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의 이퇴계 이야기는 주로 목판본으로 간행된 퇴계문집과 거 기에 부록된 년보, 언행록 같은 문헌자료와 민간에 전승되어 오고 있는 구전에 의거하여 전하여지고 있는 설화에 의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20707
李章佑 (영남대학교)
2012
-
退溪 ; 家書 ; 私生活 ; 實생활 ; 人間的인 면모 ; Yi Whang ; hidden letters to his descendant ; human feature ; practise in daily life
151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34(34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의 이퇴계 이야기는 주로 목판본으로 간행된 퇴계문집과 거 기에 부록된 년보, 언행록 같은 문헌자료와 민간에 전승되어 오고 있는 구전에 의거하여 전하여지고 있는 설화에 의지...
지금까지의 이퇴계 이야기는 주로 목판본으로 간행된 퇴계문집과 거
기에 부록된 년보, 언행록 같은 문헌자료와 민간에 전승되어 오고 있는
구전에 의거하여 전하여지고 있는 설화에 의지하여 행하여지고 있다. 그
런대 최근에 들어와서 이 문집을 편찬하기 이전의 원 자료들이 대량으로
영인 유통되면서 퇴계에 대한 이야기도 그가 직접 썼던 편지 글이나 문
장 같은 것을 직접 읽어 볼 수 있는 행운이 도래하였다.
이러한 자료 중에서 필자가 주목하여 다루고자 하는 것이 바로 퇴계
가 아들이나 손자 같은 가족들에게 보낸 편지-家書들이다. 이 편지들을
보면 제자들이 만든 언행록이나, 민간의 설화 내용과도 더러 다른 내용
도 보인다. 필자는 이러한 가서 내용을 읽고 번역도 하면서 다음과 같은
점들을 주목하고 있다.
이퇴계를 성인으로 추앙하려는 일반의 속설이나, 연보, 언행록 같은
자료나, 한적하고 담담함[‘閒’]을 추구하려는 그 분이 남긴 시의 분위기
와, 엄숙하고 경건한 분위가 감도는 그의 ‘敬’철학과는 달리, 퇴계는 가
정의 살림살이에서는 매우 현실적이고 용의주도한 선비었다. 그래서 필
자는 이러한 점에 있어서는 ‘實’생활을 중시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이
런 점은 맏 아들에게 보낸 편지를 읽어 보면 잘 알 수 있다. 평생 동안
벼슬을 여러 번 사양한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아들, 조카, 손자,
제자들에게는 과거준비를 철저히 하여 벼슬길로 순조롭게 나아가도록 희
망하고 있다.
그의 가정생활, 가족관계는 과연 어떠하였을까? 늘 평온하고 행복하기
만 하였을까? 꼭 그렇지만 않았던 것 같다. 정실부인을 두 번이나 상처
하였는데, 당시의 습관에 따라서 양쪽 처가로부터 많은 재산을 분배받기
는 하였으나, 전취 처가 쪽 사람들과 재산을 놓고 분쟁이 더러 생기기도
하였다. 또 당시의 습관에 따라서 소실을 두어 상처를 한 만년 생활에
큰 내조를 받기도 하였지만, 본처가 없는 집안이 어딘지 허전하게 느껴
지기도 하였다. 많은 종들을 거느리고 예안, 봉화, 풍산, 영주, 의령, 고
성 등지에 산재한 토지를 경영하며, 말 잘 듣지 않는 노비들을 일을 시
키고, 다스린다는 일도 수월한 일은 아니었다.
무엇보다도 생모를 나자마자 사별하고, 자식이 없는 외종조부에게 侍
養孫으로 들어가서 살다가, 그 집에서 재산을 얻고 결혼도 하게 되었으
나 불행하게도 자식도 없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건태, "李滉의 治産理財" 퇴계학연구원 130 :
2 이수근, "嶺南學派의 形成과 展開" 일조각 1995
3 이장우, "퇴계 이황 아들에게 편지를 쓰다" 연암서가 2011
4 정석태, "안도에게 보낸다" 들녘 2005
5 권오봉, "退溪書集成 1-5" 포항공과대학교 1996
6 이장우, "退溪日記" 중문 1996
7 정석태, "退溪先生年月日條錄 1-5" 퇴계학연구원 1998
8 "退溪先生宅和會文記" 국학진흥원
9 "定本退溪全書 서간 9·10, 서울 2006년도 연구결과물"
10 이장우, "先祖遺墨 家書" 국학진흥원 2011
1 김건태, "李滉의 治産理財" 퇴계학연구원 130 :
2 이수근, "嶺南學派의 形成과 展開" 일조각 1995
3 이장우, "퇴계 이황 아들에게 편지를 쓰다" 연암서가 2011
4 정석태, "안도에게 보낸다" 들녘 2005
5 권오봉, "退溪書集成 1-5" 포항공과대학교 1996
6 이장우, "退溪日記" 중문 1996
7 정석태, "退溪先生年月日條錄 1-5" 퇴계학연구원 1998
8 "退溪先生宅和會文記" 국학진흥원
9 "定本退溪全書 서간 9·10, 서울 2006년도 연구결과물"
10 이장우, "先祖遺墨 家書" 국학진흥원 2011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4-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OEGYE-HAK-LON-GIB -> TOEGYE-HAK-LON-JIB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2-0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OEGYE-HAK-LON-GIB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9 | 0.59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2 | 0.934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