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구려 초기의 書寫文化 = A Study on Koguryo's early Transcription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618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高句麗 建國期에 이미 渾江과 鴨綠江 유역에도 일정하게 한자의 활용이 가능한 세력들이 존재하였고 이들은 고구려의 서사문화 형성의 모태가 되었다.
      고구려 초기의 書寫文化는 漢이나 夫餘 등 주변 국가와의 교섭 속에서 발전하였는데, 漢 유민들의 유입과 그들이 이식한 儒敎를 비롯한 陰陽五行 및 兵書 등 다양한 사상이나 서적들이 큰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서사문화는 고구려 초기 체제 정비 등 국정 운영에 적극 활용되었는데, 주변 세력을 통합해 가는 과정에서 賜姓, 군사 활동을 비롯하여 외교 및 국내 일반 행정에까지 다양한 文書를 작성하고 시행하였다. 특히 <黃鳥歌> 같은 詩歌의 창작은 한자의 단순 이해를 넘어 문학적 활용이라는 점에서 고구려 초기의 書寫文化 수준을 가늠할 수 있게 한다.
      고구려 초기 文書와 관련하여 ‘巫’, ‘占者’, ‘日者’ 등은 왕의 측근에서 일종의 기록 및 전승 등을 담당하는 직책으로 고구려 書寫文化 발전에 기여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識字層들은 제도화를 거쳐 국정의 전문가 집단으로 형성되었는데, 主簿는 각종 外交文書의 작성과 해독 및 印綬의 관장 등 문서 업무의 최고위 직책이었다.
      고구려 초기 서사문화는 통치를 위한 구체적인 법령 시행과 행정 사무에도 폭넓게 활용되었다. 고구려 초기에 이미 다양한 법률이 존재하였고, 범죄에 대한 각각의 법 조항들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문서의 활용과 확산은 賑恤과 薦擧 등의 사례를 통해서 알 수 있는데, 이러한 업무와 그 담당자는 문서의 작성은 물론이고 유교적 품성과 지적 소양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고구려 초기의 서사문화의 기반은 중기 이후 고구려 서사문화의 발전을 이끄는 토대가 되었다.
      번역하기

      高句麗 建國期에 이미 渾江과 鴨綠江 유역에도 일정하게 한자의 활용이 가능한 세력들이 존재하였고 이들은 고구려의 서사문화 형성의 모태가 되었다. 고구려 초기의 書寫文化는 漢이나 ...

      高句麗 建國期에 이미 渾江과 鴨綠江 유역에도 일정하게 한자의 활용이 가능한 세력들이 존재하였고 이들은 고구려의 서사문화 형성의 모태가 되었다.
      고구려 초기의 書寫文化는 漢이나 夫餘 등 주변 국가와의 교섭 속에서 발전하였는데, 漢 유민들의 유입과 그들이 이식한 儒敎를 비롯한 陰陽五行 및 兵書 등 다양한 사상이나 서적들이 큰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서사문화는 고구려 초기 체제 정비 등 국정 운영에 적극 활용되었는데, 주변 세력을 통합해 가는 과정에서 賜姓, 군사 활동을 비롯하여 외교 및 국내 일반 행정에까지 다양한 文書를 작성하고 시행하였다. 특히 <黃鳥歌> 같은 詩歌의 창작은 한자의 단순 이해를 넘어 문학적 활용이라는 점에서 고구려 초기의 書寫文化 수준을 가늠할 수 있게 한다.
      고구려 초기 文書와 관련하여 ‘巫’, ‘占者’, ‘日者’ 등은 왕의 측근에서 일종의 기록 및 전승 등을 담당하는 직책으로 고구려 書寫文化 발전에 기여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識字層들은 제도화를 거쳐 국정의 전문가 집단으로 형성되었는데, 主簿는 각종 外交文書의 작성과 해독 및 印綬의 관장 등 문서 업무의 최고위 직책이었다.
      고구려 초기 서사문화는 통치를 위한 구체적인 법령 시행과 행정 사무에도 폭넓게 활용되었다. 고구려 초기에 이미 다양한 법률이 존재하였고, 범죄에 대한 각각의 법 조항들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문서의 활용과 확산은 賑恤과 薦擧 등의 사례를 통해서 알 수 있는데, 이러한 업무와 그 담당자는 문서의 작성은 물론이고 유교적 품성과 지적 소양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고구려 초기의 서사문화의 기반은 중기 이후 고구려 서사문화의 발전을 이끄는 토대가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광의, "樂浪郡 初元 四年 戶口簿 재검토" 韓國木簡學會 7 : 2011

      2 고광의, "한·중 국제학술회의 고구려 문화의 역사적 의의" 고구려연구재단 2005

      3 이미경, "중국의 통일국가론으로 본 고구려사" 동북아역사재단 2009

      4 윤용구, "요동군과 현도군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8

      5 권오중, "낙랑군 호구부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0

      6 김병준, "고대 동아시아의 문자교류와 소통" 동북아역사재단 [서울] 2011

      7 고광의, "고구려의 문화와 사상" 동북아역사재단 2007

      8 이남규, "고구려의 국가 형성" 고구려연구재단 2005

      9 노중국, "고구려율령에 관한 일시론" 1 : 1987

      10 盧泰敦,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1 고광의, "樂浪郡 初元 四年 戶口簿 재검토" 韓國木簡學會 7 : 2011

      2 고광의, "한·중 국제학술회의 고구려 문화의 역사적 의의" 고구려연구재단 2005

      3 이미경, "중국의 통일국가론으로 본 고구려사" 동북아역사재단 2009

      4 윤용구, "요동군과 현도군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8

      5 권오중, "낙랑군 호구부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0

      6 김병준, "고대 동아시아의 문자교류와 소통" 동북아역사재단 [서울] 2011

      7 고광의, "고구려의 문화와 사상" 동북아역사재단 2007

      8 이남규, "고구려의 국가 형성" 고구려연구재단 2005

      9 노중국, "고구려율령에 관한 일시론" 1 : 1987

      10 盧泰敦,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11 여호규, "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 신서원 2014

      12 여호규, "고구려 초기 對中戰爭의 전개과정과 그 성격" 동북아역사재단 (15) : 7-56, 2007

      13 金瑛河, "高句麗의 巡狩制" 歷史學會 106 : 1985

      14 고광의, "高句麗 古墳壁畵에 나타난 書寫 관련 내용 검토" 한국고대사학회 34 : 225-266, 2004

      15 韓國古代社會硏究所, "譯註 韓國古代金石文(제1권)"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16 "舊唐書"

      17 孫永都, "簡明古代職官辭典" 書目文獻出版社 1987

      18 漢語大詞典編輯委員會, "漢語大詞典(普及本)" 漢語大詞典出版社 2000

      19 "漢書"

      20 "新唐書"

      21 "後漢書"

      22 고광의, "廣開土太王碑에 나타난 高句麗書寫文化의 특징-廣開土太王碑體와 石柱碑 樣式의 獨創性을 중심으로-" 고구려연구재단 2005

      23 이성시, "平壤 貞栢洞364號墳출토 竹簡 『論語』 에 대하여" 한국목간학회 4 : 2009

      24 "史記"

      25 李成珪, "史官의 傳統과 中國 歷史敍述의 特色" 가락국사적개발원 5 : 2002

      26 "三國志"

      27 "三國史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59 1.72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