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민광준, "한국어 의문사의문문과 예-아니오 의문문의의미 구별에 관여하는 음향 자질" 4 (4): 35-46, 1998
2 이숙향, "한국어 문미억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4
3 김미란, "초점과 관련된 의문문억양 패턴 실험" 7 (7): 203-217, 2000
4 성시형, "의문의 초점 연구" 7 : 163-181, 1988
5 오미라, "운율과 정보구조:한국어 초점과 주제의 음성적 실현" 한국음성과학회 15 (15): 7-19, 2008
6 서정목, "국어의문문 연구" 탑 출판사 1987
7 윤세웅, "Wh-의문사의문문과 초점" 13 : 247-263, 1991
8 윤영숙, "KFL중국인학습자들의 한국어 의문사의문문과 부정사의문문의 피치실현과 지각양상" 한국음성학회 5 (5): 121-128, 2013
9 Jun, S. A., "Intonation of Seoul korean: revised model"
10 Cruttenden, A., "Inton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1 민광준, "한국어 의문사의문문과 예-아니오 의문문의의미 구별에 관여하는 음향 자질" 4 (4): 35-46, 1998
2 이숙향, "한국어 문미억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4
3 김미란, "초점과 관련된 의문문억양 패턴 실험" 7 (7): 203-217, 2000
4 성시형, "의문의 초점 연구" 7 : 163-181, 1988
5 오미라, "운율과 정보구조:한국어 초점과 주제의 음성적 실현" 한국음성과학회 15 (15): 7-19, 2008
6 서정목, "국어의문문 연구" 탑 출판사 1987
7 윤세웅, "Wh-의문사의문문과 초점" 13 : 247-263, 1991
8 윤영숙, "KFL중국인학습자들의 한국어 의문사의문문과 부정사의문문의 피치실현과 지각양상" 한국음성학회 5 (5): 121-128, 2013
9 Jun, S. A., "Intonation of Seoul korean: revised model"
10 Cruttenden, A., "Inton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11 Ueyama M., "Focus realization in Japanese English and Korean English Intonation" 7 : 629-645, 1998
12 Chung, S. J., "Focus Expression in Seoul Korean" 93-105, 1997
13 Chomsky, N., "Deep structure, surface structure and semantic interpret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3-216, 1971
14 Jun, S. A., "A prosodic analyses of Three types of wh-phrases in Korean" 39 (39): 37-61,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