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退溪 活看讀書法의 根據와 志向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207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퇴계 활간독서법의 개념은 세 가닥이다. 이치를 헤아려서 글자의 뜻
      파악하기, 體와 用의 관계를 살펴서 大意 파악하기, 源頭處와 稟受之初
      를 분간해서 성현의 글 파악하기가 그것이다. 이 세 가닥을 하나로 정리
      하면 ‘이치에 입각해서 활간하고 본질 파악하기’가 된다. 이와 같은 개념
      은 ‘性卽理’의 선험적 규범과 ‘心爲太極’의 존재 법칙을 떠나서 논의될
      수 없다. ‘性卽理’의 ‘理’가 능동적이기 때문에 활간독서법이 活理 체인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고, 心發과 心爲太極을 중심으로 人을 설명하기 때
      문에 활간독서법이 자율적 의지에 토대를 둔다고 할 수 있다. 활간독서
      법의 기능은 두 가지이다. 死物의 언어를 活物의 언어로 전환시킨다는
      점이 그 첫 번째이고, 독서인으로 하여금 厭動求靜에서 通貫動靜으로 나
      아가게 한다는 점이 그 두 번째이다. 이 두 가지 기능으로 인해 활간독
      서법은 성현의 글을 활물로 전환시키고 독서인을 天人合一에 이르게 하
      는 지향점을 지닐 수 있게 되었다.
      번역하기

      퇴계 활간독서법의 개념은 세 가닥이다. 이치를 헤아려서 글자의 뜻 파악하기, 體와 用의 관계를 살펴서 大意 파악하기, 源頭處와 稟受之初 를 분간해서 성현의 글 파악하기가 그것이다. ...

      퇴계 활간독서법의 개념은 세 가닥이다. 이치를 헤아려서 글자의 뜻
      파악하기, 體와 用의 관계를 살펴서 大意 파악하기, 源頭處와 稟受之初
      를 분간해서 성현의 글 파악하기가 그것이다. 이 세 가닥을 하나로 정리
      하면 ‘이치에 입각해서 활간하고 본질 파악하기’가 된다. 이와 같은 개념
      은 ‘性卽理’의 선험적 규범과 ‘心爲太極’의 존재 법칙을 떠나서 논의될
      수 없다. ‘性卽理’의 ‘理’가 능동적이기 때문에 활간독서법이 活理 체인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고, 心發과 心爲太極을 중심으로 人을 설명하기 때
      문에 활간독서법이 자율적 의지에 토대를 둔다고 할 수 있다. 활간독서
      법의 기능은 두 가지이다. 死物의 언어를 活物의 언어로 전환시킨다는
      점이 그 첫 번째이고, 독서인으로 하여금 厭動求靜에서 通貫動靜으로 나
      아가게 한다는 점이 그 두 번째이다. 이 두 가지 기능으로 인해 활간독
      서법은 성현의 글을 활물로 전환시키고 독서인을 天人合一에 이르게 하
      는 지향점을 지닐 수 있게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태수, "퇴계의 독서생활, 삶에 물음표 던지기" 영남퇴계학연구원 94-, 2010

      2 한형조, "주희에서 정약용으로" 세계사 132-, 1996

      3 최진덕, "주자의 中和新說과 敬의 공부론" 철학연구회 (51) : 23-29, 2000

      4 金鍾錫, "마음의 철학 : 退溪心學의 構造分析"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15) : 163-168, 1994

      5 신태수, "退溪 讀書詩에 나타난 ‘樂’의 層位와 그 性格" 慶北大 嶺南文化硏究院 (17) : 45-, 2010

      6 "朱子語類"

      7 "孟子"

      8 정병석, "太極 개념 형성의 淵源的 배경과 해석 : 太極 개념의 原生的 의미와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철학회 (88) : 45-66, 2006

      9 "二程遺書"

      10 신태수, "『朱子語類』<讀書法>에 나타난 活看論" 한민족어문학회 (60) : 125-156, 2012

      1 신태수, "퇴계의 독서생활, 삶에 물음표 던지기" 영남퇴계학연구원 94-, 2010

      2 한형조, "주희에서 정약용으로" 세계사 132-, 1996

      3 최진덕, "주자의 中和新說과 敬의 공부론" 철학연구회 (51) : 23-29, 2000

      4 金鍾錫, "마음의 철학 : 退溪心學의 構造分析"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15) : 163-168, 1994

      5 신태수, "退溪 讀書詩에 나타난 ‘樂’의 層位와 그 性格" 慶北大 嶺南文化硏究院 (17) : 45-, 2010

      6 "朱子語類"

      7 "孟子"

      8 정병석, "太極 개념 형성의 淵源的 배경과 해석 : 太極 개념의 原生的 의미와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철학회 (88) : 45-66, 2006

      9 "二程遺書"

      10 신태수, "『朱子語類』<讀書法>에 나타난 活看論" 한민족어문학회 (60) : 125-156, 2012

      11 신태수, "『朱子語類』 <讀書法>의 層位와 그 構成主義的 性格" 영남문화연구원 (21) : 299-335,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OEGYE-HAK-LON-GIB -> TOEGYE-HAK-LON-JIB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OEGYE-HAK-LON-GIB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2 0.93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