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인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慈愛, 심리적 안녕감 및 심리 증상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 of adult women, mindfulness, self- compa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sympto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160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tress of adult women, mindfulness, self-compa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symptoms. 405 adult women completed a packet of questionnaires measuring the stressful life event, r...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tress of adult women, mindfulness, self-compa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symptoms. 405 adult women completed a packet of questionnaires measuring the stressful life event, role stress, mindfulness, self-compa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symptom. Stress, mindfulness,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well-being were defined theoretical latent variables. Hypothetical model for the paths and role among constructs of interest was presented drawing on previous theoretical background and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mediate between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Regarding psychological well-being, mediation model of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indicated reasonable model fit, but the path of self-compassion to psychological well-being is not significant. Meanwhile mediation model of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between stress and psychological symptom indicates reasonable fit, and all the paths turn out to be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elf-compassion and mindfulness mediated the link between stress and psychological symptom.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성인기 여성의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자애로 규정하고, 이들 간의 유기적이고 인과적인 관계성을 검증하였...

      본 연구에서는 성인기 여성의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자애로 규정하고, 이들 간의 유기적이고 인과적인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이론적 잠재 변수들을 대표하는 측정치로, 스트레스 생활 사건 질문지, 역할 스트레스 질문지, 마음챙김 주의 및 자각 척도, 자기-자애 척도, 심리적 안녕감에는 심리적 안녕감 척도와, 우울, 불안, 적대감, 신체화 등의 심리 증상 측정치가 각기 선정되었다. 선행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심리적 요인들의 간의 가능한 경로와 역할에 대한 가설적인 모형이 제시되었고,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405명을 대상으로 이론적 모형들의 타당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에 마음챙김과 자기-자애의 매개 모델의 적합도는 양호하게 나타났으나 자기-자애에서 심리적 안녕감에 이르는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스트레스와 심리 증상 간에 마음챙김과 자기-자애의 매개 모델의 적합도는 양호하게 나타났고 모든 경로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스트레스와 심리 증상 간에 마음챙김과 자기-자애의 매개 모형을 가정한 연구 모형과 가능한 모든 경로를 상정한 대안 모형을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와 심리 증상의 직접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마음챙김과 자기-자애를 통한 간접 경로도 유의미하게 나타나서 대안 모형의 적합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미와 제한점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의,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도 연구. 2008년 한국 임상심리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 전종희, "한국판 마음챙김 주의 자각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예비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6 (26): 201-212, 2007

      3 김명자, "중년기 가족 스트레스와 가족 대처 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1

      4 최윤정, "중년 여성의 화병 경험 과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4

      5 김명소,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15 : 19-39, 2001

      6 김정희, "스트레스 평가와 대처의 정서적 경험에 대한 관계" 7 (7): 44-69, 1995

      7 박성현, "마음챙김 척도의 개발" 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2006

      8 김광일, "간이정신진단 검사(SCL-90-R)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 I:정상인의 반응 특성" 17 : 449-458, 1978

      9 Cannon,W.B., "The wisdom of the body" Norton 1932

      10 Ryff, C, D.,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73 : 549-559, 1995

      1 김경의,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도 연구. 2008년 한국 임상심리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 전종희, "한국판 마음챙김 주의 자각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예비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6 (26): 201-212, 2007

      3 김명자, "중년기 가족 스트레스와 가족 대처 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1

      4 최윤정, "중년 여성의 화병 경험 과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4

      5 김명소,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15 : 19-39, 2001

      6 김정희, "스트레스 평가와 대처의 정서적 경험에 대한 관계" 7 (7): 44-69, 1995

      7 박성현, "마음챙김 척도의 개발" 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2006

      8 김광일, "간이정신진단 검사(SCL-90-R)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 I:정상인의 반응 특성" 17 : 449-458, 1978

