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요법에서 화농성 피부질환이나 염증성 질환에 대해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제비꽃(Viola mandshurica)의 항산화 활성과 항당뇨 활성을 조사하였다. 제비꽃 10 g에 200 mL의 네 가지 용매(메탄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266573
2008
Korean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405-409(5쪽)
6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민간요법에서 화농성 피부질환이나 염증성 질환에 대해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제비꽃(Viola mandshurica)의 항산화 활성과 항당뇨 활성을 조사하였다. 제비꽃 10 g에 200 mL의 네 가지 용매(메탄올, ...
민간요법에서 화농성 피부질환이나 염증성 질환에 대해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제비꽃(Viola mandshurica)의 항산화 활성과 항당뇨 활성을 조사하였다. 제비꽃 10 g에 200 mL의 네 가지 용매(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물)를 각각 가하여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각각의 용매별 추출물을 얻었다. 이 용매별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이 34.49 ㎎/g 갈산 당량으로 가장 높았고, DPPH 라디칼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아세톤 추출물이 1,000 ㎍/mL 농도에서 각각 21.13%와 43.53%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환원력의 경우에는 물 추출물이 1,000 ㎍/mL 농도에서 0.454의 값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당뇨 활성은 α-amylase와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으로 측정하였는데 아세톤 추출물이 가장 활성이 높았으며 1,000 ㎍/mL 농도에서 모든 효소 활성들을 저해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제비꽃 추출물은 항산화능과, 당뇨 관련 효소에 대한 저해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Viola mandshurica.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by measuring total phenolic contents, reducing power,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Viola mandshurica.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by measuring total phenolic contents, reducing power,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2'-azino-di-2-ethyl-benzthiazoline sulphonat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hile anti-diabetic activity was measured by inhibition activities on α-amylase and α-glucosidase. V. mandshurica extracts were prepared by extracting with four different solvents (methanol, ethanol, acetone, and water). The m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 (34.49 ㎎/g gallic acid equivalents) among the extracts. The water extract showed the highest reducing power (0.454) at the concentration of 1,000 ㎍/mL. The acetone extract showed the most poten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acetone extract at the concentration of 1,000 ㎍/mL were 21.13% and 43.53%, respectively. The inhibitory activity of acetone extracts against α-amylase and α-glucosidase showed more than 100% at the concentration of 1,000 ㎍/mL. The results indicate that V. mandshurica might have potential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ies.
참고문헌 (Reference)
1 왕명현, "화살나무 잎 열수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9 (39): 569-574, 2007
2 김준한, "홍화의 부위별 화학성분과 DPPH Radical 소거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2 (32): 733-738, 2003
3 안선일, "일부 페놀성 화합물의 항산화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3 (23): 19-24, 2007
4 성낙주, "용매별 후발효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1 (11): 544-549, 2004
5 곽가, "쇠뜨기(Equisetum arvense)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분석 및α-glucosidase 저해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9 (49): 77-81, 2006
6 유미희, "생대추(풋대추) 과육 및 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항산화 성분" 한국식품과학회 38 (38): 128-134, 2006
7 김옥경, "산수유 추출물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흰쥐의 항당뇨 및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화학회 22 (22): 157-167, 2005
8 김정환, "산사(Crataegi Fructus) 추출물로부터 α-amylase와α-glucosidase 저해 물질 분리 및 동정"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0 (50): 204-209, 2007
9 임채성, "말채나무 추출물의 α-amylase 저해 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8 (48): 103-108, 2005
10 정석문, "감귤 과피 추출물의 항산화능에 대한 원적외선 처리의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1580-1583, 2004
1 왕명현, "화살나무 잎 열수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9 (39): 569-574, 2007
2 김준한, "홍화의 부위별 화학성분과 DPPH Radical 소거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2 (32): 733-738, 2003
3 안선일, "일부 페놀성 화합물의 항산화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3 (23): 19-24, 2007
4 성낙주, "용매별 후발효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1 (11): 544-549, 2004
5 곽가, "쇠뜨기(Equisetum arvense)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분석 및α-glucosidase 저해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9 (49): 77-81, 2006
6 유미희, "생대추(풋대추) 과육 및 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항산화 성분" 한국식품과학회 38 (38): 128-134, 2006
7 김옥경, "산수유 추출물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흰쥐의 항당뇨 및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화학회 22 (22): 157-167, 2005
8 김정환, "산사(Crataegi Fructus) 추출물로부터 α-amylase와α-glucosidase 저해 물질 분리 및 동정"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0 (50): 204-209, 2007
9 임채성, "말채나무 추출물의 α-amylase 저해 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8 (48): 103-108, 2005
10 정석문, "감귤 과피 추출물의 항산화능에 대한 원적외선 처리의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1580-1583, 2004
11 Diplock AT, "Will the good fairies please prove to us that vitamin E lessens human degenerative disease?" 27 : 511-532, 1997
12 Chung CJ, "Viola mandshurica W. Becker" 14 : 100-, 1989
13 Oyaizu M, "Studies on product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e amine" 44 : 307-315, 1986
14 Rice-Evans CA,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 and phenolic acids" 20 : 933-956, 1996
15 SAS, "SAS/STAT User's Guide"
16 Gutfinger T, "Polyphenols in olive oil" 58 : 966-968, 1981
17 Ahn DK, "Pharmaceutical activity of Viola mandshurica W. Becker" 59 : 20-21, 2004
18 Caldwell CR,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f the phenolic compounds in plant extracts fractionat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293 : 232-238, 2001
19 Park HM, "Method of extraction anticancer activity substance from violet"
20 Takamatsu S, "Marine natural products as novel antioxidant prototypes" 66 : 605-608, 2003
21 Lee WY, "Inhibitory effects of proanthocyanidin extracted from Distylium racemosum on α-amylase and α-glucosidase activities" 35 : 271-275, 2004
22 Valko M,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39 : 44-84, 2007
23 Arnous A, "Effect of principal polyphenolic components in relation to antioxidant characteristic of aged red wines" 49 : 5736-5742, 2001
24 Muller HE, "Detection of hydrogen peroxide produced by microorganism on ABTS-peroxidase medium" 259 : 151-158, 1995
25 Cha JY,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28 : 1310-1315, 1999
26 Kim YG, "Antioxidants" Yeomunkak, Seoul 153-176, 2004
27 Jun Ho Le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Fermentation and Ethanol Extracts of Pine Needles (Pinus densiflora)" 한국식품과학회 15 (15): 582-588, 2006
28 Meller NJ, "A novel method for measuring antioxidant capacity and its application to monitoring the antioxidant status in premature neonates" 84 : 407-412, 1993
국내유통 축산물에서의 Staphylococcus aureus 오염도 및 항생제 감수성 조사
해양심층수염 및 다시마분말 첨가 고추장추출물의 항돌연변이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4-06-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4-04-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2 | 1.99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