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팀 기반 학습을 활용한 플립러닝 수업이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및 동료평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Class Using Team-based Learning on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and Peer Assess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512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팀 기반 학습을 활용한 플립러닝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조절학습 검사 및 동료평가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에 대한 ...

      본 연구에서는 팀 기반 학습을 활용한 플립러닝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조절학습 검사 및 동료평가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전체적인 자기조절학습 능력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세부 영역에서는 동기 조절, 인지 조절, 그리고행동 조절 능력이 모두 향상되었다. 한편, 팀 과제가 끝난 후 동료평가를 시행하였고,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의 동료평가 점수 평균은 감소하였 으나 여학생은 증가하였다. 둘째,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 동료평가 점수 평균은 감소하였다. 셋째, 차수별 동료평가 점수와 자기평가 점수 차이는 증가하였다. 넷째, 만족도와 자기평가, 성적과 동료평가는 정적으로 유의하지만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팀 활동에서의 개선점을 유형별로 분류하였을 때, ‘소극적 태도’인 학생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참여율 저조’, ‘팀 활동 능력 부족’, ‘창의적/비판적 사고 필요’,‘의사소통 능력 부족’ 순이었다. 본 연구에서 다룬 팀 기반 학습을 활용한 플립러닝 수업이 확대되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향상되고, 연구 결과가 플립러닝 수업의 질적 개선 및 확산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peer assessment. With regard to the self-regulated learni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ignificantly improved when the flipped learn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peer assessment. With regard to the self-regulated learni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ignificantly improved when the flipped learning was applied. Specifically, the abilities regarding motivation regulation, cognition regulation, and behavior regulation were improved. With regard to the peer assessment,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ile the averaged score of male students decreased, the averaged score of female students increased. Second, the averaged score of peer assessment decreased regardless of the students’ grade.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 of the scores between self 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 increased. Fourth, the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level, self assessment score, grade, and peer assessment score were significant with small effect size. Fifth, the improvements of team activities were classified as followings in order; passive attitude, low participation rate, lack of team activity ability, lack of creative/critical thinking, and lack of communication ability. Also, the results imply that the students would strengthen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by participating in the flipped learning class using team-based learning.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help improve the quality of flipped learning class and spread 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형정, "학습과정과 성과개선을 위한 팀 기반 학습의 개념적 탐색" 교육종합연구소 6 (6): 27-42, 2008

      2 최연숙, "플립러닝이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의사소통, 문제해결, 자기주도 학습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163-1182, 2018

      3 정주영, "플립러닝 수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15-235, 2017

      4 김민정, "팀기반 학습에서 동료평가 사전 인식교육이 평가의 신뢰도, 팀활동의 만족도,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89-309, 2017

      5 정은숙, "팀 프로젝트에 기반한 액트 수업에서 동료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71-794, 2018

      6 정미경, "자기조절학습 탐구" 한국학술정보(주) 2008

      7 이용진, "대학의 팀 기반 수업에서 협동적 학습양식과 팀 구성 방식에 따른 학습 성과" 안암교육학회 22 (22): 115-139, 2016

      8 김세영, "대학수업에서 적용된 플립러닝의 만족도에 대한 학업적 자기조절, 자기결정성 동기, 몰입의 예측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91-109, 2017

      9 도현미, "대학 전공 영역별 플립러닝의 교실수업 활동 유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061-1085, 2019

      10 정효정, "대학 신입생 대상 진로교육 교과목에서 플립러닝 적용 사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77-404, 2019

      1 조형정, "학습과정과 성과개선을 위한 팀 기반 학습의 개념적 탐색" 교육종합연구소 6 (6): 27-42, 2008

      2 최연숙, "플립러닝이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의사소통, 문제해결, 자기주도 학습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163-1182, 2018

      3 정주영, "플립러닝 수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15-235, 2017

      4 김민정, "팀기반 학습에서 동료평가 사전 인식교육이 평가의 신뢰도, 팀활동의 만족도,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89-309, 2017

      5 정은숙, "팀 프로젝트에 기반한 액트 수업에서 동료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71-794, 2018

      6 정미경, "자기조절학습 탐구" 한국학술정보(주) 2008

      7 이용진, "대학의 팀 기반 수업에서 협동적 학습양식과 팀 구성 방식에 따른 학습 성과" 안암교육학회 22 (22): 115-139, 2016

      8 김세영, "대학수업에서 적용된 플립러닝의 만족도에 대한 학업적 자기조절, 자기결정성 동기, 몰입의 예측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91-109, 2017

      9 도현미, "대학 전공 영역별 플립러닝의 교실수업 활동 유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061-1085, 2019

      10 정효정, "대학 신입생 대상 진로교육 교과목에서 플립러닝 적용 사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77-404, 2019

      11 서영진, "교육 콘텐츠 영상을 활용한 플립러닝 강의 도입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331-348, 2019

      12 Oakely, B., "Turning student groups into effective teams" 2 (2): 9-34, 2004

      13 Michaelsen, L. K., "The essential elements of team-based learning" 2008 (2008): 7-27, 2008

      14 Sung, Y. T.,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a web-based self-and peer-assessment system" 45 (45): 187-202, 2005

      15 Michaelsen, L. K., "Team-based learning: A transformative use of small groups in college teaching" Stylus Publishing 2004

      16 Ceston, C. M., "Peer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team-based learning" 2008 (2008): 69-78, 2008

      17 Luo, H., "Impact of student agency on learning performance and learning experience in a flipped classroom" 50 (50): 819-831, 2018

      18 Bergmann, J., "Flip your classroom: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2012

      19 Pinela, F., "A new approach to learning science under STEM : Peer project learning" 28 (28): 18-28,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