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교육 대상과 교육주체, 시급한 현안 이슈들을 반영하는 시의성 있는 주제 등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환경교육 주체들의 교육활동은 국내 환경교육의 정체성 형성과 발전에 중요한 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50544
2024
Korean
539
학술저널
65-68(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다양한 교육 대상과 교육주체, 시급한 현안 이슈들을 반영하는 시의성 있는 주제 등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환경교육 주체들의 교육활동은 국내 환경교육의 정체성 형성과 발전에 중요한 역...
다양한 교육 대상과 교육주체, 시급한 현안 이슈들을 반영하는 시의성 있는 주제 등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환경교육 주체들의 교육활동은 국내 환경교육의 정체성 형성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1993년 태동하고 2000년에 전문기관으로 출발하여 사회환경교육의 전문성과 체계성을 토대로 대중성을 확장해온 (사)환경교육센터의 지난 22년간의 사업을 통해 활동의 흐름과 변화를 살피고, 앞으로의 사회환경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분석결과, (사)환경교육센터의 활동유형은 교육사업 중심에서 협력, 위탁 사업의 비중이 확대되어왔고, 교육대상은 초기 활동에서는 초등대상이 가장 높았다가, 교육장 및 연구소 등 기관 확장에 따라 가족과 성인대상 교육이 확대되었다. 교육목적에 해당하는 환경소양에 있어서는 사무처와 연구소는 지식과 실천을, 교육장에서는 정서의 비중이 크게 나타났다. 최근 환경교육의 제도화가 본격화되면서 민간단체 중심의 사회환경교육 주체들의 교육활동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있다. 20여 년의 활동기간 동안 (사)환경교육센터는 사회적 환경에 따른 변화에 대응하며 성장해왔다. 새로운 20년을 위한 성찰과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청소년 환경정책 제안 활동의 기획 주체 및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분석
디지털콘텐츠를 통한 청년층의 환경보호의 인식변화와 실천 유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