      9 Cannon,W.B., "The wisdom of the body" Norton 1932

      10 Ryff, C, D.,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73 : 549-559, 1995

      11 Selye,H., "The stress of life" McGraw-Hill 1956

      12 DeLongis, A., "The relationship of daily hassles, uplifts, and major life events to health status" 1 (1): 119-136, 1982

      13 Nyanaponika Thera., "The power of mindfulness" Unity Press. 1972

      14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 1173-1182, 1986

      15 Birren, J. E., "The elements of wisdom: Overview and integration in ; Wisdom: Its nature, origin, and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7-332, 1990

      16 Neff,K.D.,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2 : 223-250, 2003

      17 Brown, K. W., "The benefits of being present: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84 : 822-848, 2003

      18 Lau, M. A., "The Toronto Mindfulnes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62 (62): 1445-1467, 2006

      19 Derogatis, L. R., "The SCL-90 and the MMPI: A step in the validation of a new self-report scale" 128 : 280-289, 1976

      20 Aldwin,C., "Stress, coping and development: An integrative approach" Guilford Press 1994

      21 Lazarus, R.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1984

      22 Neff,K.D., "Self-compassion: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젨 attitude toward oneself" 2 : 85-102, 2003

      23 Neff, K. D., "Self-compassion, achievement goals, and coping with academic failure" 4 : 263-287, 2005

      24 Leary, M. R., "Self-compassion and reactions to unpleasant self-relevant events: the implications of treating oneself kindly" 92 (92): 887-904, 2007

      25 Neff, K. D., "Self-compassion and its link to adap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41 : 139-154, 2007

      26 Brach,T., "Radical acceptance: embracing your life with the heart of a buddha" Bantam 2003

      27 Teasdale, J. D., "Prevention of relapse/recurrence in major depression by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68 : 615-623, 2000

      28 Tedeschi, R.,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15 (15): 1-18, 2004

      29 Bishop, S. R., "Mindfulness: A Proposed Operational Definition" 113 (113): 230-241, 2004

      30 Martin,R.J., "Mindfulness: A Proposed Common Factor" 7 (7): 291-312, 1997

      31 Baer,R.A., "Mindfulness Training as a Clinical Interventi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Review" 10 (10): 125-143, 2003

      32 Ryff,C.D.,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7 : 1069-1081, 1989

      33 Lachman,M.E., "Handbook of midlife development. Wiley & Sons, Inc"

      34 Kabat-Zinn, J., "Full catastrophe living" Bantam Doubleday Dell 1998

      35 Huppert, F., "Evidence for the independ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well-being: implications for quality of life assessment" 8 : 107-122, 2003

      36 Goldstein, A. P., "Empathy: development, training, and consequences" Erlbaum 1985

      37 Jordan,J.V., "Empathy, mutuality and therapeutic change: Clinical implications of a relational model in : Women's growth in connection : Writings from the Stone Center" Guilford 283-290, 1991

      38 Hayes, S. C., "Emotional Avoidance and Behavioral Disorders: A Functional Dimensional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64 (64): 1152-1168, 1996

      39 Monroe, S. M., "Diathesis-stress theories in the context of life stress research: implications for depressive disorders" 110 : 406-425, 1991

      40 Stanton, A. L., "Coping through emotional approach: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78 (78): 1150-1169, 2000

      41 Lachman, M. E., "Charting the course of midlife development: An overview"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7, 1997

      42 Martire, L. M., "Centrality of women's multiple roles: beneficial and detrimental consequence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15 : 148-156, 2000

      43 이영호, "BDI, SDS, MMPI-D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연구" 10 : 98-113, 1991

      44 Sobel,M.E., "Asymptotic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 in structural equations models in : Sociological methodology" Jossey-Bass. 290-312, 1982

      45 Beck, A. T.,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4 : 561-571, 1961

      46 MacKinnon, D. P., "A stimulation study of mediated effect measures" 30 (30): 41-62, 1995

      47 Nolen-Hoeksema, S., "A prospective study of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fter a natural disaster: The 1989 Loma Prieta earthquake" 61 : 115-121,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45 2.085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