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브루너의 발견학습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 = Bruner's Discovery Learning Re-visit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66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브루너의 이론체계 내에서 교과는 '중간언어'의 원천으로서의 '지식의 구조'와 그것의 외부적인 표현으로서의 중간언어가 위층과 아래층으로 맞붙어 있는 중층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교과가 나타내는 이러한 구조는 그가 염두에 두고 있는 발견학습이 어떤 성격의 것인가를 파악하는 개념적 도구가 된다. 즉, 발견학습은, 수업의 외부적인 모양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로 하여금 중간언어로 지칭되는 아래층의 언어적 표현을 발판으로 하여 지식의 구조가 가리키는 위층의 이상적 경지로 도약하도록 이끌기 위하여 따라야 할 방법상의 원리라는 것이 그의 견해이다. 발견학습에 관한 상식적인 생각과는 정반대로, 그러한 원리가 실현되는 과정에는 교사가 개입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교사의 마음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복잡하고 미묘한 표현은 학습자가 아래층을 통해서 위층으로 도약하는 추진력이 되며, 학습자의 마음은 오직 교사의 그러한 표현에 힘입어 교과가 겨냥하는 이상적인 경지로 나아가게 된다.
      번역하기

      브루너의 이론체계 내에서 교과는 '중간언어'의 원천으로서의 '지식의 구조'와 그것의 외부적인 표현으로서의 중간언어가 위층과 아래층으로 맞붙어 있는 중층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

      브루너의 이론체계 내에서 교과는 '중간언어'의 원천으로서의 '지식의 구조'와 그것의 외부적인 표현으로서의 중간언어가 위층과 아래층으로 맞붙어 있는 중층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교과가 나타내는 이러한 구조는 그가 염두에 두고 있는 발견학습이 어떤 성격의 것인가를 파악하는 개념적 도구가 된다. 즉, 발견학습은, 수업의 외부적인 모양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로 하여금 중간언어로 지칭되는 아래층의 언어적 표현을 발판으로 하여 지식의 구조가 가리키는 위층의 이상적 경지로 도약하도록 이끌기 위하여 따라야 할 방법상의 원리라는 것이 그의 견해이다. 발견학습에 관한 상식적인 생각과는 정반대로, 그러한 원리가 실현되는 과정에는 교사가 개입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교사의 마음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복잡하고 미묘한 표현은 학습자가 아래층을 통해서 위층으로 도약하는 추진력이 되며, 학습자의 마음은 오직 교사의 그러한 표현에 힘입어 교과가 겨냥하는 이상적인 경지로 나아가게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nature of discovery learning in the light of the idea of Bruner's. Generally speaking, discovery learning is defined as a model of instruction for students to discovery the principle hidden in the facts. The general definition on discovery learning gives us a important suggestion that principle as a content of the school subjects is distinguished from facts. But the definition is able to misguide us to the sense that the teacher does not teach, and the students find out everything for themselves in discovery learning. Of course, no sane person supposes that students are going to discover the whole of what they need to know quite apart from the teacher's activity.
      We are able to correct the misunderstanding with Bruner's idea on discovery learning. First of all, Bruner makes clear the nature of school subjects implied in the general definition with the concept 'structure of knowledge' and 'middle language'. This nature states that the structure of knowledge in upper layer contains middle languages in the lower layer as whole without distinctions. Following the statement, Bruner's idea on discovery learning is conceptualized as a method of teaching that students comes to possess the structure of knowledge through the middle language.
      It is necessary the teacher's activity for students to realize the idea of discovery learning. Teacher guides the experience of jumping from the middle language which lie in the lower layer to the structure of knowledge which constitutes the upper layer of school subjects by the subtle use of language. Students become to possess the structure of knowledge only by the teacher's activ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nature of discovery learning in the light of the idea of Bruner's. Generally speaking, discovery learning is defined as a model of instruction for students to discovery the principle hidden in the facts.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nature of discovery learning in the light of the idea of Bruner's. Generally speaking, discovery learning is defined as a model of instruction for students to discovery the principle hidden in the facts. The general definition on discovery learning gives us a important suggestion that principle as a content of the school subjects is distinguished from facts. But the definition is able to misguide us to the sense that the teacher does not teach, and the students find out everything for themselves in discovery learning. Of course, no sane person supposes that students are going to discover the whole of what they need to know quite apart from the teacher's activity.
      We are able to correct the misunderstanding with Bruner's idea on discovery learning. First of all, Bruner makes clear the nature of school subjects implied in the general definition with the concept 'structure of knowledge' and 'middle language'. This nature states that the structure of knowledge in upper layer contains middle languages in the lower layer as whole without distinctions. Following the statement, Bruner's idea on discovery learning is conceptualized as a method of teaching that students comes to possess the structure of knowledge through the middle language.
      It is necessary the teacher's activity for students to realize the idea of discovery learning. Teacher guides the experience of jumping from the middle language which lie in the lower layer to the structure of knowledge which constitutes the upper layer of school subjects by the subtle use of language. Students become to possess the structure of knowledge only by the teacher's activ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학습과 교수" 교육과학사 196519921998

