처리함으로써, E7에 의한 특정 IL-32 isoform과 COX-2 사이의 feedback 기전확인, PPAR-γ, PTEN, PI3K/Akt, IL-32의 발현 조절여부 등 조사
      Ⅲ. 연구개발결과 :
      다중 표적 조절인자들의 최적의 조합 선정 및 이들 조합에 의한 자궁경부암억제 기전 분석
      Ⅳ.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PPAR-γ agonist, IL-32 aptamer, IL-32 siRNA, E7 siRNA 등의 바이오 소재 확보 및 자궁경부암 예방 및 치료용 조절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