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지향 제품] 디자인에 있어서는 디자이너가 제품을 통해 표현하려는 이미지와 사용자가 제품을 통해 느끼는 감성적 평가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갭(gap)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이 갭을 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806505
2001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감성지향 제품] 디자인에 있어서는 디자이너가 제품을 통해 표현하려는 이미지와 사용자가 제품을 통해 느끼는 감성적 평가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갭(gap)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이 갭을 해...
[감성지향 제품] 디자인에 있어서는 디자이너가 제품을 통해 표현하려는 이미지와 사용자가 제품을 통해 느끼는 감성적 평가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갭(gap)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이 갭을 해소하는 데에 있어 디자인 과정에서 활용되어진 이미지 화상들과 디자인 평가를 위해 사용되었던 감성적 평가어 사이와의 관련도에 관한 정보는 특히 유효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련도 정보에 근거하여, 이미지 화상 및 이미지어 탐색을 통해 스타일링 디자인을 지원하는 감성검색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에 있어서 관련도 정보는 이미지어와의 유사도를 유의어 계수로 상정한 퍼지 시소러스에 의해 표현된다. 또한 이미지어 사이의 유사도는 이미지 화상 평가를 기초로 산출된다. 이미지 탐색은 검색 중시도를 파라메터로 한 퍼지 시소러스 전개의 알고리즘에 의해 실행되며, 탐색 모드로서 이미지어 상호간, 이미지어에서 이미지화상, 이미지 화상에서 이미지어, 이미지 화상간의 합계 네 종류의 모드가 제공된다. 또한 이들 모드간의 이행은 직접 조작형 인터페이스에 의해 실행되며, 이로 인해 아이디어 탐색단계에 있어서의 디자이너의 발상과정이 원활하게 지원된다. 시스템은 감성적 평가의 계측 유니트와 갭의 연산, 가시화 유니트로부터 구성되며, 조작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통일적인 인터페이스의 환경 하에서 구축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mong Kansei-oriented products a gap between the images that designers try to express through that product and users emotional evaluation becomes an issue. The data on the correlation between image words used for design evaluation and images used i...
Among Kansei-oriented products a gap between the images that designers try to express through that product and users emotional evaluation becomes an issue. The data on the correlation between image words used for design evaluation and images used in the design process are especially significant. This study based on these correlations suggests a Fuzzy retrieval system supporting styling design with images and image words. In the system, the relational data are demonstrated by Fuzzy thesaurus as correlation coefficient from the degree of similarity among image words. And the degree of similarity is produced based on image evaluation. Image retrieval is conducted by the algorithm of Fuzzy thesaurus development, 1) among image words, 2) images to image words, 3) image words to images and 4) among images: 4 different modes are provided as retrieval modes. Also transfer between modes is carried by direct operating interface, therefore divergent thinking and convergent thinking is supported well. The system consists of operation for the gap and the measurement unit of emotional evaluation, and visualization units. Under unified interface environments are set in order for consistency of the operation.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원의 내용은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의 정보입니다.
정보원의 내용은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의 정보입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요약 Abstract 1. 서론 2. 디자이너의 사고과정과 발상지원 3. 감성검색시스템의 구성 3-1 감성검색시스템의 기본성질 3-2 감성검색시스템의 검색모드 3-3 컨텐츠(감성)와 검...
요약
Abstract
1. 서론
2. 디자이너의 사고과정과 발상지원
3. 감성검색시스템의 구성
3-1 감성검색시스템의 기본성질
3-2 감성검색시스템의 검색모드
3-3 컨텐츠(감성)와 검색어 사이의 퍼지관계
3-4 시소러스 생성을 위한 반응데이터 수집
4. 감성검색시스템의 프로토타입
4-1 감성 이미지어 수집 및 반응계측 유니트
4-2 퍼지 시소러스 작성 유니트
4-3 시뮬레이션 유니트
5.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