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전공자를 위한 인공지능 기초 교양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41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acceler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a large amount of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affecting the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s a whole. Therefore, the current generation needs convergence thinkin...

      Based on the acceler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a large amount of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affecting the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s a whole. Therefore, the current generation needs convergence thinking abil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basic liberal arts course, this study developed educational contents for non-majors to cultivate AI concepts and ability to use AI, operated it as a required liberal arts course at University A,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 As a basic education, the AI curriculum was composed based on experiential learning-centered learning contents to arouse interest and interest in non-majors in order to understand AI from the perspective of applied science. The learning stage consisted of three stag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cept lea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iential learning, and applied learning. As a result, about 80% of AI class satisfaction and 78% AI understanding were confirmed. It is expected that the case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of artificial intelligence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갑수,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모델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 21 (21): 137-147, 2017

      2 김진수, "초등과정 인공지능 학습 원리 이해를 위한 보드게임 기반 게이미피케이션 교육 실증" 한국정보교육학회 23 (23): 229-235, 2019

      3 장은실, "인공지능 교양필수 교육과정의 운영 사례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37-148, 2020

      4 한선관, "인공지능 개념과 알고리즘 학습을 위한 교육 콘텐츠"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6 (26): 37-44, 2021

      5 최지현, "우리나라 대학 AI 교양교육 설계를 위한미국과 독일의 대학 AI 교양교육 현황 분석 연구" 인문콘텐츠연구소 7 : 109-146, 2021

      6 박미현, "비전공자를 위한 SW·AI 교양 교육과정 개발 연구 – P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4 (24): 85-103, 2021

      7 이영호, "블록형 프로그래밍 언어 기반 인공지능 교육이 학습자의 인공지능 기술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23 (23): 189-196, 2019

      8 류미영, "딥러닝 개념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한국정보교육학회 23 (23): 583-590, 2019

      9 서주영, "데이터 분석 문제 해결을 위한 SW 교육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 (20): 1953-1960, 2019

      10 박윤수, "대학생의 AI 리터러시 역량 신장을 위한 교양 교육 모델" 한국정보교육학회 25 (25): 423-436, 2021

      1 김갑수,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모델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 21 (21): 137-147, 2017

      2 김진수, "초등과정 인공지능 학습 원리 이해를 위한 보드게임 기반 게이미피케이션 교육 실증" 한국정보교육학회 23 (23): 229-235, 2019

      3 장은실, "인공지능 교양필수 교육과정의 운영 사례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37-148, 2020

      4 한선관, "인공지능 개념과 알고리즘 학습을 위한 교육 콘텐츠"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6 (26): 37-44, 2021

      5 최지현, "우리나라 대학 AI 교양교육 설계를 위한미국과 독일의 대학 AI 교양교육 현황 분석 연구" 인문콘텐츠연구소 7 : 109-146, 2021

      6 박미현, "비전공자를 위한 SW·AI 교양 교육과정 개발 연구 – P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4 (24): 85-103, 2021

      7 이영호, "블록형 프로그래밍 언어 기반 인공지능 교육이 학습자의 인공지능 기술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23 (23): 189-196, 2019

      8 류미영, "딥러닝 개념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한국정보교육학회 23 (23): 583-590, 2019

      9 서주영, "데이터 분석 문제 해결을 위한 SW 교육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 (20): 1953-1960, 2019

      10 박윤수, "대학생의 AI 리터러시 역량 신장을 위한 교양 교육 모델" 한국정보교육학회 25 (25): 423-436, 2021

      11 전수진, "교양교육을 위한 경험학습 기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4 (24): 63-73, 2021

      12 J. S. Kim, "Study on development of the model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SW education"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5

      13 "SW Education Pla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7

      14 Ministry of Science and ICT, "National Strateg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Korea Minisry of Science and ICT 2019

      15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Education Policy Direction and Core Tasks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Path for Korea’s Future Education" 2020

      16 Korea Relevant joint ministries, "Education Policy Direction and Core Tasks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17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troduced into schools, AI elementary school math study helpers, and high school career electives"

      18 H. S. Kim, "Artificial Intelligence Curriculum Design for Liberal Arts Education" 1 (1): 93-100, 2020

      19 이유미, "AI 리터러시 개념 설정과 교양교육 설계를 위한 연구" 중앙어문학회 85 : 451-474, 2021

      20 S. G. Han, "AI education framework"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2-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지털컨텐츠학회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9-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지털컨텐츠학회논문지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37 0.636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