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s to propose the theory of maum(마음) education as the 'new' area of educational theory. The theory of maum education, which succeed to the tradition of asian educational thoughts focused on Xin(心), has the scientific peculiarities as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846659
2004
-
KCI등재
학술저널
1-33(33쪽)
1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theory of maum(마음) education as the 'new' area of educational theory. The theory of maum education, which succeed to the tradition of asian educational thoughts focused on Xin(心), has the scientific peculiarities as ...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theory of maum(마음) education as the 'new' area of educational theory. The theory of maum education, which succeed to the tradition of asian educational thoughts focused on Xin(心), has the scientific peculiarities as follow. First, in the theory of maum education, there is the metaphysic for 'maum' or 'true nature of maum', including of the premise that the true nature of maum is fundamentally good. Second, the theory of maum education takes a serious view of the role of maum as the subject and creator of life. Third, the theory of maum education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the side of 'learning'(including of Kung-fu(工夫) or self-cultivation) in educational practice. Forth, the theory and practice of maum education is based on daily life. Fifth, there is no division between moral education and mental education in the curriculum and method of maum education. Sixth, the theory of maum education takes a serious view of the education of body as a part of maum education. Seventh, in the theory of maum education, it is expected the all student to be a sage through maum education, and so it is expected the theory of maum education to be a pedagogy of real prescription for "sage education". The theory of maum education will be Korean way of educational theory, providing fluent practical meanings.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교육학 담론의 새로운 지평으로서 ‘마음교육론’을 제안했다. ‘마음교육론’은 心 중심의 동양교육적 사유를 계승, 반영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은 학문적 특성을 지닌다. ...
이 논문에서는 교육학 담론의 새로운 지평으로서 ‘마음교육론’을 제안했다. ‘마음교육론’은 心 중심의 동양교육적 사유를 계승, 반영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은 학문적 특성을 지닌다. 첫째, 우선 ‘마음’ 및 ‘마음의 본성’에 대한 형이상학적 탐색을 학문적 기초로 삼되, 마음형이상학에는 일종의 ‘心善’의 전제가 내포되어 있다. 둘째, 삶의 주재자이며 창조자로서의 마음의 측면에 주목한다. 셋째, 공부 및 수양 등의 배움의 측면을 제일의 학문적 관심사로 하되, 가르침의 측면 역시 간과하지 않는다. 넷째, 사소하게 보이는 일상을 최초의, 최후의, 그리고 최고의 교육의 장으로 이해하고 탐구한다. 다섯째, 교육내용 및 방법의 측면에서 ‘도덕교육’과 ‘지식교육’의 통합을 지향한다. 여섯째, 마음교육 속에 이미 몸교육을 포괄하는 통합적 교육 이해를 지향한다. 일곱째, ‘聖人을 꿈꾸는 배움’으로서의 聖學의 특성을 갖추며, 성학을 위한 실제적 처방을 제시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마음교육론’은 ‘숭고한 마음의 존재를 잊고 잃은’ 현재 교육 문제 해결에, 실천적 의미를 지닌 ‘한국적’ 교육학 담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 도덕교육의 쟁점." 52 : 2003
2 "한국전통교육의 탈근대적 의미." 555 : 2001
3 유권종, "한국인의 내면에 形象化된 '마음'- 한국인의 마음 모델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 -" 동양철학연구회 34 : 125-151, 2003
4 "페스탈로찌와 왕양명의 인간교육에 있어서의 종교적 철학적 근거" 8. : 1990
5 "전통 교육, 근대 교육, 탈근대 교육" 6 : 2002
6 "인격교육론." 백의. 1998
7 "인격교육론." 백의. 1998
8 "유학과 현대세계" 서광사 1998
9 "유교의 공부론과 덕의 요청" 청계 2004
10 "유가적 몸과 소속된 삶." 8 : 1999
1 "현대 도덕교육의 쟁점." 52 : 2003
2 "한국전통교육의 탈근대적 의미." 555 : 2001
3 유권종, "한국인의 내면에 形象化된 '마음'- 한국인의 마음 모델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 -" 동양철학연구회 34 : 125-151, 2003
4 "페스탈로찌와 왕양명의 인간교육에 있어서의 종교적 철학적 근거" 8. : 1990
5 "전통 교육, 근대 교육, 탈근대 교육" 6 : 2002
6 "인격교육론." 백의. 1998
7 "인격교육론." 백의. 1998
8 "유학과 현대세계" 서광사 1998
9 "유교의 공부론과 덕의 요청" 청계 2004
10 "유가적 몸과 소속된 삶." 8 : 1999
11 "수양과 지식 유학에서의 공부론." 33,34 : 2002
12 "성리학의 몸공부 이해." 32 : 2004
13 "새로운 영성교육의 성격과 그 주요 명제." 30 : 2002
14 안옥선, "불교의 몸 : 속박과 해탈의 장소로서의 몸." 8 : 1999
15 "불가와 유가의 마음에 대한 관점 비교-함허와 정도전을 중심으로." 41 : 1999
16 "몸공부에 관한 교육학적 단상 모음." 39,40 : 2003
17 "몸 또는 욕망의 사다리." 한길사 1999
18 "돌이켜보아야 할 우리교육의 출발점-몸." 7 : 1998
19 "도덕교육학신론." 문음사 2003
20 "도덕교육의 이해(개정증보판)." 백의 2004
21 "도덕교육의 담론." 학지사 1999
22 "덕성함양의 전통적 방법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23 "가르침과 배움의 영성 : 공동체, 사랑, 실천을 회복하는 교육."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2000
24 "鄭仁在 역 中國人의 人生哲學" 1983
25 "退溪와 栗谷의 工夫論 比較硏究 - 『聖學十圖』와 『聖學輯要』를 중심으로" 25 (25): 2003
26 "性理學의 敎育理論." 誠敬齋 2000
27 "性理學에서의 小學大學 교육과정론- 주자;퇴계율곡의 견해를 중심으로-." 17 : 2002
28 "天台智顗;의 인간이해와 수행론-不定止觀을 중심으로." 26 (26): 2004
29 "大正新修大藏經"
30 "四書集註老子莊子荀子朱子語類 朱熹集大學或問傳習錄大正新修大藏經西山大師集 說文解字"
31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ersonal k (personal k): 1962
32 "To know as we are known education as a spiritual journey A division of harper collins publishers." 1983
33 "The Message of the Mind in Neo-Confucianism in Korea" Columbia Uni. Press. 1989
34 "21세기를 대비한 인성교육의 철학적 구상." 4 (4): 1999
35 ". 한국교육철학의 새 지평." 내일을여는책. 2000b
36 ". 지식과 교육." 교육과학사. 1999
37 ". 유교적 몸의 修行과 페미니즘." 14. : 2000c
38 ". 시몬느 베이유의 영성과 지식교육." 23. : 2000a
39 ". 불교철학의 전개." 예문서원 2003
40 ". 몸에 대한 장자의 비판적 기호학." 8 : 1999
41 ". 몸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2001
42 ". 동양의 마음과 상담." 11 (11): 1999
43 ". 동양의 도덕교육사상." 청계 2000
44 ". 도덕성 요소와 도덕교육." 학지사 2003
45 ". 교육의 동양적 전통Ⅰ." 誠敬齋 2000
46 ". 朱子의 工夫論 硏究." 2000
47 ". ‘영성’의 교육적 의미." 30. : 2002
내용목표와 사고기능목표를 제시한 수업이 아동의 사고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2-03-1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5 | 1.65 | 1.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71 | 1.85 | 2.063 | 0.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