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1)인체 암세포주에서 방사선감수 성의 지표간의 상호관계 = Correlation Between the Parameters of Radiosensitivity in Human Cancer Cell Lin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044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목 적 : 임상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위선암, 폐선암, 망막세포종, 자궁경부 편평상피암의 4가지 인체암세포주(MKN-45, PC- 14, Y-79, HeLa)를 이용하여 방사선조사후 세포생존분획 및 세포생존곡선의 모양을 결정하는 지표를 구하고 방사선조사후 손상 회복정도를 측정하여 이들 여러 지표간의 상관관계 여부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실험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각 세포주의 방사선감수성을 보기 위하여 1, 2, 3, 5, 7 및 10Gy의 방사선을 1 회 조사하였고 방사선조사후 준치사손상 회복정도를 보기 위하여 5Gy씩 2회의 방사선조사를 0, 1, 2, 3, 4, 6 및 24시간 간격으로 시행하였다. 세포의 생존분획은 Sperman-K rber 방법으로 세포 집락형성능력을 측정하여 산출하였으며 생존곡선의 수학적 분석은 linear-quadratic(LQ), multitarget-single hit(MS) 모형과 mean inactivation dose( )를 이용하였다.
      결 과 : 방사선조사후의 세포생존 실험결과 2Gy에서의 세포생존분획(SF2)은 0.174에서 0.85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Y-79는 유의하게 낮은 SF2를, PC-14는 높은 SF2를 나타내었다(p<0.05, t-test). LQ model로 분석한 방사선 세포생존곡선의 분석결과 Y-79, MKN-45, HeLa, PC-14에서 α가 각각 0.603, 0.356, 0.275, 0.102이었고 β는 각각 0.005, 0.016, 0.025, 0.027이었다. MS model로 분석한 결과는 Y-79, MKN-45, HeLa, PC-14에서 Do가 각각 1.59, 1.84, 1.88, 2.52였고 n은 0.97, 1.46, 1.52, 1.69를 보였다. 한편 Gauss-Laguerre방법으로 계산한는 Y-79, MKN-45, HeLa, PC-14에서 각각 1.62, 2.37, 2.61, 3.95였다. SF2가 감소함에 따라 α값은 증가하였고 Do, 값은 감소하였으며 이들간의 Pearson 상관계수는 각각 -0.953, 0.993, 0.999였다 (p<0.05). 분할조사에 의한 준치사손상 회복정도는 약 4시간 내외에 포화상태에 도달하였으며 포화상태의 recovery ratio(RR)는 2에서 3.79 사이였다. RR은 방사선감수성의 지표인 SF2, α, β, Do, 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 네가지 인체상피암세포주의 내재적 방사선감수성은 서로 상이하였으며 Y-79가 가장 민감하였고, MKN-45와 HeLa는 각각 중등도의 방사선감수성을 나타냈으며 PC-14는 방사선감수성이 가장 낮았다. 이와같은 감수성의 차이는 SF2, α, Do와 의 차이로 나타났으며 이들간에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방사선에 의한 준치사손상 회복력은 MKN-45와 HeLa에서 높게 나타났고 회복력과 방사선감수성과는 무관하였다. 각 암세포주에 따르는 이와같은 지표들은 향후 방사선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사선생물학 실험의 기초 자료로서 이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목 적 : 임상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위선암, 폐선암, 망막세포종, 자궁경부 편평상피암의 4가지 인체암세포주(MKN-45, PC- 14, Y-79, HeLa)를 이용하여 방사선조사후 세포생존분획 및 세포생존곡선의...

