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업시설의 BIM 융합적 활용 라이브러리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144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최근 건설IT 융합 분야의 화두인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 전 세계 건설업계에 대두되면서, 국내에서도 그 실용성과 활용성에 대해 논의가 제기되...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최근 건설IT 융합 분야의 화두인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 전 세계 건설업계에 대두되면서, 국내에서도 그 실용성과 활용성에 대해 논의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상업시설의 융합적 관점에서의 BIM 라이브러리에 대한 연구는 시급한 실정이다.
      BIM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표가 건축 전 과정 동안 정보의 재활용과 관리를 통한 프로젝트의 가치 향상이기 때문에, 기획․설계․시공․유지관리 등 프로젝트의 모든 단계에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한다.
      실내건축분야에 있어서는 관련 BIM 기술개발 및 활용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며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 및 내용, 범위는 다음과 같다. 즉, 선행 프로젝트로 진행 된 상업공간의 BIM 적용성 검토를 토대로 상업시설 실내공간계획 시 BIM 적용 프로세스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업공간(대형마트)의 실내공간계획을 위한 BIM의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내용,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BIM기반의 라이브러리DB의 구축을 통한 공간계획을 상업시설의 BIM 라이브러리 연구를 통해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객체 정보화, 객체 설계, 객체 데이터의 라이브러리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향후 상업시설의 실내공간계획의 BIM 라이브러리는 IT기술과의 결합으로 인한 융합적 통합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ank to the rapid advance of a digital technology and an information technology, there has been active research into process simulation-based project management job interlinking process management with 3D des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ank to the rapid advance of a digital technology and an information technology, there has been active research into process simulation-based project management job interlinking process management with 3D design also in construction management.
      Recently, As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growing in size and complexity, the utilization of BIM is increased to improve effective management and integration of information.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has been focused on architecture,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field. However, There is a lack of BIM research on Interior Architecture fields. So It needs more research in this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through a previous study that review on BIM applicability of commercial building interior design, this study propose a process of MD Plan and utilization planning for commercial building Interior design based on BIM. As a result of this, BIM library, 3D simulation, automation for quantity estima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can improve efficiency of business and help decision making for MD plan.
      However, existing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s merely play the role of saving and sharing information through a field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is supposed to be utilized as a construction management alternative for d decision-making support while proposing another possibility to those engaged in related industries and academic circles.
      Also a temporary plan to apply the BIM simulations are not going well. The reason for the building of a library well enough and the DB is not made. Therefore, a temporary plan of the library database is the correct formulation nee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BIM 라이브러리 선행연구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BIM 라이브러리 선행연구
      • Ⅳ. 상업시설 실내공간계획의 BIM 라이브러리 연구
      • Ⅴ. 결론 및 제언
      •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연, "효과적인 디지털 설계 프로세스를 위한 BIM 적용 사례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9 (9): 325-334, 2009

      2 최돈출,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BIM 4D 시뮬레이션 시각화 서비스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11 : 157-163, 2012

      3 박서경, "실내건축과 건물정보모델링 의 기술 (BIM) 연계 및 활용 방안에 관한 고찰 - 공간객체와 관련 속성정보 활용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지식학회 (34) : 35-44, 2015

      4 김세은, "대형마트의 상품구성에 따른 동선체계의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7 (17): 137-142, 2008

      5 Kang, Min Ju, "Study on Application of BIM in the Interior Design Studio Education" Korea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013

      6 Zaki Mallasi, "Dynamic quant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workspace congestion utilizing 4D visualization"

      7 이진희, "BIM기반 통합설계프로세스의 국내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6 (16): 19-27, 2007

      8 최돈출, "BIM기반 공간 활용 계획에 관한 라이브러리 연구 (e-mart 라이브러리 개발 사례 중심으로)"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13 : 397-403, 2013

      9 Chuck Eastman, "BIM handbook" spacetme 2009

      10 Bill McNamara, "BIM and the Adaptive Design Process" 2007

      1 김주연, "효과적인 디지털 설계 프로세스를 위한 BIM 적용 사례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9 (9): 325-334, 2009

      2 최돈출,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BIM 4D 시뮬레이션 시각화 서비스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11 : 157-163, 2012

      3 박서경, "실내건축과 건물정보모델링 의 기술 (BIM) 연계 및 활용 방안에 관한 고찰 - 공간객체와 관련 속성정보 활용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지식학회 (34) : 35-44, 2015

      4 김세은, "대형마트의 상품구성에 따른 동선체계의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7 (17): 137-142, 2008

      5 Kang, Min Ju, "Study on Application of BIM in the Interior Design Studio Education" Korea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013

      6 Zaki Mallasi, "Dynamic quant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workspace congestion utilizing 4D visualization"

      7 이진희, "BIM기반 통합설계프로세스의 국내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6 (16): 19-27, 2007

      8 최돈출, "BIM기반 공간 활용 계획에 관한 라이브러리 연구 (e-mart 라이브러리 개발 사례 중심으로)"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13 : 397-403, 2013

      9 Chuck Eastman, "BIM handbook" spacetme 2009

      10 Bill McNamara, "BIM and the Adaptive Design Process"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KCI등재
      2019-01-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70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