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상수, "한국인형극의 연구" 정동출판사 1981
2 김근태, "한국의 민속문학과 예술" 집문당 1998
3 이두현, "한국의 가면극" 일지사 1976
4 이기갑, "한국어 방언들 사이의 상대높임법 비교 연구"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1) : 185-217, 1997
5 김재철, "조선연극사" 민속원 1995
6 권택무, "조선민간극" 예니 1984
7 박용태, "박첨지가 전하는 남사당놀이" 엠애드 2008
8 남미정, "대국어 청자경어법 연구" 서강대학교 2008
9 심우성, "남사당패 연구" 동문선 1989
10 심우성, "남사당놀이" 화산문화 2000
1 최상수, "한국인형극의 연구" 정동출판사 1981
2 김근태, "한국의 민속문학과 예술" 집문당 1998
3 이두현, "한국의 가면극" 일지사 1976
4 이기갑, "한국어 방언들 사이의 상대높임법 비교 연구"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1) : 185-217, 1997
5 김재철, "조선연극사" 민속원 1995
6 권택무, "조선민간극" 예니 1984
7 박용태, "박첨지가 전하는 남사당놀이" 엠애드 2008
8 남미정, "대국어 청자경어법 연구" 서강대학교 2008
9 심우성, "남사당패 연구" 동문선 1989
10 심우성, "남사당놀이" 화산문화 2000
11 임재해, "남북한 꼭두각시놀음의 전승양상과 해석의 비교연구" 한국구비문학회 3 : 475-557, 1996
12 서연호, "꼭두각시놀이" 열화당 1996
13 임재해, "꼭두각시놀음의 이해" 한국학술정보 2002
14 서연호, "꼭두각시놀음의 역사와 원리" 연극과인간 2001
15 서연호, "꼭두각시놀음의 역사" 연극과인간 2000
16 장경우, "꼭두각시놀음에 나타난 청자경어법의 통시적 변이 양상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21 (21): 215-240, 2013
17 임재해, "꼭두각시놀음 연희본들의 변이양상과 전승양상" 한국민속학회 41 : 333-386, 2005
18 작은소리학교, "꼭두각시놀음 Version 2009"
19 남미정, "근대국어 청자경어법의 형태원리와 체계" 시학과 언어학회 14 : 153-189, 2007
20 이승희, "국어의 청자높임법에 대한 통시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21 최석재, "국어 대우법 체계의 정보화 연구" 박이정 2008
22 문혜심, "국어 높임법 표현의 발달" 박문사 2009