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도교의 생명윤리에 관한 연구이다. 동아시아 전통사상 가운데 생명의 개념을 가장 포괄적이고 농도 짙게 발전시킨 것은 도교이다. 생명중심의 종교인 도교철학은 ‘勸善成仙’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08579
200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7-164(38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도교의 생명윤리에 관한 연구이다. 동아시아 전통사상 가운데 생명의 개념을 가장 포괄적이고 농도 짙게 발전시킨 것은 도교이다. 생명중심의 종교인 도교철학은 ‘勸善成仙’을 ...
이 글은 도교의 생명윤리에 관한 연구이다. 동아시아 전통사상 가운데 생명의 개념을 가장 포괄적이고 농도 짙게 발전시킨 것은 도교이다. 생명중심의 종교인 도교철학은 ‘勸善成仙’을 주제로 한다. 생명의 존재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도교의 ‘勸善成仙’적 윤리학의 출발점이 된다. 도교의 생명문제에 대한 해결은 신선이 되는 것이다. 도교는 인간의 노력으로 ‘죽음’을 극복하고 ‘불사’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생명을 수련하거나 혹은 내단 혹은 외단을 단련하는 것 이외에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도덕적으로 선을 행하고 공덕을 세워 자신의 죄악을 씻어 버리는 것이다. 이처럼 생명철학과 윤리학이 접합이 되어 또 다른 성격의 생명윤리학을 형성한다.
도교의 생명윤리이론을 응용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도교생명윤리의 원칙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자율성 존중의 원칙이다. 도교에서 인간은 자신의 생명을 타율적 자연의 흐름에 맡기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식 아래 자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주체적 능동적 존재이다. 자신의 夭와 壽는 하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개체자아의 의지에 따라 결정된다. 둘째, 선행원칙이다. 도교는 순박진실하고 선행이 실천되는 도덕적 이상사회를 지향한다. 이러한 도덕이상은 타인을 이롭게 하고 돕는 것을 인생의 즐거움으로 여기며 죄인도 관용과 柔和함으로 대해서 죄를 씻고 선행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러한 선행은 바로 불로장생으로 이어진다. 셋째, 악행금지의 원칙이다. 도교에서 재물이 있는 자나 도가 있는 자는 빈궁한 자나 부덕한 자를 구제하고 교화해야 한다. 만약 빈궁한 자의 재산을 빼앗거나 부덕한 자를 기만하는 악행을 한다면 죄를 얻고 요절하게 된다. 넷째, 생명존중의 원칙이다. 도교의 궁극적 목적은 생명의 영원한 보존에 있다. 만물가운데 인간의 생명이 가장 중요한 것이고 선 가운데 장수가 가장 으뜸이다. 그러므로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은 그 무엇보다 존중한다.
도교에서 자율성 존중 원칙은 생명 존중 원칙이라는 큰 틀 안에 갇힌다. 왜냐하면 도교라는 종교는 생명의 현세 지속성을 최고 가치로 여기기 때문이다. 도교는 개체 생명의 보호와 양육을 중시하고 장생불사를 인생에서 추구할 최고목적으로 여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전제가 필요하다. 그것은 바로 모든 인간은 타율적 존재가 아니라 자율적 존재로서 자신의 삶을 스스로 주재할 수 있다는 신념이다. 이 신념이 ‘我命在我’ 즉 인간 자율성 존중의 원칙인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교의 자율성 존중 원칙은 생명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적 원칙에 불과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교의 생명윤리이론은 기타 원리보다 생명 존중 원리를 상위개념으로 놓고 윤리적 해답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보편적인 도덕이론을 구체적인 도덕문제에 적용시키는 하향적 접근법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to study on Bioethics of Taoism. Taoism is the most comprehensive thought in the traditional thoughts of East Asia. The main idea of Taoism is quanshanchengxian, which places the life first. Solving the existence of life is the starting point ...
This is to study on Bioethics of Taoism. Taoism is the most comprehensive thought in the traditional thoughts of East Asia. The main idea of Taoism is quanshanchengxian, which places the life first. Solving the existence of life is the starting point of quanshanchengxian Bioethics. The answer to solve the problem of life existence is to become Taoist. In Taoism, human beings can overcome death and have eternal life. Our sins should be forgiven by leading a life in virtue morally and building up virtues in addition to cultivating life or neidan or waidan. With this basis Bioethics is formed of life philosophy and ethics.
