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볼프의 목적론 = Wolff’s Tele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546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his Discursus praemininaris, Wolff explains his theory of “teleology”. In this paper, we will sketch the structure of teleology in the whole system of Wolf philosophy based on the statements of the Discursus praemininaris. Wolff orders parts of philosophy in a demonstrative and mathematical way. That is becuase following science can acquire certainty only by deducing its concepts and principles from prior sciences. Teleology is a part of natural science and,
      at the same time, borrows its concept from ontology and natural theology. First, Wolff justifies the introduction of teleology based on the duality of causation in Discursus praemininaris §85. Accordint to doctrines of ontology, efficient cause and final cause are reciprocally connected causes(sibi mutuo causae). Since causes are always connected reciprocally, the natural science which considers only the efficient cause is forced to stay in an incomplete state. So we must introduce teleology into natural science. In Discursus praemininaris §101, Wolff deals with the relation between natural theology and teleology. In creating nature, God intended to express his perfection. In other words, ‘the revelation of the glory of God’ is the first purpose of nature. Thus, the greatness of nature reveals God s attributes to us in a sensible way and so teleology has the status of an experimental natural theology. According to §100 of Discursus praemininaris, in dogmatic natural science teleology is located after the natural science of efficient cause. As it is evident in the description of the living body s organs, the purpose can be revealed only after the structure and function has been explained. In particular, in this paper we have pointed out that Wolff gives life an another first principle, i.e. the principle of self-preservation. In contrast to other beings of nature, which are always exist for others, organism exists for its ownself. As a result, Wolff introduces the principle of internal
      purposiveness into natural science. Wolff s teleology can be regarded as a legacy of Leibniz on the one hand. Leibniz also conceived of a double connected system of efficient cause and final cause, contemplated completeness of God in nature and believed that teleology is useful for conjecture in natural science. But, on the other hand, Wolff simply does not stay in line with Leibniz. Unlike Leibniz, he produced some separate textbooks on teleology and developed teleology into a single independent subject. In addition, by claiming the principle of life as self-preservation, he secured living things’ own area.
      번역하기

      In his Discursus praemininaris, Wolff explains his theory of “teleology”. In this paper, we will sketch the structure of teleology in the whole system of Wolf philosophy based on the statements of the Discursus praemininaris. Wolff orders parts of...

      In his Discursus praemininaris, Wolff explains his theory of “teleology”. In this paper, we will sketch the structure of teleology in the whole system of Wolf philosophy based on the statements of the Discursus praemininaris. Wolff orders parts of philosophy in a demonstrative and mathematical way. That is becuase following science can acquire certainty only by deducing its concepts and principles from prior sciences. Teleology is a part of natural science and,
      at the same time, borrows its concept from ontology and natural theology. First, Wolff justifies the introduction of teleology based on the duality of causation in Discursus praemininaris §85. Accordint to doctrines of ontology, efficient cause and final cause are reciprocally connected causes(sibi mutuo causae). Since causes are always connected reciprocally, the natural science which considers only the efficient cause is forced to stay in an incomplete state. So we must introduce teleology into natural science. In Discursus praemininaris §101, Wolff deals with the relation between natural theology and teleology. In creating nature, God intended to express his perfection. In other words, ‘the revelation of the glory of God’ is the first purpose of nature. Thus, the greatness of nature reveals God s attributes to us in a sensible way and so teleology has the status of an experimental natural theology. According to §100 of Discursus praemininaris, in dogmatic natural science teleology is located after the natural science of efficient cause. As it is evident in the description of the living body s organs, the purpose can be revealed only after the structure and function has been explained. In particular, in this paper we have pointed out that Wolff gives life an another first principle, i.e. the principle of self-preservation. In contrast to other beings of nature, which are always exist for others, organism exists for its ownself. As a result, Wolff introduces the principle of internal
      purposiveness into natural science. Wolff s teleology can be regarded as a legacy of Leibniz on the one hand. Leibniz also conceived of a double connected system of efficient cause and final cause, contemplated completeness of God in nature and believed that teleology is useful for conjecture in natural science. But, on the other hand, Wolff simply does not stay in line with Leibniz. Unlike Leibniz, he produced some separate textbooks on teleology and developed teleology into a single independent subject. In addition, by claiming the principle of life as self-preservation, he secured living things’ own a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크리스티안 볼프는 󰡔예비적 논고󰡕(Discursus praemininaris)에서 목적론에 대해 서술한다. 우리는 󰡔예비적 논고󰡕의 진술을 바탕으로 볼프 목적론에 대한 윤곽을 그려본다. 볼프는 증명적이고 수학적인 방식으로 학문들에 질서를 부여함으로써 학문의 확실성을 꾀한다. 목적론은 자연학의 한 부분인 동시에 존재론과 자연신학으로부터 그 개념을 빌려온다. 우선 󰡔예비적 논고󰡕의 §85는 원인의 2중성으로부터 목적론의 도입을 연역한다. 󰡔존재론󰡕에 따르면 작용인과 목적인은 상호적 원인(sibi mutuo causae)이다. 원인이 언제나 2중적으로 결합되어 있기에, 작용인만을 고려하는 자연학은 불완전한 상태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목적론은 자연학에 도입되어야만 한다. 󰡔예비적 논고󰡕의 §101은 자연신학과 목적론의 관계를 다룬다. 자연을 산출하면서 품었던 신의 의도는 자신의 완전성을 표현하는 것이었다. 즉 ‘신의 영광의 계시’가 자연의 주목적이다. 따라서 자연의 위대함은 신의 속성을 우리에게 감각 가능하게 표현하기에 목적론은 실험적 자연신학 지위를 갖는다. 󰡔예비적 논고󰡕의 §100에 따르면 교의적 자연학 내에서 목적론은 작용인의 자연학 이후에 위치한다. 신체의 기관에 대한 설명에서 잘 드러나듯 구조와 기능이 밝혀져야 반대로 그
      목적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볼프가 생명체에게 자기보존의 원리라는 또 다른 주목적을 부여하는 점에 주목했다. 자연의 다른 존재자들은 언제나 다른 것을 위해 존재하지만 유기체는 자신을 위해 존재한다. 이로써 볼프는 내적합목적성의 원리를 자연학에 도입하게 된다. 볼프의 목적론은 한편으로 라이프니츠의 유산으로 평가할 수 있다. 라이프니츠 역시 작용인과 목적인의 2중적 결합 체계를 구상하고, 자연에서 신의 완전성을 바라보았으며, 목적론이 자연학에서 추측을 위한 효용이 있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볼프는 단순히 라이프니츠를 답습하는데 머무르지는 않았다. 그는 라이프니츠와 달리 목적론에 대한 별도의 교과서를 만들어 하나의 독립적 학으로 발전시켰을 뿐만 아니라 생명의 원리를 자기보존으로 주장함으로써 생명에 대한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크리스티안 볼프는 󰡔예비적 논고󰡕(Discursus praemininaris)에서 목적론에 대해 서술한다. 우리는 󰡔예비적 논고󰡕의 진술을 바탕으로 볼프 목적론에 대한 윤곽을 그려본다. 볼...

