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침략전쟁시기(중일전쟁, 태평양전쟁) 조선에서 전개된 소위 국방헌납의 실상과 추이를 3개년과제로 살피는데 목적을 두고, 그 중 1차 년도에는 물자헌납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0168
-
2013년
Korean
국방헌납 ; Resources collection commercial union ; Key commodities management corporation. Material supply base ; metal recycling ; Material recycling indus-trial facilities recycling Pacific Wartime.Metal general mobilization law ; The Korean Peninsula heroism Voluntary S ; 국방헌금 ; 국방헌품 ; 반도의용정신대 ; 폐품회수 ; 물자회수 ; 물자헌납 ; 국민총력운동 ; 연예대 ; 제국의회설명자료 ; 은사금 ; 고물상 ; 전시통제경제 ; 애국기 ; 헌납식 ; 조선총독부 ; 금속스크렙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침략전쟁시기(중일전쟁, 태평양전쟁) 조선에서 전개된 소위 국방헌납의 실상과 추이를 3개년과제로 살피는데 목적을 두고, 그 중 1차 년도에는 물자헌납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역...
본 연구는 침략전쟁시기(중일전쟁, 태평양전쟁) 조선에서 전개된 소위 국방헌납의 실상과 추이를 3개년과제로 살피는데 목적을 두고, 그 중 1차 년도에는 물자헌납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역점을 두었다면 본 제2차 년도에는 헌납의 지역별 유형과 처리 실태 즉, 구체적으로 지역별 헌납실적 및 제반 통계, 산업물자헌납 루트와 헌납실적(전국적․지역별, 국제적), 헌납 물자 및 헌금의 이용처, 헌납과 헌금 주체와 헌납 유형 등을 집중 검토하였다. 또한 3차년도에는 헌납의 사회적 파장을 규명하고자 종교계의 헌납활동, 주먹세계의 헌납운동, 영화, 신문광고 등 대중매체 속의 국방헌납에 대해 살피는 한편, 해방 후 '국가헌납'과의 연계성을 찾는데도 관심을 두었다. 그간의 연구성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활동이다. 먼저 동북아역사재단에서 편찬한 『근대한일관계의 제문제』(2010.12)에는 「조선총독부 발표 폐품회수 통계의 허구성」으로 당시 헌납 수량 등 관변통계가 총독부가 이미 성과를 부풀려서 발표한 정황을 포착한 상황을 발표하였다(첨부자료 1쪽). 이어서 헌납 국책으로 현장 동원되었던 고물상을 분석한「중일전쟁 시기 고물상 영업 부정의 실태」( 『한국민족운동사연구』(66)(2011.3)(첨부자료 1쪽)를, 2011년 5월 3일에는 본교 인문사회연구소의 후원으로 50만원의 지원금으로 소규모연구회(<제국의 폭력이 만든 유사 자발성, 국방헌납>)를 구성하여 12월 말까지 활동하고 연구성과를 발표하였다(첨부자료 1쪽). 2011년 3월에는 고철 헌납의 국책으로 동원되었던 고물상을 분석한「중일전쟁 시기 고물상 영업 부정의 실태」( 『한국민족운동사연구』(66), 2011.3)를 공간하였다(첨부자료 1쪽). 2012년 6월 16일에는 민족운동사학회에서 논문 「권력과 헌납이 만든 주먹-반도의용정신대」을 발표하였다(첨부자료 1쪽). 6월 22일 본교의 후원으로 소규모연구회인 국방헌납연구회를 구성한 후 인문사회연구소에서 9월 29일 논문 「조선에서 국방헌납의 규모와 추이」를 발표하였다(첨부자료 1쪽). 2011년 11월 23일에는 부산시가 주관하는 전국 심포지움에서 「11.23사건의 경제적 기초, 헌납과 항거의 행간에서」를 발표하였고(첨부자료 1쪽), 이에 2012년 9월 한국민족운동사연구(72)에 「1940년 부산 11.23사건의 사회경제적 기초-국방헌납과 전쟁편승이 낳은 기대감-」을 공간하였다. 2013년 5월 4일에는 고려대에서 개최된 한국기업경영학회 한국회사 100년사 분과에서 「일제하 조선에 소재하는 일본 황실 및 국가기관의 소유재산 실태 조사」를 발표하였고, 현재 이것을 논문으로 전환하는 중이다(첨부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shift and facts of National Defense Donation Campaign in Chosun, when it was controlled by Japan, in the Invasion Wartime(the Sino-Japanese wartime and Pacific Wartime, 1937~1945).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about ...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shift and facts of National Defense Donation Campaign in Chosun, when it was controlled by Japan, in the Invasion Wartime(the Sino-Japanese wartime and Pacific Wartime, 1937~1945).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about Japanese controlled-economy policy and nation-erasure policy at that time.
In the first year of the research, I emphasiz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the National Defense Donation Campaign. I specifically reexamined how the National Defense Donation Campaign was processed during the Sino-Japanese War and how it was expanded during the Pacific War.
In the second-year of the research, I reviewed how the National Defense Donation Campaign was practiced regionally and how the supplies, gathered from the National Defense Donation Campaign, were used. I concentrated especially on reviewing (1) how the National Defense Donation Campaign was promoted, (2)how the donation was handled in reality, (3) how much supply was donated nationally and regionally, and what kind of donation was there at the time.
In the third-year of the research, I tried to look for the ways the National Defense Donation Campaign influenced Chosun Society.
Specifically, (1) I looked over the metal-donation activities executed by gangsters such as Chos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