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CT에 대한 논의는 ① 둘 다 문화콘텐츠 구현 요소일 뿐이라는 점, ② 문학적 역량의 변용이 필수적이라는 점, ③ 양자의 결합에서는 효율성과 창의성을 동시적으로 추구해야한다는 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347260
2008
Korean
001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47-60(14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문학과 CT에 대한 논의는 ① 둘 다 문화콘텐츠 구현 요소일 뿐이라는 점, ② 문학적 역량의 변용이 필수적이라는 점, ③ 양자의 결합에서는 효율성과 창의성을 동시적으로 추구해야한다는 점...
문학과 CT에 대한 논의는 ① 둘 다 문화콘텐츠 구현 요소일 뿐이라는 점, ② 문학적 역량의 변용이 필수적이라는 점, ③ 양자의 결합에서는 효율성과 창의성을 동시적으로 추구해야한다는 점 등을 전제로 한다. 문화콘텐츠의 영역에서 문학은 상상력과 창작소재 그리고 스토리텔링 전략으로 개입하는데, 상상력과 창작소재는 스토리텔링으로 구체화한다. 따라서 CT와 문학의 상생 방안을 모색하는 본고의 논의 대상을 스토리텔링으로 한정하였다. 스토리텔링은 이야기가 아니라 ‘새로운 이야기를 새로운 방식으로 보여주고 그 과정에서 향유를 어떻게 극대화할 것인가’가에 주목한다. 이 과정에서 요구되는 것이 CT(Culture Technology)다. 이것은 디지털화, 콘텐츠의 첨단화, 장르?매체간 convergence에 따라 CT의 수요가 급증했다는 외적인 요인에 기인한다. 또한 문화콘텐츠가 스토리텔링을 근간으로 하고 있고, 스토리텔링은 향유의 강화로 수렴된다는 점에서 소위 ‘telling’ 방식의 다양화를 통한 대중적 소구의 강화가 필수적이게 되는데, 이때 ‘telling’의 다양한 시도를 구현시키는 것이 CT라는 점에서 그 상관성은 더욱 강화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CT와 상관된 스토리텔링의 양상은 효과적인 내러티브 구성을 위한 스토리텔링의 전략화와 향유를 활성화할 수 있는 텔링 방식의 다양화에 대한 탐구다. 문학과 CT가 상생적 보완을 이루기 위한 선행 사례 분석과 전략 탐색이 본고의 핵심이다. 문학과 상관한 CT를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양자의 상생 방안이 필수적이며, 스토리텔링을 효과적으로 기술화 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성과와 상당 시간의 DB 구축 노력이 필수적이다. 양자의 상생적 결합이 당위적 요구가 아니라 실천이 되기 위해서는 역설적으로 결합의 토대가 되는 기술 외적인 분야의 연구와 탐구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iscussion on literature and CT(Culture Technology) is on the assumption that 1) both are just elements to realize cultural contents, 2) literary capacity should be changed, and 3) their combination should pursuit efficiency and creativity at the ...
The discussion on literature and CT(Culture Technology) is on the assumption that 1) both are just elements to realize cultural contents, 2) literary capacity should be changed, and 3) their combination should pursuit efficiency and creativity at the same time. Literature of cultural contents’ domain is concerned with imagination, material for creation, and storytelling strategy. The first and second ones are actualized by the last one, storytelling. Therefore storytelling is the point of this article, in which the method should be found for CT and literature’s development in harmony. The storytelling is not the story, but the new way to show story and how to maximize the enjoyment in the process. That’s the CT, which is definitely necessary in that process. This is caused by the external factor, that the demand of CT was increased suddenly by digitalization, cutting edge contents, and convergence by genre and media. The cultural contents are based on storytelling, which is converged by strengthen enjoyment. So the general public’s participation is necessary with various ways to tell the story. At this time CT can actualize the various attempts of telling, so their interrelationship gets stronger. The aspect of storytelling concerned with CT is the research on mapping out a strategy on the storytelling to consist effective narrative, and diversifying telling ways to activate enjoyment. The point of this article is to study previous cases and to research the strategies to develop culture and CT in harmony.
So that CT concerned with literature can be actualized successfully, the method should be researched to develop both ones in harmony. And specific benefit of research and effort is necessary to construct DB with considerable time. Paradoxically speaking the study and research on outward field except for technique, which is the basis of combination, should be preceded so that their combination in harmony can be practical demand not a natural on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라창현, "한국형 창작지원 스토리텔링 저작도구" 2006
2 "문화콘텐츠기술 로드맵 및 중장기계획 수립사업 최종연구 개발보고서: 기획 및 시나리오 기술 로드맵"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4
3 "문화콘텐츠기술 로드맵 및 중장기계획 수립사업 최종연구 개발보고서: CT중장기 발전계획"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4
4 박기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의 생산적 논의를 위한 네 가지 접근법" 한국언어문화학회 32 : 2007
5 최혜실, "문화산업과 스토리텔링"
6 이인화, "디지털 스토리텔링 황금가지"
7 "CT 표준화 추진방안 연구 보고서"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6
8 "CT 비전 및 중장기 전략 수립"
9 "CT 비전 및 로드맵: CT를 통한 세계 5대 문화산업 강국 견인"
1 라창현, "한국형 창작지원 스토리텔링 저작도구" 2006
2 "문화콘텐츠기술 로드맵 및 중장기계획 수립사업 최종연구 개발보고서: 기획 및 시나리오 기술 로드맵"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4
3 "문화콘텐츠기술 로드맵 및 중장기계획 수립사업 최종연구 개발보고서: CT중장기 발전계획"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4
4 박기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의 생산적 논의를 위한 네 가지 접근법" 한국언어문화학회 32 : 2007
5 최혜실, "문화산업과 스토리텔링"
6 이인화, "디지털 스토리텔링 황금가지"
7 "CT 표준화 추진방안 연구 보고서"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6
8 "CT 비전 및 중장기 전략 수립"
9 "CT 비전 및 로드맵: CT를 통한 세계 5대 문화산업 강국 견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9-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 | 1.2 | 1.2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1 | 1.17 | 2.031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