      크리스티안 볼프는 󰡔예비적 논고󰡕(Discursus praemininaris)에서 목적론에 대해 서술한다. 우리는 󰡔예비적 논고󰡕의 진술을 바탕으로 볼프 목적론에 대한 윤곽을 그려본다. 볼프는 증명적이고 수학적인 방식으로 학문들에 질서를 부여함으로써 학문의 확실성을 꾀한다. 목적론은 자연학의 한 부분인 동시에 존재론과 자연신학으로부터 그 개념을 빌려온다. 우선 󰡔예비적 논고󰡕의 §85는 원인의 2중성으로부터 목적론의 도입을 연역한다. 󰡔존재론󰡕에 따르면 작용인과 목적인은 상호적 원인(sibi mutuo causae)이다. 원인이 언제나 2중적으로 결합되어 있기에, 작용인만을 고려하는 자연학은 불완전한 상태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목적론은 자연학에 도입되어야만 한다. 󰡔예비적 논고󰡕의 §101은 자연신학과 목적론의 관계를 다룬다. 자연을 산출하면서 품었던 신의 의도는 자신의 완전성을 표현하는 것이었다. 즉 ‘신의 영광의 계시’가 자연의 주목적이다. 따라서 자연의 위대함은 신의 속성을 우리에게 감각 가능하게 표현하기에 목적론은 실험적 자연신학 지위를 갖는다. 󰡔예비적 논고󰡕의 §100에 따르면 교의적 자연학 내에서 목적론은 작용인의 자연학 이후에 위치한다. 신체의 기관에 대한 설명에서 잘 드러나듯 구조와 기능이 밝혀져야 반대로 그
      목적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볼프가 생명체에게 자기보존의 원리라는 또 다른 주목적을 부여하는 점에 주목했다. 자연의 다른 존재자들은 언제나 다른 것을 위해 존재하지만 유기체는 자신을 위해 존재한다. 이로써 볼프는 내적합목적성의 원리를 자연학에 도입하게 된다. 볼프의 목적론은 한편으로 라이프니츠의 유산으로 평가할 수 있다. 라이프니츠 역시 작용인과 목적인의 2중적 결합 체계를 구상하고, 자연에서 신의 완전성을 바라보았으며, 목적론이 자연학에서 추측을 위한 효용이 있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볼프는 단순히 라이프니츠를 답습하는데 머무르지는 않았다. 그는 라이프니츠와 달리 목적론에 대한 별도의 교과서를 만들어 하나의 독립적 학으로 발전시켰을 뿐만 아니라 생명의 원리를 자기보존으로 주장함으로써 생명에 대한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는 말
      • II. 철학의 질서와 증명적 체계
      • III. 존재론과 목적론
      • Ⅳ. 자연신학과 목적론
      • Ⅴ. 자연학과 목적론
      • I. 들어가는 말
      • II. 철학의 질서와 증명적 체계
      • III. 존재론과 목적론
      • Ⅳ. 자연신학과 목적론
      • Ⅴ. 자연학과 목적론
      • Ⅵ. 볼프 목적론의 평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Leibniz, G. W., "형이상학 논고" 아카넷 2010

