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잉카 쇼니바레 작품의 혼종성에 관한 다학제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144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연구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잉카 쇼니바레는 아프리칸 디아스포라 작가로서 다문화를 대표하는 작가이다. 그의 작품 내용은 호미 바바의 탈 식민 이론인 식민주체의 ‘식민적 무의식(colonial unconscious)’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면서 스펙터클한 포스트 모던미술의 시각언어로 표상된다. 따라서 그의 작품은 제국의 식민지에 대한 억압을 토로하기 보다는 억압의 과정에서 분열된 자신의 정체성을 서사함으로써 혼종이 일상화된 우리 시대에 자신이 누구이며, 어떠한 경로로 여기에 있는가하는 자신의 주체적 혼종성을 표현한다. 바바에 의하면 ‘식민적 무의식’은 제국의 식민지에 대한 정형화(stereotype)로 인하여 생성된 환상공간으로서 이곳에서 식민 지배자와 피지배자는 서로 환상과 욕망의 대상이 되는데 쇼니바레의 작품 역시 이 공간에서 분열된 주체의 혼종성을 표상한다. 이와 같은 쇼니바레의 작품은 서구인에 의해 전유되어 온 서구미술사에 ‘개입하기’를 통하여 다문화적 혼종성을 배가하는데 쇼니바레에 관한 선행연구는 영세한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쇼니바레의 작품 연구에 다학제적 담론으로서 혼종성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방법 및 내용, 그 결과를 서술한다. 이론적 배경으로서 바바의 혼종성과 정형화 및 개입하기에 관하여 살핀 후 이상의 담론들이 표상된 쇼니바레의 작품 <어느 빅토리아 댄디의 일기>, <오딜과 오데뜨>, <도리언 그레이>를 통하여 그의 혼종성을 자세히 고찰한다. 이상과 같은 본고의 연구는 향후 다문화의 가속화로 인하여 정체성의 분열과 상실이 일상화된 우리시대의 혼종화 된 인간 주체와 작가주체 그리고 작품에 대한 인식과 성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고의 연구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잉카 쇼니바레는 아프리칸 디아스포라 작가로서 다문화를 대표하는 작가이다. 그의 작품 내용은 호미 바바의 탈 식민 이론인 식민주체의 ‘식민적 ...

      본고의 연구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잉카 쇼니바레는 아프리칸 디아스포라 작가로서 다문화를 대표하는 작가이다. 그의 작품 내용은 호미 바바의 탈 식민 이론인 식민주체의 ‘식민적 무의식(colonial unconscious)’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면서 스펙터클한 포스트 모던미술의 시각언어로 표상된다. 따라서 그의 작품은 제국의 식민지에 대한 억압을 토로하기 보다는 억압의 과정에서 분열된 자신의 정체성을 서사함으로써 혼종이 일상화된 우리 시대에 자신이 누구이며, 어떠한 경로로 여기에 있는가하는 자신의 주체적 혼종성을 표현한다. 바바에 의하면 ‘식민적 무의식’은 제국의 식민지에 대한 정형화(stereotype)로 인하여 생성된 환상공간으로서 이곳에서 식민 지배자와 피지배자는 서로 환상과 욕망의 대상이 되는데 쇼니바레의 작품 역시 이 공간에서 분열된 주체의 혼종성을 표상한다. 이와 같은 쇼니바레의 작품은 서구인에 의해 전유되어 온 서구미술사에 ‘개입하기’를 통하여 다문화적 혼종성을 배가하는데 쇼니바레에 관한 선행연구는 영세한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쇼니바레의 작품 연구에 다학제적 담론으로서 혼종성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방법 및 내용, 그 결과를 서술한다. 이론적 배경으로서 바바의 혼종성과 정형화 및 개입하기에 관하여 살핀 후 이상의 담론들이 표상된 쇼니바레의 작품 <어느 빅토리아 댄디의 일기>, <오딜과 오데뜨>, <도리언 그레이>를 통하여 그의 혼종성을 자세히 고찰한다. 이상과 같은 본고의 연구는 향후 다문화의 가속화로 인하여 정체성의 분열과 상실이 일상화된 우리시대의 혼종화 된 인간 주체와 작가주체 그리고 작품에 대한 인식과 성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s background and purpose of study are as in the fllowing. Yinka Shonibare is a writer of African diaspora and a writer who represents multiple culture. His work content is expressed as a spectacle post modern art’s visual language with a theoretical background of colonial unconscious of subjectivity of a colony as a post colonial theory of Homi Bhabha. Thus, his work expresses his independent hybridity of who himself is and which route took him here in our routinized era, by describing his separated identity in a process of suppression rather than complaining about depression about empire’s colony. According to Bhabha, colonial unconscious as a fantasy space formed by a stereotype about empire’s colony, colony ruler and subordinate become subjectivitys of fantasy and desire in this place. Shonibare’s work also autobiographically expresses his hybridity separated in the space. This kind of Shonibare’s work multiplies multiple cultures hybridity through interjection to western art history appropriated by westerners. But there are not much of deep talks about Shonibare’s work. This paper is to specifically multidiscilinary study his hybridity through Shonibare’s work, <One Victoria Dandy’s diary>, <Odil and Odett>, <Dorian Grey>, which expressed ideal discussions after looking into Bhabha’s hybridity, stereotype and interjection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o view interdisciplinary discussions included in Shorebare’s hybridity. For the futu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help for hybrid of human subjectivity and writer subjectivity of our routinized era of separation and loss by acceleration of multiple cultures, and perception and introspection about work.
      번역하기