The several principles of Bioethics of Taoism can be drawn from applying Bioethics of Taoism. First,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autonomy. In Taoism human beings are independent for their lives. They do not depend on nature, but they can control themselves. That is to say, their lives depend not on god but on their own wills. Secondly, the principle of beneficence. Taoism seeks for the moral, ideal society full of virtues. In this moral ideal society the joy of life is to help other people. Therefore, we should forgive sinners and help them to lead their lives in virtue. This virtue is connected to eternal life. Thirdly, the principle of non-maleficence. In Taoism people who have morality and wealth should cultivate and educate people who have immorality and live in poverty. If you deprive poor people of their property or deceive immoral people, you become a sinner and die at an early age. Finally,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life. The religious, ultimate goal of Taoism is to have eternal life. The human life is the most precious in all nature and the most important in virtues. Hence, all the lives including human life should be placed first.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autonomy is limited to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life because Taoism as a religion considers longevity as the most significant value. Taoism sets count on protecting individual life and educating people. Longevity and eternal life are the most important values in life. To attain this goal, one assumption is necessary. That is based on the belief that all human beings can control themselves as independent creatures, not dependent. This belief is womingzaiwo,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autonomy. From this perspective, the principle of Taoism’s respect for autonomy could be said only one of the methods to protect dignity of life. Accordingly, Bioethics of Taoism seeks out an ethical answer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life takes precedence over other principles. On this basis Bioethics of Taoism is the top-down approach that applies the general moral theory to the concrete moral problem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王麗英, "論道敎倫理思想的鮮明特徵, 道敎論壇, 1999.1"
2 牟鍾鑒, "論道敎道德的特色及其現實意義, 華中師範大學學報(人文社會科學版), 2005.3"
3 姜生, "論道敎生命倫理的價値原點, 宗敎學硏究, 1995.3"
4 정인재, "현대 신도교의 역사적 배경과 그 생명철학" 30 :
5 김상득, "생명의료 윤리학" 철학과 현실사 2000
6 임종식, "생명의 시작과 끝" 로뎀나무 1999
7 구인회, "생명윤리의 철학" 철학과 현실사 2002
8 임종식, "삶과 죽음의 철학" 아카넷 2003
9 윤찬원, "도교철학의 이해" 돌배게 1998
10 김용수, "도교철학의 생사관과 불사" 10 :
1 王麗英, "論道敎倫理思想的鮮明特徵, 道敎論壇, 1999.1"
2 牟鍾鑒, "論道敎道德的特色及其現實意義, 華中師範大學學報(人文社會科學版), 2005.3"
3 姜生, "論道敎生命倫理的價値原點, 宗敎學硏究, 1995.3"
4 정인재, "현대 신도교의 역사적 배경과 그 생명철학" 30 :
5 김상득, "생명의료 윤리학" 철학과 현실사 2000
6 임종식, "생명의 시작과 끝" 로뎀나무 1999
7 구인회, "생명윤리의 철학" 철학과 현실사 2002
8 임종식, "삶과 죽음의 철학" 아카넷 2003
9 윤찬원, "도교철학의 이해" 돌배게 1998
10 김용수, "도교철학의 생사관과 불사" 10 :
11 최진석, "도교의 생사관" 75 :
12 한국도교문화학회, "도교와 생명사상" 국학자료원 1998
13 과학철학교육위원회, "과학기술의 철학적 이해2" 한양대학교출판부 2006
14 李大華, "關於道敎生命哲學基本特徵的思考, 中國哲學史, 1999.1"
15 李遠國, "道敎的孝道思想, 文史雜誌, 2002.5"
16 李剛, "道敎生命哲學的特性, 江西社會科學, 2004.9"
17 蔡林波, "道敎 我命在我 命題的雙重意蘊及其演化, 廣西社會科學, 2003.5"
18 姜生, "道德與壽老-論道敎生命倫理的道德決定論特徵, 學術月刊, 1997.2"
19 呂鵬志, "試論道敎的命運觀, 社會科學硏究, 2000.5"
20 王福梅, "我命在我不在天, 道敎論壇, 2004.2"
21 王繼禹, "忠孝與神仙」, 道敎論壇, 2003.1"
22 李爲香, "和諧是生命之道-論早期道敎的生命倫理, 濟南大學學報 , 2004.6"
23 李剛, "勸善成仙-道敎生命倫理" 大展出版社 2000
24 寶貴貞, "出世與入世-論道敎倫理之要義, 道敎論壇, 2003.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7 | 0.57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 | 1.665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