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인학습자들의 한국어 의문사의문문과 부정사의문문에 대한 한국어원어민 화자의 지각양상 = Korean native speakers’ perceptive aspects on Korean wh & yes-no questions produced by Chinese Korean lear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01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wh-questions and yes-no questions have morphologically the same structure. In speech, however, two types of questions are distinguished by prosodic difference. In this study, we examined if Korean native speakers can distinguish wh-question and yes-no questions produced by Chinese Korean leaners based on the prosodic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sentences. For this purpose, we performed perception analysis, and 15 Korean native speakers participated in the perception test. The results show that two types of interrogative sentences produced by Chinese Korean leaners were not distinguished by constant pitch contours. These results reveal that Chinese Korean leaners cannot match prosodic meaning and prosodic form. The most saliant prosodic feature used perceptually by native speakers to discriminate two types of interrogative sentences is pitch difference between the F0 pick of wh-word and boundary tone.
      번역하기

      Korean wh-questions and yes-no questions have morphologically the same structure. In speech, however, two types of questions are distinguished by prosodic difference. In this study, we examined if Korean native speakers can distinguish wh-question and...

      Korean wh-questions and yes-no questions have morphologically the same structure. In speech, however, two types of questions are distinguished by prosodic difference. In this study, we examined if Korean native speakers can distinguish wh-question and yes-no questions produced by Chinese Korean leaners based on the prosodic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sentences. For this purpose, we performed perception analysis, and 15 Korean native speakers participated in the perception test. The results show that two types of interrogative sentences produced by Chinese Korean leaners were not distinguished by constant pitch contours. These results reveal that Chinese Korean leaners cannot match prosodic meaning and prosodic form. The most saliant prosodic feature used perceptually by native speakers to discriminate two types of interrogative sentences is pitch difference between the F0 pick of wh-word and boundary ton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결과 및 논의
      • 4. 결론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결과 및 논의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광준, "한국어 의문사의문문과 예-아니오 의문문의의미 구별에 관여하는 음향 자질" 4 (4): 35-46, 1998

      2 이숙향, "한국어 문미억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4

      3 김미란, "초점과 관련된 의문문억양 패턴 실험" 7 (7): 203-217, 2000

      4 성시형, "의문의 초점 연구" 7 : 163-181, 1988

      5 오미라, "운율과 정보구조:한국어 초점과 주제의 음성적 실현" 한국음성과학회 15 (15): 7-19, 2008

      6 서정목, "국어의문문 연구" 탑 출판사 1987

      7 윤세웅, "Wh-의문사의문문과 초점" 13 : 247-263, 1991

      8 윤영숙, "KFL중국인학습자들의 한국어 의문사의문문과 부정사의문문의 피치실현과 지각양상" 한국음성학회 5 (5): 121-128, 2013

      9 Jun, S. A., "Intonation of Seoul korean: revised model"

      10 Cruttenden, A., "Inton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1 민광준, "한국어 의문사의문문과 예-아니오 의문문의의미 구별에 관여하는 음향 자질" 4 (4): 35-46, 1998

      2 이숙향, "한국어 문미억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4

      3 김미란, "초점과 관련된 의문문억양 패턴 실험" 7 (7): 203-217, 2000

      4 성시형, "의문의 초점 연구" 7 : 163-181, 1988

      5 오미라, "운율과 정보구조:한국어 초점과 주제의 음성적 실현" 한국음성과학회 15 (15): 7-19, 2008

      6 서정목, "국어의문문 연구" 탑 출판사 1987

      7 윤세웅, "Wh-의문사의문문과 초점" 13 : 247-263, 1991

      8 윤영숙, "KFL중국인학습자들의 한국어 의문사의문문과 부정사의문문의 피치실현과 지각양상" 한국음성학회 5 (5): 121-128, 2013

      9 Jun, S. A., "Intonation of Seoul korean: revised model"

      10 Cruttenden, A., "Inton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11 Ueyama M., "Focus realization in Japanese English and Korean English Intonation" 7 : 629-645, 1998

      12 Chung, S. J., "Focus Expression in Seoul Korean" 93-105, 1997

      13 Chomsky, N., "Deep structure, surface structure and semantic interpret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3-216, 1971

      14 Jun, S. A., "A prosodic analyses of Three types of wh-phrases in Korean" 39 (39): 37-61,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8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