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염상섭 문학과 공간의 문화정치 -『사랑과 죄』와 1920년대 경성 = Yeom Sang-seop Literature and Cultural Politics of Space -Love and Crime and Gyeongseong in the 192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9567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염상섭의 장편소설 『사랑과 죄』를 공간의 문화정치라는 측면에서 접근해 `1920년대 식민지 경성의 풍경`을 의미화하는 데 있다. 『사랑과 죄』는 <동아일보>에 1927년 ...

      이 연구의 목적은 염상섭의 장편소설 『사랑과 죄』를 공간의 문화정치라는 측면에서 접근해 `1920년대 식민지 경성의 풍경`을 의미화하는 데 있다. 『사랑과 죄』는 <동아일보>에 1927년 8월 1일부터 1928년 5월 4일까지 총 257회에 걸쳐 연재된 식민지 시기 주목할 만한 장편소설이다. 염상섭은 이 소설을 1926년 1월 19일에 일본으로 건너가 2년 동안 동경에 체류하며 창작했다. 소설의 배경은 `식민지 경성`이고, 창작을 한 곳은 `제국의 도시 동경`이라는 사실이 흥미롭다. 그간의 『사랑과 죄』에 관한 연구가`사랑`과 `이념`을 구분해 분석하는 데 치중했다면, 이 연구는 식민지 시대 공간의 상징성을 재구성하려 한다는 측면에서 변별적이다. 논자는 1920년대 중반의 식민지 도시 경성을 주목함으로써, 『사랑과 죄』가 `과잉 노출하고 있는 것`과 `은폐하려고 한 것`의 관계를 살폈다. 일본제국주의는 공간의 재편을 통해 권력을 실재화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청년들은 제국의 시선 바깥에서 제국의 균열을 기획했다. 그 문화정치적 실천의 한 양상을 『사랑과 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사랑과 죄』는 1920년대 작품으로서는 두드러질 정도로 공간에 대한 접근이 돋보인다. 이 작품은 경성을 감싸면서 작동하는 식민 권력의 힘을 유효하게 감각하고 있다. 남촌의 중심 공간인 진고개 주변은 여성인물들에게는 소비의 거리이고, 남성인물들에게는 유흥의 장소였다. 그곳은 식민지 일상을 압도하는 스펙터클의 공간이었다. 소설에서 형상화된 점이지대로서 세브란스병원과 심초매부의 집도 흥미로운 공간이다. 이곳은 제국의 중심에 위치해 있으면서 제국의 시선 바깥이기도 하다. 이 두 장소는 식민지 권력에 길항하는 점이지대였다. 『사랑과 죄』는 반(反)식민주의 근대성을 향해 있다. 이 소설은 `일본`과 `중국`이 의미하는 공간의 상징성을 적절하게 보여주는 결론을 취한다. 해춘이와 순영이 일본이 아닌 중국 상해를 선택한 것은 반식민지적 근대성이 `일본과 조선` 바깥에서만 가능했던 1920년대 조선의 풍경을 적절하게 포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Scenery of Colony Gyeongseong in the 1920s` by approaching Yeom Sang-seop`s full-length novel Love and Crime from the viewpoint of the cultural politics of space. Love and Crime is a noteworthy full-length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Scenery of Colony Gyeongseong in the 1920s` by approaching Yeom Sang-seop`s full-length novel Love and Crime from the viewpoint of the cultural politics of space. Love and Crime is a noteworthy full-length novel in the colonial period published serially in the Dong-A Ilbo in a total of 257-part series from August 1, 1927 to May 4, 1928. This novel was the one that Yeom Sang-seop wrote while he stayed in Tokyo for 2 years since he went to Japan on January 19, 1926. What is interesting is the fact that the setting for the novel was `Colony Gyeongseong,` and the place where the novel was written was `Imperial City Tokyo.` It has been common that preceding studies have approached `love` and `ideology` separately, but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in terms of the aspect of reconstructing the symbolism of colonial period space through the symbolism of space. This writer focused on the colonial city Gyeongseong in the mid-1920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what Love and Crime overexposes` and `what it tries to conceal.` Japanese imperialism pursued the internalization of power through the cultural politics of space.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youth of colonized Joseon in the 1920s planned crack in the empire in the outside of the eyes of the empire. The one aspect of the cultural practice can be confirmed through Love and Crime. Love and Crime stands out in approach to space so much prominently for the work in the 1920s. This work effectively senses the power of colonial authority operating while covering Gyeongseong. The surroundings of Jingogae, the central space of Namchon is the street of consumption for women characters and the merrymaking place for men characters. It was the space of spectacles that overwhelmed the daily life of the colony. Severance Hospital and the house of Simcho brother-in-law as the transitional zone embodied in the novel are also interesting space. These places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empire and at the same time in the outside of the eyes of the empire. These two places were the transitional zones of discourses standing against the colonial authority. Love and Crime faces the modernity of anti-colonialism. This novel takes the conclusion which appropriately shows the symbolism of spaces, `Japan` and `China.` It can be said that it grasped the scenery of Joseon in the 1920s appropriately in which anti-colonial modernism was possible only in the outside of `Japan and Joseon` that Haechun and Sunyeong chose Shanghai in China rather than Japa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炳九, "廉想涉의 사랑과 죄 論"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1 (31): 287-304, 2003

