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해양경찰공무원의 개인-직무 적합성과 혁신행동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공직만족도와 조직몰입의 이중매개효과 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97086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9-56(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해양경찰공무원의 개인-직무 적합성과 혁신행동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공직만족도와 조직몰입의 이중매개효과 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
이 연구는 해양경찰공무원의 개인-직무 적합성과 혁신행동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공직만족도와 조직몰입의 이중매개효과 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서 해양경찰공무원 1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다. SPSS 27.0을 이용해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Process Macro Model 6을 적용하여 직접효 과와 간접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개인-직무 적합성은 혁신행동, 공직만족도, 조직몰입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공직만족도는 조직몰입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나타났으나, 혁신행동에는 직 접효과는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조직몰입은 혁신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둘 째, 해양경찰공무원의 개인-직무 적합성은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있어 조직몰입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공 직만족도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해양경찰공무원의 개인-직무 적합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공직만족도와 조직 몰입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매개변수인 공직만족도와 조직몰입을 투입하지 않았을 때 독립변수인 개인-직무 적합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보다 매개변수들을 투입하였을 때의 영향력은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job fit and innovative behavior of coast guard officials, and conducted an in-depth study on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public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verify 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job fit and innovative behavior of coast guard officials, and conducted an in-depth study on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public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verify the model established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65 coast guard official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7.0,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ere analyzed by applying Process Macro Model 6.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direct effect of person-job fit on innovative behavior, public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The direct effect of public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but the direct effect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on innovative behavior. The direct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innovative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Second, in the process of affecting innovative behavior, the in person-job fit of coast guard official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no mediating effect on public job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public offic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job fit and innovative behavior of coast guard officials, when parameters such as public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not introduced, the influence when parameters were introduced rather than the effect of person-job fit, an independent variable, on innovative behavior, was reduc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배우자 폭력 피해에서 발생하는 강압적 통제에 관한 연구: 외현적 폭력과 내현적 폭력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SNS모방충동이 자해의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자해동기요인을 중심으로
경찰 치안 기술의 변화 : AI 기반 경찰활동의 변화와 위험성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