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コーパスに見られる「ほんとう」の使用 = Usage of “HONTO” in Corp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03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actual usage of“HONTO”, which acts as a noun, adverb, and predicate in a sentence, It reconsiders the problems of current dictionary descriptions, and how to reflect the actual usage of “HONTO”.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usage of the "HONTO" in the "Balanced Modern Japanese Written Language Balanced Corpus" in order to clarify how well it matches the description in the dictionary. First, the usage frequency is as follows. 本当(24962 hits)>ほんと(4098 hits)>ほんとう(3565 hits)>ホント(2389 hits)>ホントウ(13 hits) As a result, in terms of frequency of use, the Chinese characters 本当 were used the most overwhelmingly, followed by the Hiragana notation and the Katakana notation.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word class (or part-of-speech) of “HONTO”, it is revealed that the word is used in each part-of-speech environment that is predetermined. And as a result of examining semantic usages of ほんと, it was found that there are a wider range of semantic usages than those explained in the dictionar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usage of ほんとう is influenc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ceding event and the following event. Finally, it is possible to know how the writers on the Web reflect their feelings and emotions by not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actual usage of“HONTO”, which acts as a noun, adverb, and predicate in a sentence, It reconsiders the problems of current dictionary descriptions, and how to reflect the actual usage of “HONTO”. Therefore, this s...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actual usage of“HONTO”, which acts as a noun, adverb, and predicate in a sentence, It reconsiders the problems of current dictionary descriptions, and how to reflect the actual usage of “HONTO”.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usage of the "HONTO" in the "Balanced Modern Japanese Written Language Balanced Corpus" in order to clarify how well it matches the description in the dictionary. First, the usage frequency is as follows. 本当(24962 hits)>ほんと(4098 hits)>ほんとう(3565 hits)>ホント(2389 hits)>ホントウ(13 hits) As a result, in terms of frequency of use, the Chinese characters 本当 were used the most overwhelmingly, followed by the Hiragana notation and the Katakana notation.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word class (or part-of-speech) of “HONTO”, it is revealed that the word is used in each part-of-speech environment that is predetermined. And as a result of examining semantic usages of ほんと, it was found that there are a wider range of semantic usages than those explained in the dictionar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usage of ほんとう is influenc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ceding event and the following event. Finally, it is possible to know how the writers on the Web reflect their feelings and emotions by not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번 연구에서는 사전의 의미기술의 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일본어의 「ほんとう」를 대상으로 사전의 의미 기술과 실제 사용의 얼마나 일 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일본어 모어화자의 실제 언어사용의 실태를 알 수 있는 「均衡現代日本語書き言葉均衡コーパス( BCCWJ )」로부터 「ほんとう」의 사용실태에 대해 조사하였다. 사용빈도, 공기어, 콜로케이션을 중심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용 빈도 면에서는 한자표기의 「本当」가 압도적을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히라가나 표기, 가타가나의 표기의 순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품사별로 어떠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품사별 사용 환경이 각각 정해진 일정한 틀로 사용되고 있음 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의미용법에 대해서는 「ほんと」를 중심으로 조사해 본 결과 의미용법은 사전에서 설명되어진 것 보다 다양한 용법 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ほんとう」의 용법은 전건과 후건과의 관계, 즉 사용상황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 로 Web 상에서 글을 쓰는 사람이 자신의 기분이나 감정을 어떻게 표기에 의해 반영하는지, 그 실테를 알 수 있게 되었다.
      번역하기

      이번 연구에서는 사전의 의미기술의 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일본어의 「ほんとう」를 대상으로 사전의 의미 기술과 실제 사용의 얼마나 일 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일본어 모어화자...

      이번 연구에서는 사전의 의미기술의 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일본어의 「ほんとう」를 대상으로 사전의 의미 기술과 실제 사용의 얼마나 일 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일본어 모어화자의 실제 언어사용의 실태를 알 수 있는 「均衡現代日本語書き言葉均衡コーパス( BCCWJ )」로부터 「ほんとう」의 사용실태에 대해 조사하였다. 사용빈도, 공기어, 콜로케이션을 중심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용 빈도 면에서는 한자표기의 「本当」가 압도적을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히라가나 표기, 가타가나의 표기의 순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품사별로 어떠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품사별 사용 환경이 각각 정해진 일정한 틀로 사용되고 있음 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의미용법에 대해서는 「ほんと」를 중심으로 조사해 본 결과 의미용법은 사전에서 설명되어진 것 보다 다양한 용법 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ほんとう」의 용법은 전건과 후건과의 관계, 즉 사용상황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 로 Web 상에서 글을 쓰는 사람이 자신의 기분이나 감정을 어떻게 표기에 의해 반영하는지, 그 실테를 알 수 있게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원재, "코퍼스를 활용한 일본어연구와 일본어교육연구" 한국문화사 2014

      2 李在鎬他, "日本語教育のためのコーパス調査入門" くろしお出版 2012

      1 장원재, "코퍼스를 활용한 일본어연구와 일본어교육연구" 한국문화사 2014

      2 李在鎬他, "日本語教育のためのコーパス調査入門" くろしお出版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5 0.519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