      2 Grimm, J., "표제어: Absicht"

      3 Kant, I.,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2009

      4 Wolff, C., "Vernünftige Gedanken von den Würkungen der Natur, den Liebhabern der Wharheit mitgetheilet" 1723

      5 Wolff, C., "Vernünftige Gedanken von den Absichten der Natürlichen Dinge" 1724

      6 Wolff, C., "Vernünftige Gedanken von dem Gebrauche der Theile in Menschen, Thieren und Pflanzen" 1724

      7 Wolff, C., "Vernünftige Gedanken von Gott, der Welt, und der Selle des Menschen, auch allen Dingen überhaupt" 1751

      8 Wolff, C., "Theologia naturalis, methodo scientifica pertractata, pars posterior, qua existentia et attributa dei ex notione entis perfectissimi et natura animae demonstrantur, et atheismi, deismi, fatalismi, naturalismi, spinosismi aliorumque, de deo errorum fundamenta subvertuntur" 1737

      9 Van den Berg, H., "The Wolffian roots of Kant’s teleology" 44 (44): 2013

      10 Blackwell, R., "The Structure of Wolffian Philosophy" 38 : 1961

      1 Leibniz, G. W., "형이상학 논고" 아카넷 2010

      2 Grimm, J., "표제어: Absicht"

      3 Kant, I.,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2009

      4 Wolff, C., "Vernünftige Gedanken von den Würkungen der Natur, den Liebhabern der Wharheit mitgetheilet" 1723

      5 Wolff, C., "Vernünftige Gedanken von den Absichten der Natürlichen Dinge" 1724

      6 Wolff, C., "Vernünftige Gedanken von dem Gebrauche der Theile in Menschen, Thieren und Pflanzen" 1724

      7 Wolff, C., "Vernünftige Gedanken von Gott, der Welt, und der Selle des Menschen, auch allen Dingen überhaupt" 1751

      8 Wolff, C., "Theologia naturalis, methodo scientifica pertractata, pars posterior, qua existentia et attributa dei ex notione entis perfectissimi et natura animae demonstrantur, et atheismi, deismi, fatalismi, naturalismi, spinosismi aliorumque, de deo errorum fundamenta subvertuntur" 1737

      9 Van den Berg, H., "The Wolffian roots of Kant’s teleology" 44 (44): 2013

      10 Blackwell, R., "The Structure of Wolffian Philosophy" 38 : 1961

      11 Israel, J., "Radical enlightenment" 2001

      12 Wolff, C., "Philosophia prima sive Ontologia, methodo scientifica pertracta, qua omnis cognitionis humanae principia continentur" 1730

      13 Wolff, C., "Philosophia practica universalis, methodo scientifica pertractata, pars prior, theoriam complectens, qua omnis actionum humanarum differentia, omnisque juris ac obligationum omnium, principia, a priori demonstrantur" 1744

      14 Leibniz, G. W., "Negotium Otiosum seu Σ ΚΙΜΑΧΙΑ adversus positiones aliquas fundamentales Theoriae verae medicae" 1720

      15 Naeve, N., "Naturteleologie bei Aristoteles, Leibniz, Kant und Hegel" 2013

      16 Oitinnen, V., "Kants Philosophie der Natur" 2009

      17 Wolff, C., "Horae subsecivae marburgenses" 1770

      18 Wolff, C., "Horae subsecivae marburgenses" 1770

      19 Busche, H., "Historisches Wörterbuch der Philosophie, Bd. 10" 1998

      20 Toepfer, G., "Historisches Wörterbuch der Biologie, Bd. 3" 2013

      21 Leibniz, G. W., "Gothofridi Guillemi Leibnitii Opera Omnia, Vol. 5" 1768

      22 Wolff, C., "Discursus praeliminaris de philosophia in genere" 1728

      23 Buchenau, S., "Die Teleologie zwischen Physik und Theologie" 23 : 2011

      24 École, J., "De la notion de philosophie expérimentale chez Wolff" 4 : 1979

      25 Camposampiero, M. F., "Christian Wolff’s philosophy of medicine: An early functional analysis of health and disease" 16 : 2016

      26 Lüthje, H., "Christian Wolffs Philosophiebegriff" 30 (30): 65-, 1925

      27 Euler, W., "Christian Wolff und die europäische Aufklärung: Akten des 1. Internationalen Christian-Wolff-Kongresses" 2008

      28 Camposampiero, M. F., "Bodies of Inference: Christian Wolff’s Epistemology of the Life Sciences and Medicine" 24 (24): 2016

      29 Luidovici, C. G., "Ausführlicher Entwurf einer vollständiger Historie der Wolffischen Philosophie" 1737

      30 Euler, W., "Aufklärung durch Kritik"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1-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ogang Journal of Philosoph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51 1.274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