씹기는 소화계통의 첫 번째 단계로 턱관절을 이용해 음식물을 으깨며 침 분비를 촉진하여 분해된 조각들로 음식덩 이를 형성한다. 음식덩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턱관절의 움직임과 씹기근육...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307281
2018
Korean
학술저널
15-20(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씹기는 소화계통의 첫 번째 단계로 턱관절을 이용해 음식물을 으깨며 침 분비를 촉진하여 분해된 조각들로 음식덩 이를 형성한다. 음식덩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턱관절의 움직임과 씹기근육...
씹기는 소화계통의 첫 번째 단계로 턱관절을 이용해 음식물을 으깨며 침 분비를 촉진하여 분해된 조각들로 음식덩 이를 형성한다. 음식덩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턱관절의 움직임과 씹기근육의 작용이 필요하다. 턱관절은 관자뼈의 턱관절오목과 아래턱뼈의 관절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복잡한 윤활관절로 인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 는 관절 중 하나이다. 턱관절 내에 존재하는 관절원반으로 인해 위관절안과 아래관절안으로 각각 나누어지고 각 공간마 다 다른 기능적 움직임이 가능하다. 위관절안에서는 관자뼈의 턱관절오목과 관절원반이 관절하게 되어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며, 아래관절안에서는 아래턱뼈의 관절돌기와 관절원반이 관절하며 경첩운동이 일어난다. 씹기근육은 아래턱뼈를 움직여 음식물을 씹는 근육들로 관자근, 깨물근, 안쪽 및 가쪽날개근이 이에 해당한다. 이 근육 들을 통해 아래턱뼈는 올림, 내림, 내밈, 들임, 가쪽움직임이 가능하다. 이 근육들 외에도 중력작용을 통해 아래턱뼈가 움직일 수 있으며, 목뿔위근육 및 목뿔아래근도 아래턱뼈 움직임을 보조한다. 위에서 언급한 씹기에 관여하는 각각의 근육들은 단일 움직임을 생산하는 것이 아니고 여러 움직임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다른 씹기근육과 함께 작용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목에 위치하고 있는 근육도 작용하게 되며, 중력의 작용으로 도 일부 힘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삼킴과 관련된 지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씹기근육 및 턱관절들의 유기적인 움직임 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는 필수적일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stication is the first step in digestive system, which uses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o crush food and promote saliva production, forming bolus. In order to make bolus, the move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and the action of masticatory muscles...
Mastication is the first step in digestive system, which uses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o crush food and promote saliva production, forming bolus. In order to make bolus, the move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and the action of masticatory muscles are necessary.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s a complicated synovial joint formed between the mandibular fossa of temporal and articular process of mandible, and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joints in the human body. The articular disc in temporomandibular joint divide into the superior articular space and inferior articular space, and different functional movements are possible for each space. In the superior articular space, mandibular fossa of temporal bone and articular disc are articulated to allow gliding movement. In the inferior articular space, articular process of mandible and articular disc are articulated to occur hinge movement. Masticatory muscles move the mandible to mash food, consists of temporalis, masseter, medial pterygoid and lateral pterygoid. Through these muscles, movements of elevation, depression, protrusion, retrusion, and lateral excursion are possible. In addition, mandible move through gravity, and also suprahyoid and infrahyoid muscle assist in movement of mandible.
목차 (Table of Contents)
차지 증후군(CHARGE Syndrome)과 연하장애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
개구장애 입벌림 측정 도구의 검사자간, 검사자내 신뢰도 측정
비강 T 세포형 림프종 환자에게 상상훈련과 신경근전기자극이 결합된 치료를 적용한 연하재활치료 연구 : 사례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