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레벨셋과 무요소법을 결합한 위상 및 형상 최적설계 = Level Set Based Topological Shape Optimization Combined with Meshfree Meth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1219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레벨셋 기법과 무요소법을 결합한 위상 및 형상 최적설계 기법을 개발하여 선형 탄성문제에 적용하였다. 설계민감도는 애드조인트법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구하였다. 해밀턴-자코비 방정...

      레벨셋 기법과 무요소법을 결합한 위상 및 형상 최적설계 기법을 개발하여 선형 탄성문제에 적용하였다. 설계민감도는 애드조인트법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구하였다. 해밀턴-자코비 방정식을 업-윈드 기법을 이용하여 수치적으로 풀었으며, 구조물의 경계는 레벨셋 함수를 이용하여 암시적으로 표현하였다. 구조물의 응답과 설계민감도를 얻기 위하여 암시적 함수를 사용하여 명시적 경계를 생성하였다. 재생 커널 기법에 기초하여 얻어진 전역 절점 기저함수를 사용하여 연속체 지배방정식의 변위장을 이산화하였다. 따라서 질점들을 연속체 영역의 어느 곳이든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는 통해 명시적 경계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정확한 설계를 얻을 수 있다. 개발된 방법은 제한 조건이 있는 최적설계 문제에 대하여 라그랑지안 범함수를 정의한다. 이는 경계의 변화를 통하여 허용 부피 제한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컴플라이언스를 최소화한다. 최적설계 과정 동안 라그랑지안 범함수의 최적화조건을 만족시킴으로써 해밀턴-자코비 방정식을 풀기 위한 속도장을 얻는다. 기존의 형상 최적설계 기법에 비하여, 본 방법론은 위상과 형상의 변화를 쉽게 얻어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sing the level set and the meshfree methods, we develop a topological shape optimization method applied to linear elasticity problems. Design gradients are computed using an efficient adjoint design sensitivity analysis(DSA) method. The boundaries ar...

      Using the level set and the meshfree methods, we develop a topological shape optimization method applied to linear elasticity problems. Design gradients are computed using an efficient adjoint design sensitivity analysis(DSA) method. The boundaries are represented by an implicit moving boundary(IMB) embedded in the level set function obtainable from the "Hamilton-Jacobi type" equation with the "Up-wind scheme". Then, using the implicit function, explicit boundaries are generated to obtain the response and sensitivity of the structures. Global nodal shape function derived on a basis of the reproducing kernel(RK) method is employed to discretize the displacement field in the governing continuum equation. Thus, the material points can be located everywhere in the continuum domain, which enables to generate the explicit boundaries and leads to a precise design result. The developed method defines a Lagrangian functional for the constrained optimization. It minimizes the compliance, satisfying the constraint of allowable volume through the variations of boundary. During the optimization, the velocity to integrate the Hamilton-Jacobi equation is obtained from the optimality condition for the Lagrangian functional.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hape optimization method, the developed one can easily represent the topological shape varia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Lancaster, P., "Surface Generated by Moving Least Squares Methods" 37 : 141-158, 1981

      2 Sethian, J.A., "Structural Boundary Design via Level Set and Immersed Interface Methods" 163 : 489-528, 2000

      3 Belytschko, T., "Meshless Methods: An Overview and Recent Developments" 139 : 3-47, 1996

      4 김민근, "Level Set based Topological Shape Optimization of Phononic Crystals"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5 (25): 549-558, 2012

      5 Chen, J.S., "Large Deformation Analysis of Rubber Based on Reproducing Kernel Particle Method" 19 : 211-227, 1997

      6 Osher, S., "Front Propagating with Curvature Dependent Speed: Algorithms Based on Hamilton-Jacobi Formulations" 79 : 12-49, 1988

      7 Haug, E.J., "Design Sensitivity Analysis of Structural Systems" Academic Press 1986

      8 Allaire, G., "A Level-set Method for Shape Optimization" 334 : 1125-1130, 2002

      9 Wang, M.Y., "A Level Set Method for Structural Topology Optimization" 192 : 227-246, 2003

      1 Lancaster, P., "Surface Generated by Moving Least Squares Methods" 37 : 141-158, 1981

      2 Sethian, J.A., "Structural Boundary Design via Level Set and Immersed Interface Methods" 163 : 489-528, 2000

      3 Belytschko, T., "Meshless Methods: An Overview and Recent Developments" 139 : 3-47, 1996

      4 김민근, "Level Set based Topological Shape Optimization of Phononic Crystals"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5 (25): 549-558, 2012

      5 Chen, J.S., "Large Deformation Analysis of Rubber Based on Reproducing Kernel Particle Method" 19 : 211-227, 1997

      6 Osher, S., "Front Propagating with Curvature Dependent Speed: Algorithms Based on Hamilton-Jacobi Formulations" 79 : 12-49, 1988

      7 Haug, E.J., "Design Sensitivity Analysis of Structural Systems" Academic Press 1986

      8 Allaire, G., "A Level-set Method for Shape Optimization" 334 : 1125-1130, 2002

      9 Wang, M.Y., "A Level Set Method for Structural Topology Optimization" 192 : 227-246,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2 0.2 0.443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