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럽 지역통합의 장단점이 아시아에 주는 함의에 대한 일고 = Merits and Demerits of European Regional Integration and Its Implication in As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947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공동체를 제도화한 20세기 중반부터 현재까지 유럽 지역통합의 발전과정을 검토하며 그 장단점을 분석해 아시아에 주는 함의에 대한 일고를 제시하고자 한다. 지역통합은 기...

      본 연구는 지역공동체를 제도화한 20세기 중반부터 현재까지 유럽 지역통합의 발전과정을 검토하며 그 장단점을 분석해 아시아에 주는 함의에 대한 일고를 제시하고자 한다. 지역통합은 기본적으로 역내 회원국 간 차별을 제거하는 과정을 가리키나, 시대의 요구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하는 현재진행형이기 때문에 환경 변화에 따라 지역통합의 필요성도 변하는 속성을 내포한다. 우선 지역통합을 출범시키려면, 구성원 간 집단안보와 경제번영을 보장하기 위한 신뢰 구축이 요구된다. 이후 지역통합을 제도화하려면, 지역통합 결과를 공식화하는 과정 중 발생하는 각종 이권을 둘러싼 문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심지어 기존 구성원에게 일부 권한을 양도하도록 설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지역통합을 구축하고 유지하는 데 수반되는 이와 같은 불가피성이 아시아나 유럽에 보편적으로 발견된다는 사실을 선행연구가 경시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결국 유럽과 마찬가지로 아시아에서도 구성원들이 지역통합을 구축하고 유지하려는 결단을 내린다면,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긴박감을 지역통합을 운영하는 원동력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점을 본 연구는 강조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우선 1945년 이후 유럽 지역통합 결산물인 유럽연합의 발전과정을 정리한 후, 지역통합이 전개되는 양상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아시아에서 진행된 지역통합의 전개과정을 대조한다. 이어 유럽 지역통합의 장단점을 분석해 아시아에 주는 함의에 대한 일고를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work aims to draw an implication in Asia by evaluating the merits and demerits of regional integration in postwar Europe. Regional integration, by definition, refers to a process to rid of discrimination among member states in the region. This is...

      This work aims to draw an implication in Asia by evaluating the merits and demerits of regional integration in postwar Europe. Regional integration, by definition, refers to a process to rid of discrimination among member states in the region. This is an on-going process so that the need for regional integration varies with the change of the circumstance in the region. To put regional integration in motion, prospective member states first need to build mutual trust with regard to collective security that facilitates economic prosperity. To institutionalize the consequent outcome of regional integration, they have to resolve conflicts of interest in the process of deepening regional integration and persuade their current member states into yielding their stakes in interests to others, including the newcomers. In this paper, the authors purport to show that previous research dismiss this commonality between Europe and Asia in that no regional integration is definite. The authors will also argue that Asia and Europe share one driving force that enables member states to beget and nourish regional integration: a political aspiration and determination to overcome all odds. In the remainder of the paper, the authors will first evaluate the merits and demerits of regional integration in Europe since 1945, and conclude with an implication for regional integration in Asi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춘권, "전후 서유럽 지역협력의 발전과 변화 : 유럽통합의 경험이 동아시아 지역협력의 모색에 주는 정치적 함의"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4 (24): 93-123, 2003

      2 홍태영, "유럽의 정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3 이수형, "유럽연합의 안보정책과 동맹 딜레마" 일민국제관계연구원 16 (16): 75-102, 2011

      4 이진영, "아이덴티티 정치와 동북아 지역 협력" 극동문제연구소 17 (17): 199-224, 2001

      5 이옥연, "세계정치5: 세계정치와 동아시아의 안보구상" 인간사랑 2006

      6 유웅조, "세계정치 21: 동아시아의 보편성과 특수성" 사회평론아카데미 2014

      7 정하윤, "미국과 유럽연합의 관계 : 역사와 쟁점"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4

      8 박사명, "동아시아의 새로운 모색 : 전장에서 시장으로, 시장에서 광장으로" 이매진 2006

      9 유현석, "동아시아공동체 논의와 한국의 전략: 신아시아 외교의 재조정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2 (32): 157-187, 2011

      10 이옥연, "동아시아 지역질서와 정치통합의 추동력" 한국세계지역학회 26 (26): 169-198, 2008

      1 구춘권, "전후 서유럽 지역협력의 발전과 변화 : 유럽통합의 경험이 동아시아 지역협력의 모색에 주는 정치적 함의"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4 (24): 93-123, 2003

      2 홍태영, "유럽의 정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3 이수형, "유럽연합의 안보정책과 동맹 딜레마" 일민국제관계연구원 16 (16): 75-102, 2011

      4 이진영, "아이덴티티 정치와 동북아 지역 협력" 극동문제연구소 17 (17): 199-224, 2001

      5 이옥연, "세계정치5: 세계정치와 동아시아의 안보구상" 인간사랑 2006

      6 유웅조, "세계정치 21: 동아시아의 보편성과 특수성" 사회평론아카데미 2014

      7 정하윤, "미국과 유럽연합의 관계 : 역사와 쟁점"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4

      8 박사명, "동아시아의 새로운 모색 : 전장에서 시장으로, 시장에서 광장으로" 이매진 2006

      9 유현석, "동아시아공동체 논의와 한국의 전략: 신아시아 외교의 재조정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2 (32): 157-187, 2011

      10 이옥연, "동아시아 지역질서와 정치통합의 추동력" 한국세계지역학회 26 (26): 169-198, 2008

      11 이무성, "동북아통합과 유럽연합의 교훈: 다층적통치와 국가간도시네트워크 형성의 이론적 고찰" 한국유럽학회 28 (28): 1-21, 2010

      12 권만학, "동북아 지역통합과정에 관한 다차원적 분석" 경희대학교 출판국 2005

      13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by International Monetary Fund"

      14 Friedberg, Aaron, "Will Europe’s Past be Asia’s Future?" 42 (42): 2000

      15 Reed, Ananya M, "Regionalization in South Asia: Theory and Praxis" 70 (70): 1997

      16 "Regional trade agreements notified to the GATT/WTO and in force by type of agreement"

      17 Haacke, Jurgen, "Regional Integration in East Asia and Europe: Convergence or Divergence?" Routledge 2007

      18 Tang, Shiping, "Regional Integration in East Asia and Europe: Convergence or Divergence?" Routledge 2007

      19 Anwar, Dewi Fortuna, "Regional Integration in East Asia and Europe: Convergence or Divergence?" Routledge 2007

      20 Rozman, Gilbert, "Northeast Asia's Stunted Regionalism: Bilateral Distrust in the Shadow of Globaliz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1 Miles, Kahler, "Legalization as Strategy: The Asia-Pacific Case" 54 (54): 2000

      22 Acharya, Amitav, "How Ideas Spread: Whose Norms Matter? Norm Localization and Institutional Change in Asian Regionalism" 58 (58): 2004

      23 채형복, "EU 통합의 남북한 통일정책에 대한 시사점 -사법제도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원 (28) : 535-558, 2008

      24 "Declaration of 9th May 1950 delivered by Robert Schuman"

      25 "CONSOLIDATED VERSION OF THE TREATY ON THE FUNCTIONING OF THE EUROPEAN UNION PART ONE PRINCIPLES TITLE I CATEGORIES AND AREAS OF UNION COMPETENC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Area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6 0.76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