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동서남해안권발전특별법의 입법과정에 관한 사례연구이다. 사례연구는 먼저 특별법 입법의 정책형성의 배경과 과정을 기술하며 의제형성과정에서 지방정부의 주도적 역할을 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25770
2009
Korean
342.5
학술저널
1-22(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동서남해안권발전특별법의 입법과정에 관한 사례연구이다. 사례연구는 먼저 특별법 입법의 정책형성의 배경과 과정을 기술하며 의제형성과정에서 지방정부의 주도적 역할을 논...
이 연구는 동서남해안권발전특별법의 입법과정에 관한 사례연구이다. 사례연구는 먼저 특별법 입법의 정책형성의 배경과 과정을 기술하며 의제형성과정에서 지방정부의 주도적 역할을 논의한다. 이를 위해 정책선언과 의제 제기과정을 분석하고 제안된 특별법의 의의와 가치를 계획분권, 연안인프라 구축, 지속가능한 연안개발, 규제의 완화 및 개혁, 지역간 협력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또한 이 사례는 정책형성과정과 정책행위자를 지방정부, 중앙정부기관, 국가정치인, 환경단체와 NGO, 전문가 집단, 매스미디어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 연구는 끝으로 해안권발전특별법의 이슈와 정책과제를 지속가능성, 연안개발 프로젝트의 타당성, 개발이익 관련 사회적 형평성, 재정과 투자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군산지역의 공공시설물 실태와 공공디자인에 관한 실증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