      This paper"s background and purpose of study are as in the fllowing. Yinka Shonibare is a writer of African diaspora and a writer who represents multiple culture. His work content is expressed as a spectacle post modern art’s visual language with a ...

      This paper"s background and purpose of study are as in the fllowing. Yinka Shonibare is a writer of African diaspora and a writer who represents multiple culture. His work content is expressed as a spectacle post modern art’s visual language with a theoretical background of colonial unconscious of subjectivity of a colony as a post colonial theory of Homi Bhabha. Thus, his work expresses his independent hybridity of who himself is and which route took him here in our routinized era, by describing his separated identity in a process of suppression rather than complaining about depression about empire’s colony. According to Bhabha, colonial unconscious as a fantasy space formed by a stereotype about empire’s colony, colony ruler and subordinate become subjectivitys of fantasy and desire in this place. Shonibare’s work also autobiographically expresses his hybridity separated in the space. This kind of Shonibare’s work multiplies multiple cultures hybridity through interjection to western art history appropriated by westerners. But there are not much of deep talks about Shonibare’s work. This paper is to specifically multidiscilinary study his hybridity through Shonibare’s work, <One Victoria Dandy’s diary>, <Odil and Odett>, <Dorian Grey>, which expressed ideal discussions after looking into Bhabha’s hybridity, stereotype and interjection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o view interdisciplinary discussions included in Shorebare’s hybridity. For the futu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help for hybrid of human subjectivity and writer subjectivity of our routinized era of separation and loss by acceleration of multiple cultures, and perception and introspection about wor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작품분석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작품분석
      • Ⅳ. 결론
      •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상복, "황색 피부, 백색 가면: 한국의 내면화된 인종주의의 역사적 고찰과 다문화주의" 인문과학연구소 (33) : 525-556, 2012

      2 김지영, "이미지와 주체" 인문학연구소 72 : 109-138, 2012

      3 주하영, "아프리칸 디아스포라와 현대미술: 잉카 쇼니바레(Yinka Shonibare)와 크리스 오필리(Chris Ofili)를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2 (12): 527-540, 2011

      4 정윤길, "브라이언 프리엘의 식민주체구성과 혼종성: Translations를 중심으로"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3 (23): 109-138, 2010

      5 김인숙, "분열된 주체의 혼종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2 : 101-110, 2015

      6 강응섭, "거울도식과 나르시스적 사랑"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12 (12): 7-26, 2010

      7 Robert Young, "Hybridity of Hommi Bhabha" (6) : 2005

      8 Edward, Side, "Culture and Imperialism" Chang 2002

      9 Hal Poster, "Art since 1900" Semicolon 2007

      10 Yoo, Jung Hwa, "A study of Oscar Wild comedy" Kyung Hee university 2010

      1 하상복, "황색 피부, 백색 가면: 한국의 내면화된 인종주의의 역사적 고찰과 다문화주의" 인문과학연구소 (33) : 525-556, 2012

      2 김지영, "이미지와 주체" 인문학연구소 72 : 109-138, 2012

      3 주하영, "아프리칸 디아스포라와 현대미술: 잉카 쇼니바레(Yinka Shonibare)와 크리스 오필리(Chris Ofili)를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2 (12): 527-540, 2011

      4 정윤길, "브라이언 프리엘의 식민주체구성과 혼종성: Translations를 중심으로"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3 (23): 109-138, 2010

      5 김인숙, "분열된 주체의 혼종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2 : 101-110, 2015

      6 강응섭, "거울도식과 나르시스적 사랑"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12 (12): 7-26, 2010

      7 Robert Young, "Hybridity of Hommi Bhabha" (6) : 2005

      8 Edward, Side, "Culture and Imperialism" Chang 2002

      9 Hal Poster, "Art since 1900" Semicolon 2007

      10 Yoo, Jung Hwa, "A study of Oscar Wild comedy" Kyung Hee university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KCI등재
      2019-01-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70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