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설문조사는 연구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수행되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는 전문가들의 논의를 통해 확정되었다. 기본적으로 시민참여는 투표 참여, 정치행위, 인터넷 정부정책 참여, 단체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76813
-
Korean
시민사회(civil society) ; NGO ; 시민참여(citizen participation) ; 로컬거버넌스(local governance) ; 정책참여 ; 전자민주주의(electronic democracy) ; 정책갈등(policy conflict) ; 가치갈등(value conflict) ; 환경갈등(environmental conflict) ; 공론장 ; 공공영역 ; 정보통신혁명 ; 시민접촉(citizen-initiated contacts) ; 갈등관리거버넌스 ; 대의민주주의(representative democracy) ; 참여민주주의(participatory democracy) ; 심의민주주의(deliberative democracy) ; 생태민주주의(ecological democracy) ; 지역사회(local communities) ; 시민적 능력(civic empowerment) ; 전자정부(e-government) ; 합의형성(consensus building) ; 갈등관리(conflict resolutio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설문조사는 연구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수행되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는 전문가들의 논의를 통해 확정되었다. 기본적으로 시민참여는 투표 참여, 정치행위, 인터넷 정부정책 참여, 단체참...
본 설문조사는 연구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수행되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는 전문가들의 논의를 통해 확정되었다. 기본적으로 시민참여는 투표 참여, 정치행위, 인터넷 정부정책 참여, 단체참여 및 활동, 공공목적 단합활동, 언론매체 이용 등 6개 유형을 측정하였고, 독립변수인 로컬 거버넌스는 이론적으로 중요한 로컬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요인을 측정하였다. 통제변수로는 연령, 성, 혼인상태, 종교유무, 거주 지역규모, 교육, 소득 등의 변수를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샘플링은 2005년 초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에서 실시한 사회자본연구소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조사에서 설문지 교부는 지역별 할당량을 고려하여 무작위로 추출된 전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을 위한 모집단은 인천광역시와 울산광역시를 제외한 14개 광연자치단체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성인이다. 광역자치단체 내 설문 배포 대상 지역의 지정은 우리나라 전체적인 지역의 차를 감안하여 해당지역의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시 및 군 지역을 선정하여, 기본적으로 각 지역별 300부 단위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된 설문대상자의 경제 • 사회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성별로는 남성 41.9%, 여성 58.1%이다. 둘째, 연령별로는 20대 4.5%, 30대 29.0%, 40대 61.0%, 50대 이상 5.4%이다. 셋째, 학력별로는 고졸미만 11.0%, 고졸 47.3%, 대졸이상 41.7%이다. 넷째, 소득수준별로는 월 소득 200만원 미만이 44.3%, 200-300만원이 26.9%, 300만원 초과가 28.8%이다. 다섯째, 종교는 없는 사람이 35.1%, 있는 사람이 64.9%이다. 마지막으로 기혼자와 미혼자는 93.4%와 6.6%로 나타났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설문조사는 연구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수행되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는 전문가들의 논의를 통해 확정되었다. 기본적으로 시민참여는 투표 참여, 정치행위, 인터넷 정부정책 참여, 단체참...
본 설문조사는 연구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수행되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는 전문가들의 논의를 통해 확정되었다. 기본적으로 시민참여는 투표 참여, 정치행위, 인터넷 정부정책 참여, 단체참여 및 활동, 공공목적 단합활동, 언론매체 이용 등 6개 유형을 측정하였고, 독립변수인 로컬 거버넌스는 이론적으로 중요한 로컬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요인을 측정하였다. 통제변수로는 연령, 성, 혼인상태, 종교유무, 거주 지역규모, 교육, 소득 등의 변수를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샘플링은 2005년 초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에서 실시한 사회자본연구소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조사에서 설문지 교부는 지역별 할당량을 고려하여 무작위로 추출된 전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을 위한 모집단은 인천광역시와 울산광역시를 제외한 14개 광연자치단체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성인이다. 광역자치단체 내 설문 배포 대상 지역의 지정은 우리나라 전체적인 지역의 차를 감안하여 해당지역의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시 및 군 지역을 선정하여, 기본적으로 각 지역별 300부 단위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된 설문대상자의 경제 • 사회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성별로는 남성 41.9%, 여성 58.1%이다. 둘째, 연령별로는 20대 4.5%, 30대 29.0%, 40대 61.0%, 50대 이상 5.4%이다. 셋째, 학력별로는 고졸미만 11.0%, 고졸 47.3%, 대졸이상 41.7%이다. 넷째, 소득수준별로는 월 소득 200만원 미만이 44.3%, 200-300만원이 26.9%, 300만원 초과가 28.8%이다. 다섯째, 종교는 없는 사람이 35.1%, 있는 사람이 64.9%이다. 마지막으로 기혼자와 미혼자는 93.4%와 6.6%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