      2 염상섭, "해바라기" 박문서관 1924

      3 기 자, "출판문화의 전당 - 박문서관의 업적" 4 (4): 1938

      4 김백영, "지배와 공간-식민지도시 경성과 제국 일본" 문학과지성사 2000

      5 "조선일보"

      6 장두식, "잡지 博文의 <出版토픽>연구, In 근대제도와 일상생활" 채륜 2012

      7 박도, "일제 강점기" 눈빛 2011

      8 야마베 겐타로, "일본의 식민지 조선통치 해부" 어문학사 2011

      9 쥬시경, "월남망국사" 박문서관 1907

      10 이주열, "염상섭의 사랑과 죄 주제의식과 갈등 양상"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2 : 2002

      1 金炳九, "廉想涉의 사랑과 죄 論"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1 (31): 287-304, 2003

      2 염상섭, "해바라기" 박문서관 1924

      3 기 자, "출판문화의 전당 - 박문서관의 업적" 4 (4): 1938

      4 김백영, "지배와 공간-식민지도시 경성과 제국 일본" 문학과지성사 2000

      5 "조선일보"

      6 장두식, "잡지 博文의 <出版토픽>연구, In 근대제도와 일상생활" 채륜 2012

      7 박도, "일제 강점기" 눈빛 2011

      8 야마베 겐타로, "일본의 식민지 조선통치 해부" 어문학사 2011

      9 쥬시경, "월남망국사" 박문서관 1907

      10 이주열, "염상섭의 사랑과 죄 주제의식과 갈등 양상"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2 : 2002

      11 김정진, "염상섭 초기장편 <사랑과 죄>"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회 6 : 1994

      12 김윤식, "염상섭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13 김승민, "염상섭 소설에 나타난 ‘소문’의 의미와 서사화 방식에 대한 고찰 - <사랑과 죄>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33) : 177-205, 2011

      14 정호웅, "식민지현실의 소설화와 역사의식, In 염상섭"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8

      15 김경수, "식민지 삶의 조건과 윤리적 선택, In 염상섭 장편소설연구" 일조각 1999

      16 김수진, "식민 권력의 자기 기념과 시각적 선전 - 조선신궁기념사진집 『은뢰(恩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89) : 117-164, 2011

      17 시티븐 컨,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4

      18 리어우판, 장동천, "상하이 모던" 고려대학교출판부 2007

      19 허병식, "사랑의 정치학과 죄의 윤리학-염상섭의 사랑과 죄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소 (31) : 225-258, 2006

      20 오혜진, "비속한 취미 ‘추리’에 빠지다" 소명출판 2013

      21 정선태, "번역이 몰고 온 공포와 전율 - [월남망국사]의 번역과 ‘말년/망국’의 상상, In 한국 근대문학의 수렴과 발산" 소명출판 2008

      22 이용민, "미국 북장로회 서울 선교지부와 평양 선교지부의 관계" 한국기독교역사학회 (32) : 195-225, 2010

      23 돈 미첼, "문화정치 문화전쟁" 살림출판사 2011

      24 "동아일보"

      25 미셸 드 세르토, "도시 속에서 걷기, In 문화, 일상, 대중 : 문화에 관한 8개의 탐구" 한나래 2000

      26 장유정, "다방과 카페, 모던보이의 아지트" 살림 2008

      27 이보영, "난세의 문학 - 염상섭론" 예림기획 266-, 2001

      28 이진경, "근대적 시 ․ 공간의 탄생" 푸른숲 2002

      29 이무용, "공간의 문화정치학: 공간, 그곳에서 생각하고, 놀고, 싸우고, 만들기" 논형 2005

      30 강만길, "고쳐 쓴 한국현대사" 창작과비평사 1994

      31 박상하, "경성상계" 생각의 나무 2008

      32 염상섭, "견우화" 박문서관 1924

      33 목수현, "‘남촌’ 문화-식민지 문화의 흔적, In 서울 남촌 ; 시간, 장소, 사람"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2003

      34 염상섭, "[단행본] 염상섭 전집" 민음사 1987

      35 김학균, "<사랑과 죄>에 나타난 연애의 성립 과정 고찰" 한국현대문학회 (19) : 309-340, 2006

      36 김학균, "<사랑과 죄>에 나타난 아편중독자 표상 연구" 국제어문학회 (54) : 365-387,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3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국제어문
      외국어명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76 1.3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