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GeoEye-1 위성영상을 이용한 남극의 장보고기지 건설을 위한 지형도 제작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348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에서 남극에 장보고기지를 건설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기지 부근 지형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장보고기지 건설을 위...

      우리나라에서 남극에 장보고기지를 건설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기지 부근 지형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장보고기지 건설을 위한 지형도를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장보고기지 주변의 현지측량 및 장비의 사전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또한 GeoEye-1 위성영상의 센서모델링을 위해 RPC-편의 보정을 수행하였으며 최소 두 점의 기준점이 실질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형도 제작은 영상의 해상도와 현지 보완측량이 불가능한 점을 고려하여 약 1/2,500의 도화축척이 적합하였다. 장보고기지 주변의 상세한 지형정보 제공을 위하여 영상정합에 의하여 수치표고모델을 생성하였으며 현지측량한 GPS-RTK 자료와 비교하였으며 약 0.6m의 수직위치정확도를 나타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struction of the Jangbogo antarctic station was planned, and it requires detailed information on topography of the area around the st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enerate the topographic map to construct the Jangbogo antarctic station ...

      Construction of the Jangbogo antarctic station was planned, and it requires detailed information on topography of the area around the st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enerate the topographic map to construct the Jangbogo antarctic station using the satellite image. To do this, surveying and pre-test of equipment were conducted. In addition, for sensor modeling of the GeoEye-1 satellite image, RPC-bias correction was done, and it showed that at least two control points are required. In generating the map, a 1/2,500 scale was deemed suitable in consideration of resolution of the image and the fact that supplementary topographic surveying would be impossible. In order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topography around the Jangbogo station, the digital elevation model based on image matching was created, and compared with GPS-RTK data, accuracy of vertical location about 0.6m was exhibi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要旨
      • Abstract
      • 1. 서론
      • 2. 극한지의 측량 및 사용데이터
      • 3.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형도제작
      • 要旨
      • Abstract
      • 1. 서론
      • 2. 극한지의 측량 및 사용데이터
      • 3.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형도제작
      • 4. 사례분석
      • 5. 결론
      • 감사의 글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의명, "위성영상의 에피폴라 기하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25 (25): 347-352, 2005

      2 김동욱, "남극 세종과학기지 건설기" (2) : 51-67, 1990

      3 김의명,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센서모형화 방법 비교" 대한토목학회 26 (26): 1025-1032, 2006

      4 박병욱,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도제작 가능성 평가" 대한토목학회 22 (22): 1305-1316, 2002

      5 윤부열, "경량 항공사진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남극 세종과학기지의 수치지형도 제작과 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29 (29): 121-128, 2009

      6 Hanley, H. B, "Sensor Orientation for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Further Insights into Bias-Compensated RPCs" 35 (35): 2004

      7 Dial, G, "RPC Replacement Camera Models" 7-11, 2005

      8 Meguro, Y, "Georeferencing Accuracy of GeoEye-1 Stereo Imagery : Experience in a Japanese Test Field" 38 (38): 1069-1072, 2010

      9 Fraser, C. S, "Georeferencing Accuracy of GeoEye-1 Imagery" 75 (75): 634-638, 2009

      10 Aguilar, A, "Geometric Processing of GeoEye-1 Satellite Imagery for Coastal Mapping Applications" 938-946, 2011

      1 김의명, "위성영상의 에피폴라 기하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25 (25): 347-352, 2005

      2 김동욱, "남극 세종과학기지 건설기" (2) : 51-67, 1990

      3 김의명,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센서모형화 방법 비교" 대한토목학회 26 (26): 1025-1032, 2006

      4 박병욱,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도제작 가능성 평가" 대한토목학회 22 (22): 1305-1316, 2002

      5 윤부열, "경량 항공사진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남극 세종과학기지의 수치지형도 제작과 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29 (29): 121-128, 2009

      6 Hanley, H. B, "Sensor Orientation for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Further Insights into Bias-Compensated RPCs" 35 (35): 2004

      7 Dial, G, "RPC Replacement Camera Models" 7-11, 2005

      8 Meguro, Y, "Georeferencing Accuracy of GeoEye-1 Stereo Imagery : Experience in a Japanese Test Field" 38 (38): 1069-1072, 2010

      9 Fraser, C. S, "Georeferencing Accuracy of GeoEye-1 Imagery" 75 (75): 634-638, 2009

      10 Aguilar, A, "Geometric Processing of GeoEye-1 Satellite Imagery for Coastal Mapping Applications" 938-946, 2011

      11 Fraser, C., "Bias Compensation in Rational Functions for IKONOS Satellite Imagery" 69 (69): 53-57, 2003

      12 Tao, C. V.,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Rational Function Model for Photogrammetric Processing" 66 (66): 1477-1485, 2001

      13 Gruen, A, "3D Precision Processing of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7-11,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3-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KCI등재
      2019-01-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학회 -> 대한공간정보학회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GIS학회 -> 한국공간정보학회
      영문명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ssociation Of Korea ->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KSI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1 0.94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