      2 "키에르케고르의 간접전달" 성경재 2003

      3 "지식의 구조와 구조주의" 성경재 2003

      4 "지식의 구조와 교과" 교육과학사 1996

      5 "주역의 교육과정이론" 성경재 2003

      6 "원리를 가르칠 수 있는가:발견학습의 논리" (1992) : 1979

      7 "에로스의 교육적 의미:향연과 파이드로스의 한 해석" 1994

      8 "성리학의 교육이론" 성경재 2000

      9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 문학과 교육사 2001

      10 "브루너 탐구학습의 비판적 재검토:새로운 과학철학을 중심으로" 1995

      1 "학습과 교수" 교육과학사 196519921998

      2 "키에르케고르의 간접전달" 성경재 2003

      3 "지식의 구조와 구조주의" 성경재 2003

      4 "지식의 구조와 교과" 교육과학사 1996

      5 "주역의 교육과정이론" 성경재 2003

      6 "원리를 가르칠 수 있는가:발견학습의 논리" (1992) : 1979

      7 "에로스의 교육적 의미:향연과 파이드로스의 한 해석" 1994

      8 "성리학의 교육이론" 성경재 2000

      9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 문학과 교육사 2001

      10 "브루너 탐구학습의 비판적 재검토:새로운 과학철학을 중심으로" 1995

      11 "발견학습의 인식론적 고찰" 1987

      12 "발견식-탐구식 수업"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 하우동설. 1998

      13 "교육과정탐구" 박영사 1992

      14 "교육과정이론" 교육과학사 2003

      15 "교사의 수업 전문성" 성경재 2001b

      16 "교과와 교사" 성경재. 2001a

      17 "교과교육에서의 교사의 위치" 한국도덕교육학회 13 (13): 2001

      18 "교과교육과 교과정책" 성경재. 2002

      19 "교과교육과 교과정책" 성경재. 2002

      20 "Toward a Theory of Instruc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66

      21 "The Relevance of Education" 1972

      22 "The Process of Education 브루너의 교육의 과정" 박영사 19601992

      23 "The Process of Education Reconsidered Dare to Care/Dare to Act 「교육의 과정」의 재음미 브루너의 교육의 과정" 박영사 19711992

      24 "The Principles of Art" Oxford University Press 1938

      25 "Meno. J. M. Cooper(ed.)." Complete Works. Hackett Publishing Company. 1997

      26 "Instruction and Learning by Discovery The Concept of Education" 1967

      27 "Ich und Du"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83

      28 "Bruner의 발견적 교수-학습이론" 원미사 2001

      29 "Bruner 지식의 구조" 교육과학사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2-03-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5 1.65 1.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1 1.85 2.063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