      목 적 : 임상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위선암, 폐선암, 망막세포종, 자궁경부 편평상피암의 4가지 인체암세포주(MKN-45, PC- 14, Y-79, HeLa)를 이용하여 방사선조사후 세포생존분획 및 세포생존곡선의 모양을 결정하는 지표를 구하고 방사선조사후 손상 회복정도를 측정하여 이들 여러 지표간의 상관관계 여부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실험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각 세포주의 방사선감수성을 보기 위하여 1, 2, 3, 5, 7 및 10Gy의 방사선을 1 회 조사하였고 방사선조사후 준치사손상 회복정도를 보기 위하여 5Gy씩 2회의 방사선조사를 0, 1, 2, 3, 4, 6 및 24시간 간격으로 시행하였다. 세포의 생존분획은 Sperman-K rber 방법으로 세포 집락형성능력을 측정하여 산출하였으며 생존곡선의 수학적 분석은 linear-quadratic(LQ), multitarget-single hit(MS) 모형과 mean inactivation dose( )를 이용하였다.
      결 과 : 방사선조사후의 세포생존 실험결과 2Gy에서의 세포생존분획(SF2)은 0.174에서 0.85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Y-79는 유의하게 낮은 SF2를, PC-14는 높은 SF2를 나타내었다(p<0.05, t-test). LQ model로 분석한 방사선 세포생존곡선의 분석결과 Y-79, MKN-45, HeLa, PC-14에서 α가 각각 0.603, 0.356, 0.275, 0.102이었고 β는 각각 0.005, 0.016, 0.025, 0.027이었다. MS model로 분석한 결과는 Y-79, MKN-45, HeLa, PC-14에서 Do가 각각 1.59, 1.84, 1.88, 2.52였고 n은 0.97, 1.46, 1.52, 1.69를 보였다. 한편 Gauss-Laguerre방법으로 계산한는 Y-79, MKN-45, HeLa, PC-14에서 각각 1.62, 2.37, 2.61, 3.95였다. SF2가 감소함에 따라 α값은 증가하였고 Do, 값은 감소하였으며 이들간의 Pearson 상관계수는 각각 -0.953, 0.993, 0.999였다 (p<0.05). 분할조사에 의한 준치사손상 회복정도는 약 4시간 내외에 포화상태에 도달하였으며 포화상태의 recovery ratio(RR)는 2에서 3.79 사이였다. RR은 방사선감수성의 지표인 SF2, α, β, Do, 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 네가지 인체상피암세포주의 내재적 방사선감수성은 서로 상이하였으며 Y-79가 가장 민감하였고, MKN-45와 HeLa는 각각 중등도의 방사선감수성을 나타냈으며 PC-14는 방사선감수성이 가장 낮았다. 이와같은 감수성의 차이는 SF2, α, Do와 의 차이로 나타났으며 이들간에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방사선에 의한 준치사손상 회복력은 MKN-45와 HeLa에서 높게 나타났고 회복력과 방사선감수성과는 무관하였다. 각 암세포주에 따르는 이와같은 지표들은 향후 방사선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사선생물학 실험의 기초 자료로서 이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Purpose: We conducted clonogenic assay using human cancer cell lines (MKN-45, PC-14, Y-79, HeLa) to investigate a correlation between the parameters of radiosensitivity.
      Materials and Methods : Human cancer cell lines were irradiated with single doses of 1, 2, 3, 5, 7 and 10Gy for the study of radiosensitivity and sublethal damage repair capacity was assessed with two fractions of 5Gy separated with a time interval of 0, 1, 2, 3, 4, 6 and 24 hours. Surviving fraction was assessed with clonogenic assay using Sperman-K rber method and mathematical analysis of survival curves was done with linear-quadratic (LQ), multitarget-single hit(MS) model and mean inactivation dose( ).
      Results : Surviving fractions at 2Gy(SF2) were variable among the cell lines, ranged from 0.174 to 0.85. The SF2 of Y-79 was lowest and that of PC-14 was highest(p<0.05, t-test). LQ model analysis showed that the values of α for Y-79, MKN-45, HeLa and PC-14 were 0.603, 0.356, 0.275 and 0.102 respectively, and those of β were 0.005, 0.016, 0.025 and 0.027 respectively. Fitting to MS model showed that the values of Do for Y-79, MKN-45, HeLa and PC-14 were 1.59, 1.84, 1.88 and 2.52 respectively, and those of n were 0.97, 1.46, 1.52 and 1.69 respectively. The s calculated by Gauss-Laguerre method were 1.62, 2.37, 2.61 and 3.95 respectively. So the SF2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α, Do and . Their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cics were -0.953 and 0.993, 0.999 respectively(p<0.05). Sublethal damage repair was saturated around 4 hours and recovery ratios (RR) at plateau phase ranged from 2 to 3.79. But RR was not correlated with SF2, α, β, Do, .
      Conclusion : The intrinsic radiosensitivity was very different among the tested human cell lines.
      Y-79 was the most sensitive and PC-14 was the least sensitive. SF2 was well correlated with α , Do, and . RR was high for MKN- 45 and HeLa but had nothing to do with radiosensitivity parameters. These basic parameters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various in vitro radiobiological experiments.
      번역하기

      Purpose: We conducted clonogenic assay using human cancer cell lines (MKN-45, PC-14, Y-79, HeLa) to investigate a correlation between the parameters of radiosensitivity. Materials and Methods : Human cancer cell lines were irradiated with single dose...

      Purpose: We conducted clonogenic assay using human cancer cell lines (MKN-45, PC-14, Y-79, HeLa) to investigate a correlation between the parameters of radiosensitivity.
      Materials and Methods : Human cancer cell lines were irradiated with single doses of 1, 2, 3, 5, 7 and 10Gy for the study of radiosensitivity and sublethal damage repair capacity was assessed with two fractions of 5Gy separated with a time interval of 0, 1, 2, 3, 4, 6 and 24 hours. Surviving fraction was assessed with clonogenic assay using Sperman-K rber method and mathematical analysis of survival curves was done with linear-quadratic (LQ), multitarget-single hit(MS) model and mean inactivation dose( ).
      Results : Surviving fractions at 2Gy(SF2) were variable among the cell lines, ranged from 0.174 to 0.85. The SF2 of Y-79 was lowest and that of PC-14 was highest(p<0.05, t-test). LQ model analysis showed that the values of α for Y-79, MKN-45, HeLa and PC-14 were 0.603, 0.356, 0.275 and 0.102 respectively, and those of β were 0.005, 0.016, 0.025 and 0.027 respectively. Fitting to MS model showed that the values of Do for Y-79, MKN-45, HeLa and PC-14 were 1.59, 1.84, 1.88 and 2.52 respectively, and those of n were 0.97, 1.46, 1.52 and 1.69 respectively. The s calculated by Gauss-Laguerre method were 1.62, 2.37, 2.61 and 3.95 respectively. So the SF2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α, Do and . Their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cics were -0.953 and 0.993, 0.999 respectively(p<0.05). Sublethal damage repair was saturated around 4 hours and recovery ratios (RR) at plateau phase ranged from 2 to 3.79. But RR was not correlated with SF2, α, β, Do, .
      Conclusion : The intrinsic radiosensitivity was very different among the tested human cell lines.
      Y-79 was the most sensitive and PC-14 was the least sensitive. SF2 was well correlated with α , Do, and . RR was high for MKN- 45 and HeLa but had nothing to do with radiosensitivity parameters. These basic parameters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various in vitro radiobiological experimen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