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안적 통일원칙과 통일한국의 자유민주주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947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광복 70년과 분단 70년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왜 남북한이 통일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가를 7·4 남북공동성명에서 제시된 통일원칙의 적합성과 가능성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고 있다. 첫째, 7·4공동성명의 통일원칙인 자주, 평화, 민족적 대단결은 한민족공동체 역사의 특징인 자주성, 통합성과 일치되는 최대 범주의 이상으로서 통일원칙이다. 둘째, 7·4공동성명의 통일원칙인 자주, 평화, 민족적 대단결은 남북관계와 한반도 상황과 관련하여 실현 가능성이 제한되는 현실로서의 통일원칙이다. 셋쩨, 비정상적 북한체제 상황 속에서는 북한의 변화와 통일의지의 강화를 가져올 수 있는 우리 주도의 능동적인 통일원칙의 모색을 필요로 하고 있다. 대체적으로 한반도 통일에 대한 인식과 전략에 있어서 이상적으로 적합한가에 치중하고 현실적으로 가능한가에 소홀하고 있는 정향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감안할 때 외세의존 배제, 무력사용 배제, 민족적 분열 배제를 최소 범주의 통일원칙을 대안적 통일원칙으로 설정하는 전략적 선택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광복 70년과 분단 70년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왜 남북한이 통일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가를 7·4 남북공동성명에서 제시된 통일원칙의 적합성과 가능성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

      이 연구는 광복 70년과 분단 70년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왜 남북한이 통일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가를 7·4 남북공동성명에서 제시된 통일원칙의 적합성과 가능성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고 있다. 첫째, 7·4공동성명의 통일원칙인 자주, 평화, 민족적 대단결은 한민족공동체 역사의 특징인 자주성, 통합성과 일치되는 최대 범주의 이상으로서 통일원칙이다. 둘째, 7·4공동성명의 통일원칙인 자주, 평화, 민족적 대단결은 남북관계와 한반도 상황과 관련하여 실현 가능성이 제한되는 현실로서의 통일원칙이다. 셋쩨, 비정상적 북한체제 상황 속에서는 북한의 변화와 통일의지의 강화를 가져올 수 있는 우리 주도의 능동적인 통일원칙의 모색을 필요로 하고 있다. 대체적으로 한반도 통일에 대한 인식과 전략에 있어서 이상적으로 적합한가에 치중하고 현실적으로 가능한가에 소홀하고 있는 정향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감안할 때 외세의존 배제, 무력사용 배제, 민족적 분열 배제를 최소 범주의 통일원칙을 대안적 통일원칙으로 설정하는 전략적 선택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tried to analyze whether those unification principles that were declared in the 4th of July joint statement can bring unification and liberal democracy on the Korean peninsula. It has a academy curiosity that why we could not attain Korean unification, even though 7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Korean division. So it could find out som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Independence, Peace, Unity’, the unification principles in the 4th of July joint statement is the ideal unification principles which is consistent with main characters of the history in a Korean national community. Second, ‘Independence, Peace, Unity’, the unification principles in the 4th of July joint statement is not the realistic unification principles which can bring the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Third, We need to search the more active unification principles which can bring changes of North Korea and increase the willingness for Korean Unification voluntarily. Lastly, this paper concluded that as a strategic choice, we have to find out alternative unification principles which can avoid the worst Korean unification.
      번역하기

      This paper tried to analyze whether those unification principles that were declared in the 4th of July joint statement can bring unification and liberal democracy on the Korean peninsula. It has a academy curiosity that why we could not attain Korean ...

      This paper tried to analyze whether those unification principles that were declared in the 4th of July joint statement can bring unification and liberal democracy on the Korean peninsula. It has a academy curiosity that why we could not attain Korean unification, even though 7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Korean division. So it could find out som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Independence, Peace, Unity’, the unification principles in the 4th of July joint statement is the ideal unification principles which is consistent with main characters of the history in a Korean national community. Second, ‘Independence, Peace, Unity’, the unification principles in the 4th of July joint statement is not the realistic unification principles which can bring the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Third, We need to search the more active unification principles which can bring changes of North Korea and increase the willingness for Korean Unification voluntarily. Lastly, this paper concluded that as a strategic choice, we have to find out alternative unification principles which can avoid the worst Korean unifi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승기, "후삼국의 분열과 왕건에 의한 통일" 일조각 5 : 1989

      2 김용해, "한반도의 분단체제와 그 극복"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3) : 57-84, 2012

      3 박순성, "한반도 통일과 민족, 국민국가, 시민사회" 북한연구학회 14 (14): 77-104, 2010

      4 조철호, "한민족의 역사와 한반도 통일" 2014

      5 박명규, "한국전쟁과 민족주의" (16) : 1987

      6 이제봉, "한국의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199-215, 2012

      7 강만길, "한국 민족주의와 통일" 경기대학교민족문제연구소 12 : 2005

      8 안청시, "통일에 대비하는 한국정치: 제도개혁의 모형과 방향" 14 (14): 1998

      9 조성환, "통일론의 비판적 지식사회론:민족 패러다임의 비판적 인식" 3 (3): 2003

      10 박형빈, "통일교육에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한국윤리교육학회 (31) : 213-235, 2013

      1 홍승기, "후삼국의 분열과 왕건에 의한 통일" 일조각 5 : 1989

      2 김용해, "한반도의 분단체제와 그 극복"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3) : 57-84, 2012

      3 박순성, "한반도 통일과 민족, 국민국가, 시민사회" 북한연구학회 14 (14): 77-104, 2010

      4 조철호, "한민족의 역사와 한반도 통일" 2014

      5 박명규, "한국전쟁과 민족주의" (16) : 1987

      6 이제봉, "한국의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199-215, 2012

      7 강만길, "한국 민족주의와 통일" 경기대학교민족문제연구소 12 : 2005

      8 안청시, "통일에 대비하는 한국정치: 제도개혁의 모형과 방향" 14 (14): 1998

      9 조성환, "통일론의 비판적 지식사회론:민족 패러다임의 비판적 인식" 3 (3): 2003

      10 박형빈, "통일교육에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한국윤리교육학회 (31) : 213-235, 2013

      11 김용찬, "초국가주의와 초국가적 공동체 - 재외동포와 터키인 공동체 비교"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40) : 6-20, 2009

      12 닐 라자러스, "초국가주의와 이른바 민족국가의 사멸" 실천문학사 57 : 2000

      13 조철호, "아시아의 평화와 한반도 통일" 2013

      14 조철호, "북중관계 변화와 한반도 통일" 한국평화연구학회 2011

      15 법제처, "대한민국헌법 시행 1988.2.25. 헌법 제10호, 1987.10.29., 전부개정"

      16 박정진, "냉전시대 한반도 갈등 관리의 첫 실험, 7.4 남북공동성명" 북한연구학회 16 (16): 293-320, 2012

      17 박명규, "남북관계와 비대칭적 분단국가체제론" (창간) : 2009

      18 최형익, "[기획:한반도 평화와 통일문제]한국 민족주의와 통일의 조건-하나의 민주주의적 관점-" 5.18연구소 6 (6): 51-74, 2006

      19 Adam Przeworsk, "Democracy and the Market: Political and Economic Reforms in Eastern Europe and Latin Ame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20 양호민, "7.4 남북공동성명 전문" (8) : 1972

      21 변태섭, "3국의 정립과 신라통일의 민족사적 의미" 5 : 1989

      22 통일교육원, "2014 통일문제 이해" 통일교육원 2014

      23 통계청, "2013년 다문화인구동태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Area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6 0.76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